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해질 용액

Search Result 21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ion sensing properties of B and Cs coimplanted $Si_3N_4$ thin films (B 및 Cs 가 이중이온주입된 $Si_3N_4$ 박막의 전해질 용액 중 이온감지특성에 관한 연구)

  • Sin, Baek-Gyun;Park, Gu-Beom;Yuk, Jae-Ho;Park, Jong-Gwan;Kim, Chan-Yeong;Lee, Deok-Ch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c
    • /
    • pp.1691-1693
    • /
    • 2004
  • 전해질 용액 중에서 내부 이온화산에 의한 드리프트 특성이 거의 없는 장기안정성과 pH 농도 감지 특성이 우수하지만 알칼리 금속 양이온 감지특성이 열악한 silicon nitride 박막의 이온 감지특성을 변화시키기위하여, 저온화학기상증착법(LPCVD)으로 제작된 silicon nitride 박막에 B 및 Cs를 이중이온주입시켰다. 이온수입이 되지 않은 silicon nitride 박막과 B 및 Cs가 이중이온주입된 박막의 전해질 용액 중 pH, pNa, pK, pRb 및 pCs 농도 감지특성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이중이온주입된 샘플은 이온주입이 되지 않은 샘플에 비해 그 전해질 용액 중 pH 농도 감지도가 현저히 감소한 반면, 전해질 용액 중 알카리 금속이온농도 감지도는 이온주입되지 않은 샘풀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 PDF

A Strady-State One-Dimensional Analysis of an Oxygen Electrode in Stationary and Flowing Liquid (정체 및 유동액체에서 산소전극의 안정상태 일차원적 해석)

  • 김태진
    • KSBB Journal
    • /
    • v.4 no.2
    • /
    • pp.150-156
    • /
    • 1989
  • The chaacterisitics of a commercial membrance-coverd electrode in air-saturated saline solution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a steadystate one-dimensional model. The electrode system miiersed in an aqueous medium consists of three layers: an external concentration boundary layer, a membrance, and an inner electrolyte layer. The membrance can be permeabld to the water and impermeable to the ionic species. In stationary midium, the water migrates from the external medium to the inner electrolyte layer until a thermodynamic equilibrium is reached. In a following midium, however, there is a reverse direction of water movement due to the hyrodynamic pressure differential until both thickness of the electrolyte layer and the membrance are equal.

  • PDF

Effects of Electrolyte Concentration on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an Iron Hexacyanoferrate Active Material (헥사시아노 철산철 활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전해질 농도의 영향)

  • Yang, Eun-Ji;Lee, Sangyup;Nogales, Paul Maldonado;Jeong, Soon-Ki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2
    • /
    • pp.117-123
    • /
    • 2021
  • The effects of electrolyte concentration 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Fe4[Fe(CN6)]3(FeHCF) as a novel active material for the electrode of aqueous zinc-ion batteries was investigated. The electrochemical reactions and structural stability of the FeHCF electrode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electrolyte concentration. In the electrolyte solutions of 1.0-7.0 mol dm-3, the charge-discharge capacities increased with increasing electrolyte concentration, however gradually decreased as the cycle progressed. On the other hand, in the 9.0 mol dm-3 electrolyte solution, the initial capacity was relatively small, however showed good cyclability. Additionally, the FeHCF electrode after five cycles in the former electrolyte solutions, had a change in crystal structure, whereas there was no change in the latter electrolyte solution. This suggest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FeHCF electrode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hydration structure of zinc ions present in electrolyte solutions.

The Variation of Cu Recovery by Electrowinning Conditions and Their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from Cathodic Deposition-powdered Copper (전기분해 조건에 따른 구리 회수 변화와 음극회수-구리분말에 대한 광물학적 특성)

  • Cho, Kang-Hee;Kim, Bong-Ju;Choi, Nag-Choul;Park, Cheon-Young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7 no.4
    • /
    • pp.183-195
    • /
    • 2014
  • In order to study th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a cathodic deposition-metallic powder, electrowinning experiments were carrier out on different electrolytic solutions at varying electric distances and electric currents. Under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Cu recovery was obtained much more effectively using a sodium chloride electrolyte than with a sulfuric acid electrolyte. In XRD analysis, copper ($Cu^0$), chalcanthite and cuprite were identified in the sulfuric acid electrolyte, while copper, nantokite and chalcanthite were observed in the sodium chloride electrolyte. In the sodium chloride electrolyte solution, increasing the electric distance and the electric current increased the Cu recovery rate, anode weight and anodic corrosion. The results of XRD analysis with non-pulverized cathodic deposition-metallic powder showed the average copper crystallite size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electric current and decreasing the electric distance. It is suggested that the mass transfer was controlled with diffusion on the boundary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electrolytic solution due to the formation of dendrite copper.

Electrodeposition of ZnSe Thin Films with Tailored Composition in Citrate Alkaline Aqueous Solution (Citrate 알카리 용액에서의 ZnSe 박막 전해증착 및 조성제어)

  • Jeong, Hyeon-Seong;Park, Gi-Mun;Yu, Bon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11a
    • /
    • pp.196-197
    • /
    • 2015
  • ZnSe의 전기화학적 거동은 각각 다른 pH를 갖는 전해질에서의 linear sweep voltammogram 분석에 의해 체계적으로 고찰되었다. 제어된 조성을 갖는 칼코지나이드 ZnSe 박막이 complexing agent의 역할을 하는 citrate를 포함한 알카리 용액에서 전해 증착되었다. 다른 pH의 전해질에서 증착된 ZnSe 박막의 형상을 분석하고, 추가적으로 다른 pH의 전해질 및 어닐링 온도 변화에 따른 ZnSe 박막의 XRD분석이 이루어졌다.

