• 제목/요약/키워드: 젊은 성인

검색결과 702건 처리시간 0.026초

자치 역량 수준별 임차인 주민조직 참여에 관한 주관성 유형 연구 (Types of Tenants Participation in Public Housing Maintenance Analysed by Q Method)

  • 김규빈;김문현;권태환;김주형;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31-40
    • /
    • 2015
  • 공공주택은 효율적인 주택관리와 개개인의 주거환경 보호를 위해 임차인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임차인들의 참여를 비관적으로 전망하고 있어 임차인들의 참여 유형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기존연구들은 설문조사를 통한 관리의 선호도 및 만족도를 측정하거나 성공적 임차운동 사례를 검토하는데 중점을 두는 것에 한정되어있어 참여자 입장에서 수행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행복주택에 거주 가능한 젊은계층을 대상으로 자아구조 속에 있는 주민조직 참여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주관적 의견이나 인식의 구조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Q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주민들의 주민참여방안에 대한 참여자들의 유형분류 및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 주목적이며, 28명의 거주가능 대상자를 통해 28진술문으로써 강제적으로 유형을 분류하였고, 5가지의 유형이 파악되었다. Type 1은 '신뢰기반 주민주도형(적극형)', Type 2는 '기관불신 주민주도형(불신형)', Type 3은 '불신기반 인센티브형 (회피형)', Type 4는 '주민참여기반 기관주도형(협력형)', Type 5는 '기관신뢰 기관주도형(위탁형)'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형마다의 특징에 맞춘 각각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어 주민과 관리주체에 대한 바람직한 역할을 논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착용이 목 관절가동범위와 목 근육 두께 및 통증에 미치는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f Wearing Head-Mounted Display on Cervical Range of Motion, Neck Muscles Thickness, and Pain)

  • 오소현;정성대;심재훈;양노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77-285
    • /
    • 2020
  • 본 연구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HMD) 사용이 건강한 젊은 성인들의 목관절가동범위(CROM)와 목 근육 두께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HMD 군(남자 16명, 여자 7명)은 HMD를 착용하고 30분 동안 정해진 영상을 시청하도록 하였다. 대조군(남자 15명, 여자 8명)은 HMD군과 동일한 자세로 HMD 착용없이 30분 동안 앉아있게 하였다. 실험 전·후에 목관절가동범위, 위등세모근과 어깨올림근의 두께와 압력통증역치를 측정하고 대응표본 t검정과 독립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HMD 군의 목관절가동범위와 양쪽 위등세모근과 어깨올림근의 압력통증역치는 사전 검사 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양쪽 위등세모근의 두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반면에, 대조군은 목관절가동범위, 근육 두께 및 압력통증역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분석 결과, 장시간 HMD 사용은 목관절가동범위와 압력통증역치를 감소시키고 근육을 비대하게 하여 목과 어깨의 근골격계 질환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적절한 시간 동안만 HMD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정상체중군과 체중과다군 남자에서 혈중 총항산화능과 평소 식이섭취 상태에 관한 연구 (Comparison of the Total Antioxidant Status and Usual Dietary Intake in Normal and Overweight Males)

  • 김순경;박영숙;변광의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633-641
    • /
    • 2000
  • 본 연구는 체중과다나 비만에서 총항산화능의 변화를 관찰하고, 총항산화능과 평소의 식사섭취상태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관찰하고져 실시하였다. 20대의 젊은 남성을 대상으로 정상체중군(n = 17, BMI 20∼25, 비만지수 90∼110% 체지방 16∼20%)과 체중과다군(n = 13, BMI > 25, 비만지수 120%이상, 체지방 25%이상)으로 분류한 후, 인체계측, 생화학적 검사(총콜레스테롤, glucose, albumin, creatinine, GOT, GPT, uric acid), 식이섭취 조사(24회상법)를 실시하였다. 총항산화능은 체중과다군에서 유의적으로(p <0.01) 높게 나타났으며 , 측정된 생화학적 지수들에서는 uric acid의 함량이 체중과다군에서 유의하게(p<0.05) 높았다 평소의 식이섭취 상태는 두 군 모두 칼슘과 비타민 B2의 섭취량이 권장량에 비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중과다군에서 비타민 C(p <0.05)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U-carotene과 비타민 E 섭취량에는 두 군간 차이가 없었고, 채소와 과일의 섭취량은 체중과다군이 적게 섭취한 반면, 음주와 흡연량은 체중과다군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두 군 모두 식사의 질은 양호하였다. 총항산화능 및 uric acid 함량과 측정지표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두 군 모두에서 총항산화능 및 uric acid 함량에서 서로 다른 경향을 보였다. 체중과다군에서는 총항산화능과 음주량이 부( - )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uric acid 함량과 BMI, 비만지수, 및 총항산화능은 유의적인 정 (+)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체중과다군은 정상체중군에 비해 총항산화능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식이섭취상태와의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Uric acid 함량의 측정은 총항산화능과 정 (+)의 상관관계를 보여 또 다른 항산화능을 나타내주는 좋은 지표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우리나라 젊은 성인의 항산화 상태, DNA 손상 및 지질 양상 (Antioxidative Status, DNA Damage and Lipid Profiles in Korean Young Adults by Glutathione S-Transferase Polymorphisms)

