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투 시스템

Search Result 25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 Agent based Modeling and Simulation for Survivability Analysis of Combat System (전투 시스템 생존성 분석을 위한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 Hwang, Hun-Gyu;Kim, Hun-Ki;Lee, Jang-S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12
    • /
    • pp.2581-2588
    • /
    • 2012
  • Survivability of combat system is changed by various facts in dynamic battle field. Existing survivability analysis programs for a combat system analyze statically survivability for combat system in spite of dynamic battle environment. To overcome this limitation, we propose an agent-based modeling and simulation method for dynamic survivability analysis of the combat system. To do this, we have adopted DEVS formalism, SES/MB framework and agent technology for modeling components of the combat system and crews. The proposed method has advantages of being able to analyze not only a static survivability of the combat system but also a dynamic survivability of combat system by applying responses of crews in battle field.

A Construction of The Multimedia Expert System For Wargame Su, pp.rt (워게임 지원용 멀티미디어 전문가시스템 구축)

  • 김화수;조문희;박홍규;박경원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3 no.1
    • /
    • pp.143-160
    • /
    • 1997
  • 현재 우리 군에서는 첨단과학무기를 이용한 전투력을 신속히 집중, 전환시키고 효과적으로 통합 운용해야하는 각급 제대의 지휘관 및 참모의 지휘통제능력 향상을 위하여 첨단 컴퓨터장비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한 워게임 모델을 개발하여 이를 이용한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 워게임 모델중 지상전투의 가장 기본이 되는 근접전투 시뮬레이션은 미국에서 개발도입된 "COBRA"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으나 한국실정에 맞는 시스템으로 확장 및 유지보수가 어렵고, 상위시스템의 서브시스템으로만 운영되고있어 자체 교육훈련 및 전투분석을 위한 단독시스템으로 운영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방대한 양의 지식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확장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우리실정에 적합한 전투 훈련을 실시하도록 지원하는 워게임(근접전투) 지원용 멀티미디어 전문가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전문가시스템은 쌍방이 부대들의 근접전투를 실시할 때 실전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상황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투상황을 분석하며, 기존의 획일적이고 단순한 형태로 결과를 판정하던 것을 전투원의 사기, 체력, 전투한계 등 심리적 요소까지 고려함으로써 새로이 변화되는 전쟁양상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확장성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시스템 단독으로 운영하여 반복적으로 전투를 분석하고 교육훈련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실전적이고 실질적인 근접전투 워게임지원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함에 있어서 지식베이스 모듈, 추론엔진 모듈 및 설명 모듈은 전문가 시스템 개발도구인 Smart Elements를 이용하여 구축하였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멀티미디어 저적도구인 툴북 3.0을 이용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모듈은 API를 이용 통합하여 하나의 응용소프트웨어를 생성하였다.

  • PDF

A Study on Effective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in Combat Radio Network (전투무선망에서의 효과적인 긴급 메시지 전송 방안에 대한 연구)

  • Kim, Hyung-Seok;Shin, Sang-Heon;Lee,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85-28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전투무선망에서 효과적인 긴급 메시지 전송 방안에 대한 방안을 제시한다. NCW 환경에서 대대급 이하 전투부대들은 전투무전기와 전술단말기를 활용하여 아군, 적군 위치와 속성정보, 활동 정보 등을 상호간 공유하여 통합적이고 효율적인 전투를 수행해야 하지만, 낮은 대역폭과 낮은 전송속도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전투무선망을 활용하고 있으므로, 각 노드별 메시지 전송 전송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전투무선망의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투무선망에서의 긴급 메시지(적 발견 보고, 화생방 보고 등) 전송 시 부대 운용구조를 활용하여 모든 노드에 데이터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Exploring the Effects of the Antecedents to Flow Exper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War Simulation Systems on Soldiers' Intentions to Use the War Simulation Systems (플로우 경험의 선행요인들과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특성이 군(軍)전투시뮬레이션 시스템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분석)

  • Baek, Dae Kwan;Hau, Yong Sauk;Kim, Young-Gul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6 no.1
    • /
    • pp.89-106
    • /
    • 2014
  • The war simulation systems in Republic of Korea Army have been getting more and more important because soldiers can effectively and efficiently learn and share their war-related knowledge based on the interactions through the systems. But, up to now, the access to the war simulation systems has been limited to only soldiers. So, little research on them has been conducted.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the antecedents to the flow exper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s on soldiers' intentions to use them. Based on the 118 samples collected from officers in Republic of Korea Army, this study empirically shows the logical reality of the war simulation systems and the flow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 soldiers' intentions to use the systems and the clarified goals, feedbacks, and the levels of the missions in the systems are significant antecedents to the flow experience. Useful implications are presented and discussed based on the new findings.