  • PDF

Improvement of Properties in Solid Polymer Electrolyte Using New Preparation Method (새로운 막 제조 방법에 의한 고분자 전해질막의 특성 향상)

  • Kim, Tae-Hee;Lee, Jung-Hun;Park, Kwon-Pil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17 no.3
    • /
    • pp.331-337
    • /
    • 2006
  • 높은 이온전도도와 충분한 기계적 강도, 전해질 누수가 적은 새로운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막(pore-gel SPE)을 연구 개발하였다. 다공성 PVDF-HFP 고분자막의 기공 내에 전해질 용액을 흡수시킨 후 막 내에서 젤화를 진행시켰다. 전해질 용액은 2:2:1의 비를 갖는 PC/EC/DMA에 1M SA(Salicylic acid)를 용해하고 여기에 고분자막을 용해시킬 수 있는 아세톤을 첨가하였다. 초음파를 이용함으로써 고분자막의 용액 흡수율을 증가시키고 또 고분자막에서 젤화를 촉진 시킬 수 있었다. 이렇게 젤화한 막의 이온전도도는 젤화 전 막보다 $1{\sim}2.2$ 배 향상되었고, 인장강도는 gel-type SPE 보다 40 배 증가하였으며, 전해질 누수실험결과 hybrid-type SPE는 13%의 누수를 보였으나 본 연구의 막(pore-gel SPE)은 6%로 감소함을 보였다.

Continuous and Pulsed Laser Induced Copper Deposition on Silicon(Si) from Liquid Electrolyte (전해질 용액내의 실리콘 단결정 표면에서 레이저로 유기되는 구리 침착)

  • 유지영;안창남;이상수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3 no.1
    • /
    • pp.50-54
    • /
    • 1992
  • Maskless depositon of copper onto n-doped and p-doped Si in an aqueous copper sulfate solution is investigated. On p-doped Si substrates, microscopic $(~10\mu\textrm{m}$) copper spots are deposited by illuminating continuous wave $Ar^+$ laser beam of wavelength 514.5 nm. Copper deposition on n-doped Si substrates is also achieved by shinning second harmonic pulses $(pulse width~25 nsec, \lambda=530 nm)$ of a passively Q-switched Nd:YAG laser. The observed deposition is attributed to the electric field resulting from the Galvanic potential of a semiconductor-electrolyte junction.

  • PDF

Effect of the Processes of Polysilazane Solid Electrolyte Layer and Silver Active Electrode o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Memristor (폴리실라잔 고체 전해질 층과 은 활성 전극의 공정이 멤리스터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Hui-Su Yang;Gyeong-seok Oh;Dong-Soo Kim;Jin-Hyuk Kwon;Min-Hoi Kim
    • Journal of IKEEE
    • /
    • v.27 no.1
    • /
    • pp.25-29
    • /
    • 2023
  • Effect of the processes of polysilazane solid electrolyte layer and silver (Ag) active electrode o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memristor was investigated. The memristor with the solid electrolyte annealed at higher temperature exhibited the higher set voltage and better memory retention characteristics than that annealed at lower temperature. The increase in the set voltage and the improvement of the memory retention characteristic at high annealing temperature were attributed to a reduction in the void density and an increase in the void uniformity inside the solid electrolyte, respectively. In the case where the polysilazane solution's concentration is high, the memristor exhibited rapid degradation of low resistive state even annealed at high temperature. Lastly, it was shown that the memristor with the solution-processed Ag active electrode showed WORM property unlike that with the vacuum-processed Ag active electrode. The WORM property was possibly due to morphological defects present in the solution-processed Ag active electrode.

전해질 용액의 농도가 단결정 Si의 마찰거동에 미치는 영향

  • 임대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1.06a
    • /
    • pp.60-62
    • /
    • 1991
  • 세라믹스 및 Si과 같은 반도체의 사용을 위해서는 drilling, cutting, polishing 등의 과정이 필요하고 이와 같은 기계적인 가공에는 막대한 시간과 에너지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가공중에 생긴 결함은 최종제품의 전기적, 화학적, 기계적 성질들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들 재료의 손상부위 분석을 포함한 tribological거동의 이해는 경제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기술적인 면에서도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비금속표면성질에 미치는 용액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학문적 관심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관심을 끌고 있다. Rebinder에 의해 액체와 접촉하고 있는 고체의 역학적 성질의 변화에 대한 보고가 있은 이래 소위 chemomechanical effect에 대한 실험결과가 많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단결정 Si기판율 diamond indenter에 의해 전해질 용액에서 scratch함으로써 Si의 cutting 및 polishing 등에 미치는 용액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PDF

홀전도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 Park, Tae-Ho;Gwon, Yeong-Su;Song, In-Yeong;Im, J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64-64
    • /
    • 2011
  • 최근 환경 및 에너지 자원화 문제의 대두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화석원료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대체 기술 중에서 무한한 태양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은 현대 과학자들뿐만 아니라 인류가 궁극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미래기술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며 시급한 기술이다. 현재 염료감응태양전지는 저비용과 고효율을 대표하고 있으며 많은 연구자들이 상업화를 위하여 끝임없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는 요오드와 요오드 염을 사용하는 용액상 연료감응 태양전지가 있으며 11%의 고효율을 보이고 있지만 작동 온도에서 외부열에 의한 용액의 누수 및 반응성에 의하여 소자의 장기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용액상 전해질을 대체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이러한 용액상을 대체하려는 최근의 연구 동향 및 효율과 장기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자들의 노력 및 결과들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