  • 조혜련;이혜진;강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1호
    • /
    • pp.16-28
    • /
    • 2011
  • Oxidative stress leads to the induction of cellular oxidative damage, which may cause adverse modifications of DNA, proteins, and lipids. The production of reactive species during oxidative stress contributes to the pathogenesis of many diseases. Antioxidant defenses can neutralize reactive oxygen species and protect against oxidative damag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ntioxidant status and the degree of DNA damage in Korean young adults using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polymorphisms. The GSTM1 and GSTT1 genotypes were characterized in 245 healthy young adults by smoking status, and their oxidative DNA damage in lymphocytes and antioxidant status were assessed by GST genotyp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simple questionnaire. From the blood of the subjects, GST genotypes; degree of DNA damage in lymphocytes; the erythrocyt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plasma concentrations of total peroxyl radical-trapping potential (TRAP), vitamin C, ${\alpha}$- and ${\gamma}$-tocopherol, ${\alpha}$- and ${\beta}$-carotene and cryptoxanthin, as well as plasma lipid profiles, conjugated diene (CD), GOT, and GPT were analyzed. Of the 245 subjects studied, 23.2% were GSTM1 wild genotypes and 33.4% were GSTT1 wild genotype. No difference in erythrocyt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or glutathione peroxidase, and the plasma TRAP level, CD, GOT, and GPT levels were observed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categorized by GSTM1 or GSTT1 genotype. Plasma levels of ${\alpha}$- and ${\gamma}$-tocopherol increased significantly in smokers with the GSTT1 wild genotype (p < 0.05); however, plasma level of ${\alpha}$-carotene decreased significantly in non-smokers with the GSTM1 wild genotype (p < 0.05). DNA damage assessed by the Comet assa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on-smokers with the GSTM1 genotype; whereas DNA damage was significantly lower in non-smokers with the GSTT1 genotype.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on-smokers with the GSTT1 genotype than those with the GSTT1 wild genotype (p < 0.05). In conclusion, the GSTM1 genotype or the GSTT1 wild genotype in non-smokers aggravated their antioxidant status through DNA damage of lymphocytes; however, the GSTT1 wild type in non-smokers had normal plasma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This finding confirms that GST polymorphisms could be an important determinant of antioxidant status and plasma lipid profiles in non-smoking young adults.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clarify the antioxidant status and/or lipid profiles of smokers with the GST polymorphism and to conduct a study with significantly more subjects.

국내 아프리카 연구의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tate and Task of African Studies in Korea)

  • 홍명희
    • 비교문화연구
    • /
    • 제44권
    • /
    • pp.373-391
    • /
    • 2016
  • 한국의 아프리카 연구는 2000년대 이후에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구상의 마지막 블루 오션이라는 인식과 함께 시작된 최근의 활발한 아프리카 연구는, 최근 몇 년간의 비약적인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는 아프리카 연구의 학문적 편중성이다. 국내에서 생산된 석박사 논문과 전문학술지 논문의 60% 이상이 사회과학, 그 중에서도 정치 경제 분야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는 아프리카에 대해 경제적 목적 일변도의 편향된 이해를 불러올 수 있다. 두 번째 문제점은 최근의 활발한 아프리카 연구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아프리카에 대한 인식은 기존의 피상적인 인식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다양한 아프리카 연구의 결과들이 일반 대중과 젊은 세대들에게 공유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국내 아프리카 연구 주체들 간의 활발한 교류를 통하여, 분야별 연구의 틀을 벗어나 종합적인 아프리카 연구의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한국 현생 화강암류의 Nd 동위원소 조성 특성과 성인적 의미 (Characteristics of Nd Isotopic Compositions of the Phanerozoic Granitoids of Korea and Their Genetic Significance)