일본 육상자위대의 고기능 전투복과 개인장구

  • Lee, Su-Sik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4 s.242
    • /
    • pp.82-87
    • /
    • 1999
  • 전투원(전투병사) 개인방호체계는 각개병사와 병사들이 전술적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 착용, 소모, 휴대하는 모든것을 포함하는 방호체계들의 시스템이다. 이러한 전투원 개인방호체계의 현대화 노력은 "위력", "지휘 및 통제", "생존성", "유지능력", "기능성"을 극대화하고 전투원 체계들을 디지털 전장에서 통합함으로써 전투상승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 PDF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Warfighting Experiment Process Using the Intelligent Maturity Model in Software Intensive Systems (지능형 성숙도 모델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집약 시스템의 전투실험 프로세스 설계 및 적용)

  • Kang, Dong-Su;Yoon, Hee-By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7 no.5
    • /
    • pp.668-673
    • /
    • 2007
  • We propose the design of the warfighting experiment process for software intensive systems using the intelligent maturity model and suggest the application results of the target searching capability in smart UAV. For this, we design the intelligent maturity model to evaluate the intelligent degree of the software intensive systems considering the domain and intelligent level. Then we classify the IS0/1EC-12207 process and CMMI process as LITO domain for designing the warfighting experiment process, map the classifed process to the five factors of the warfighting experiment and derive the process as warfighting experiment element and phase. Based on the derived process, we design the warfighting experiment process using the IDEF0. Finally we apply the proposed process to the target search capability and suggest the results which are required to develop and acquire the smart UAV.

Proposal of Information Model and a Modeler for Managing the Combat Systems (전투체계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모델과 모델러의 제안)

  • Ko, Min-Hyuk;Kim, Hyeon-Soo;Kuk, Seung-Hak;Kim, Chum-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69-71
    • /
    • 2012
  • 전투체계는 일반적으로 대규모 시스템으로 다양한 부체계들로 구성되며, 각각은 서로 다른 업체에서 독립적으로 개발되어 서로 다른 컴퓨팅 플랫폼에서 동작한다. 이러한 다양한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부체계들을 관리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래서 현재 전투체계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보모델을 이용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보모델은 플랫폼에 독립적인 형태로 구성하기 위해 XML을 이용한다. 그러나 전투체계와 같이 복잡한 시스템에 대한 정보모델을 사용자가 직접 관리하기란 쉽지 않다. 이는 관리 대상 체계들의 정보뿐만 아니라 하위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관계를 모델링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개념을 바탕으로 전투체계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모델을 제시하고, 정보모델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블록 기반으로 시스템들의 정보와 시스템들 간의 배치 관계 등을 표현할 수 있는 정보모델 모델러를 제안한다.

A Development of Flash Fire Prediction Program for Combat System (전투 시스템의 순간 화재 예측 프로그램 개발)

  • Hwang, Hun-Gyu;Lee, Jang-Se;Lee, Seung-Chul;Park, Young-Ju;Lee, Hae-Pye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1
    • /
    • pp.255-261
    • /
    • 2013
  • In this paper, we developed and tested a program for prediction flash fire in a combat system. Purposes of the program are flash fire prediction of combat system for analysis vulnerability and survivability, and visualization for fire-related information. To do this, we defined critical components of the combat system which has probabilities of flash fire occurrence, and proposed Flash Fire Probability Tree which is based on Fault Tree Analysis(FTA). The program visualizes positions of critical components in combat system, positions of penetrated components, selected Flash Fire Probability Tree, temperature profile, and tables for properties of matters.

정밀묘사 전투모델 특성 및 운용

  • 박래윤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1.05a
    • /
    • pp.124-124
    • /
    • 2001
  • 한국군 워게임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뮬레이션 모델은 주로 대부대 훈련 및 분석용 모델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대부대 전투모델은 전투요소를 부대단위로 통합하여 부대를 모의 실체(entity)로 설정하고 부대 대 부대의 교전상황을 개략적으로 묘사하므로 개별무기체계의 성능 및 효과분석을 필요로 하는 정밀 전투실험이나 연구개발 및 획득분야의 적용에 많은 제한을 받게 된다. 이러한 대부대 개략묘사 전투모델과 대조적인 개념의 정밀묘사 전투모델은 단위무기체계별 교전상황을 상세하게 묘사하므로 주로 소부대 전장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전투모의에서 활용된다. 최근 군사선진국에서는 국방환경의 변화와 함께 교육훈련 분야에서 합성전장 개념에 의한 과학화 훈련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러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전투모델도 보다 상세한 시스템의 상호작용 묘사가 필요하므로 정밀묘사 기법을 적용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 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정밀묘사 전투모델은 JANUS 모델과 EADSIM 모델을 예로 들 수 있지만, EADSIM 모델은 최근에 도입되어 실용화 연구 중에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한국국방연구원에서 운용하고 있는 JANUS 모델이 유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먼저 전투모델 분류방법 고찰을 통하여 정밀묘사 모델의 특성을 분석하고 한국군 정밀묘사 전투모델의 운용실태와 함께 한국형 정밀묘사 모델 개발전략을 모색하기로 한다.

  • PDF

A Development of 3D Penetration Analysis Program for Survivability Analysis of Combat System : Focused on Tank Model (전투 시스템 생존성 분석을 위한 3차원 관통 해석 프로그램 개발 : 전차 모델을 대상으로)

  • Hwang, Hun-Gyu;Lee, Jae-Woong;Lee, Jang-Se;Park, Jong-So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1
    • /
    • pp.244-250
    • /
    • 2015
  • Survivability is avoidance and tolerance ability of combat systems for accomplishing mission in battle field. Therefore, the combat system has to protect or minimize any damage from threats. For this reason, many modeling and simulation based studies which analyze vulnerability of the combat system by threats, are in progress to improve survivability of the combat system.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3D penetration analysis program for survivability analysis of combat system. To do this, we applied the penetration analysis equation to threat and protection performance of tank. Also we implemented simple tank models based on 3D CAD, and tested the developed program using the implemented tank models. As a result, we verified the developed program that is possible to analyze penetration by threat and protection performance of tank and to visualize its result, based on scen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