  • 박계헌;이태호
    • 암석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9-292
    • /
    • 2014
  • 한국의 현생 화강암류에서 분석된 Nd 동위원소 자료를 종합하여 고찰해보았다. Nd 동위원소의 변화는 추세적인 변화 또는 지역적인 변화로 설명될 수 있다. 세 차례로 나타나는 화성활동기 중에서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그리고 쥬라기에 있었던 두 차례의 화성활동기에서는 초기에는 높은 ${\varepsilon}_{Nd}(t)$ 값을 갖는 마그마가 만들어진 이후에 점차 낮은 ${\varepsilon}_{Nd}(t)$ 값을 갖는 방향으로 변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섭입작용의 시작과 더불어 초기에 생성된 마그마의 경우 섭입된 해양지각의 용융과 같은 결핍맨틀의 함량이 높은 마그마가 생성되고, 섭입작용의 진행과 더불어 마그마의 생성에 오래된 지각물질의 영향이 더욱 커져서 이러한 변화경향을 만들어낸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백악기-고제3기의 화성활동기에서는 후기의 화성암체들이 오히려 더 높은 ${\varepsilon}_{Nd}(t)$ 값을 갖는, 이전의 화성활동기와는 반대되는 변화경향이 나타난다. 다른 해석으로는 페름기-트라이아스기 활동기 초기의 영덕화강암과 쥬라기 활동기 초기의 청송화강암 등 높은 ${\varepsilon}_{Nd}(t)$ 값의 암체들이 대부분이 경상북도 북부지역에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가 단순히 지역적인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라는 해석도 전적으로 배제할 수는 없다. 이 외에도 백악기-고제3기 활동기에서 높은 ${\varepsilon}_{Nd}(t)$ 값을 갖는 암체인 온정리 화강암 역시 영덕화강암과 인접하여 산출하며, 그 밖의 높은 ${\varepsilon}_{Nd}(t)$ 값을 갖는 화성암들은 주로 경상분지내에서만 산출되는 것 역시 지역적 차이라는 가설을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경우 높은 ${\varepsilon}_{Nd}(t)$ 값을 갖는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젊은 평균지각 연령을 갖는 등 구분되는 지각진화사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 제기한 두 가설들 사이의 선택은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판단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젊은 성인에서 능동 움직임을 결합한 근막감압치료 적용과 정적 적용이 관절가동범위, 근력,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tive Movement Myofascial Decompression Therapy and Static Myofascial Decompression Therapy on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 Functional Movement in Young Adults.)

  • 이지현;김태현;강시윤;금도건;이성연;도광선;김창숙;배주한;박준혁;김재은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65-173
    • /
    • 2021
  • Purpose : Myofascial decompression is frequently mentioned as a method applied to cupp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compare active range of motion (AROM), muscle strength, and functional movement by applying myofascial decompression to the hamstrings. Methods : This study evaluated AROM, muscle strength, and functional movement by applying active movement myofascial decompression and static myofascial decompression to the dominant leg, respectively, in a crossover design conducted with normal adults (n=21) in their average 20s enrolled at G University in G city, Gyeongsangbuk-do. Active movement myofascial decompression was implemented for five minutes at a rate of 100 bpm to make the beats in flexion and extension respectively. Static myofascial decompression was only performed for five minutes while at rest. All of these interventions were performed at a cupping depth of two mm. After a one-week washout period, static was applied again to compare the same dependent variables. Results : Regarding AROM and muscle strength,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efore and after results (p<.05). However, in the Functional Reach Aspect and Single Leg Hop test, the active movement myofascial decompression group showed better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Active movement myofascial decompression group and Static myofascial decompression group in any dependent variable (p<.05).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both active movement myofascial decompression and static myofascial decompre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dependent variable.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easier and simpler to see the effect on flexibility, muscle strength, and functional movement just by implementing movement myofascial decompression.

항-NMDA 수용체 뇌염의 정신증상: 증례보고 (Psychiatric Manifestations of Anti-NMDA Receptor Encephalitis: A Case Report)

  • 김현석;이해영;이상신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2호
    • /
    • pp.207-212
    • /
    • 2021
  • 항-N-methyl-D-aspartate 수용체 뇌염(Anti-NMDAR encephalitis)은 NMDA 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로 매개되는 신경 염증성 질환으로 초기에 뚜렷한 신경학 증상 없이 망상, 지각이상, 와해된 행동, 심한 불안, 인지기능저하 등의 정신증상이 두드러질 수 있다. 면역치료 혹은 종양제거와 같은 조기치료가 좋은 예후 인자이므로 질병초기에 정신질환과 구분하여 항-NMDAR 뇌염을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간질과 정신병적 증상을 보이는 26세 여성 A씨를 조기에 항-NMDAR 뇌염으로 확진한 뒤 양성 및 음성증상 척도(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A씨의 항-NMDAR 뇌염 초기의 정신증상으로 PANSS에서 양성하위척도 보다 음성하위척도 점수가 더 높았다. 정신장애와 비교하여 항-NMDAR 뇌염 초기에 음성증상과 인지장애가 더욱 두드러질 가능성이 있다. A씨의 치료로는 rituximab과 난소 기형종의 제거가 효과적이었고 항정신병제로는 quetiapine을 사용하였다. 특히 젊은 여성에서 망상, 행동장애와 함께 음성증상, 인지장애, 긴장증, 의식수준의 변화, 운동이상증상 등이 관찰될 때 항-NMDAR 뇌염에 대한 평가를 고려해야 한다.

손 끝 온도변화가 젊은 성인의 다중 손가락 동작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ingertip Temperature on Multi-finger Actions in Young Adults)

  • Shin, Narae;Xu, Dayuan;Song, Jun Kyung;Park, Jaebum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57-166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timulating fingertip temperature on the patterns of force sharing and stability properties during multi-finger force production tasks. Method: 9 adult subjects (male: 3, female: 6, age: $26.11{\pm}4.01yrs$, height: $169.22{\pm}5.97cm$, weight: $61.44{\pm}11.27kg$)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 consisted of three blocks: 1) maximal voluntary contraction (MVC) task, 2) single-finger ramp task to quantify enslaving (i.e., unintended force production by non-task fingers), and 3) 12 trials of multi-finger steady-state force production task at 20% MVC. There were three temperature conditions including body-temperature (i.e., control condition), $40^{\circ}C$, and $43^{\circ}C$, and the stimulation was given to the index finger only for all experimental condition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VC forces, enslaving, and the accuracy of performance during the steady-state task between the conditions. However, the share of stimulated index finger force increased with the index fingertip temperature, while the share of middle finger force decreased. Also,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both index and middle finger forces over repetitive trials increased with the index fingertip temperature. Under the framework of the uncontrolled manifold (UCM) hypothesis used to quantify indices of multi-finger synergies (i.e., stability property) stabilizing total force during the steady-state task, the two variance components within the UCM analysis increased together with the fingertip temperature, while no changes in the synergy indices between the conditions. Conclusion: The current results showed that fingertip temperature stimulation only to index finger does not affect to muscle force production capability of multi-finger, independence of individual fingers, and force production accuracy by the involvement of all four fingers. The effect of fingertip temperature on the sharing pattern and force variation may be due to diffuse reflex effects of the induced afferent activity on alpha-motoneuronal pools. However, the unchanged stability properties may be the reflection of the active error compensation strategies by non-stimulated finger actions.

MiriChekTM Oral Bacter test kit를 활용한 개 치주염의 임상적 평가 (Clinical assessment of periodontitis in dogs using the MiriChekTM Oral Bacter test kit: An in vivo study)

  • Choi, Hyuck;Roh, Jae-Hee;Kim, Yun-Jeong;Hwang, In-Soo;Park, Woo-Dae;Kim, Min-Seok;Jeong, Young-Eui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37-348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개 치주염 평가에서 MiriChekTM Oral Bacter test kit의 임상적 유용성을 판단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개 61두를 공시하여 품종, 연령(개월), 성별, 체중, 질병 유무, 임상적 치주염 단계를 수의 임상 진단 후 상악 왼쪽 전구치의 치태를 채취하여 MiriChekTM Oral Bacter test kit를 이용하여 진단검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 개 61두 중 건강한 개는 31두, 치주염 개는 30두였고, 치주염은 젊은 개보다 나이 든 개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났다. MiriChekTM Oral Bacter test kit의 양성 평균 73.3%, 음성 평균 80.7%의 민감도를 보였고, 치주염의 심각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MiriChekTM Oral Bacter test kit는 개 치주염 평가에 유용한 진단검사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MiriChekTM Oral Bacter test kit와 같은 새로운 진단 보조 기구의 활용은 개에게서 발생하는 치주질환 진단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높일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