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 상류주거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전통 상류주택 안채의 측면 툇마루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ide-TeoMaru of An-Chae(Inner Quter) of upper-class houses in traditional residence.)

  • 김난아;백영흠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75-78
    • /
    • 2000
  • This study purpose that researching Side- TeoMaru of upper-class houses in traditional An-Chae space and researching regional characteristics. Side-TeoMaru type is An-Bang and Gunner-Bang. That is found Chungchong-Do, Cholla-Do, Kyongsangnam-Do. I found different distribution in this region. This study has researched by measurement and personal interview.

  • PDF

경남 하동지역의 전통 상류주거 (A Study on the Traditional Noble House in the Ha-Dong Area, Kyeong-Nam)

  • 김화봉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1호
    • /
    • pp.49-6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s of traditional noble houses style of Ha-Dong area in Kyeong-Nam. The sequence of this study is at first finding the list of survey object, and investigating of those houses, after than drawing the site and floor plan, and lately analysis the characters of inner and outer space of them. It required six month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m are as follows. 1. The noble traditional houses in Ha-Dong are found eight samples which are not noticed in academic society. 2. The constructions of noble housing in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are divided in three parts as a general role. Its grade is similar in Ha-Dong. The number of traditional noble house of (old) volunteer class is two cases. The (new) rich-farmer class is four cases. And there are two cases of (long) authority class. 3. The type of site plan is based on Korean south area style which is the style of departed rectangular type. But outdoor spaces are divided in several space by many fence than other area. It is the special item of construction. 4. The special character of indoor space is the use of 'Gong-ru'. It is called similar space used in top of main entrance building of large building. But it is located in various space in Ha-dong. It is included in any space of Sarang-Che, An-Che, Are-Che. The traditional noble houses of Ha-Dong area have special spacial characters. For long time there space was developed based on local identity. And its characters was divided various classes. Thus Ha-Dong area is definite place of useful identified traditional culture.

  • PDF

전통주거공간의 환경친화적 설계기법 추출 및 현대적 적용 - 경상북도 독락당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Environmentally-friendly Design Techniques Extract and Applying Modern of Traditional Residential Area - The Case of Dokrakdang in Kyungbuk Province -)

  • 허준;송병화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63-72
    • /
    • 2011
  • 본 연구는 전통주거공간 속에서 환경친화적인 설계기법과 원칙을 파악하여 그 원리를 재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문헌연구를 통해 전통주거공간에 반영된 환경친화성을 자원보전적 측면, 입지적 측면, 공간구성적 측면으로 구분하고, 사례지를 선정하여 현대적 적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사례지는 조선시대에 조영된 상류주택 중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고 있으며, 양호한 건축년도가 명확한 주택인 독락당을 선정하였다. 입지적 측면에서는 지형의 변경을 최소화하는 건물축조기법을 하고 있었으며, 환경보전적 측면에서는 열환경조절을 위해 실내 온도를 조절한 기법을 볼 수 있었다. 물질순환 측면에서는 자연재료의 재활용을 하고 있었으며, 수순환기법 및 조절을 통해 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경관조망을 중요시 하여 내부에서 외부로 바라보는 경관의 다양한 조절을 통하여 내부공간을 외부로 확장시키고 끌어들이는 기법을 활용하였다. 현대적 공간에서의 전통성 추구는 단순히 단절된 전통의 복원이나 회복에 있기 보다는 전통 공간 속에 내재하는 구성원리 등을 추출하여 현대의 사회적, 문화적 환경공간에 대한 이해의 바탕위에서 수용 가능하다. 전통주거공간에 있어서 환경친화적 설계기법은 오랜 시간동안 경험에 의해 발전된 것으로 이의 현대적 적용은 지구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고 쾌적한 인간의 생활환경을 창출해 낸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상류 전통주거 거창(居昌) 동계(桐溪) 정온(鄭蘊) 종택의 공간과 생활의 복원을 통한 해석 (Interpretation of the Jeong-On's Mansion, Traditional Upper Class House, in Geochang Focused on Dweller's Life)

  • 박희영;이희봉
    • 건축역사연구
    • /
    • 제12권3호
    • /
    • pp.131-148
    • /
    • 2003
  • This study has main purpose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house, not by outside researcher's but by inside dweller's view. The house in Geochang, is descendent house of Jeong-On who was faithful scholar at Chosen Dynasty. In order to understand, I restore firstly the house form and space at traditional era, 60 years ago, and every dwellers not only family members but also servants and guests, by interviewing old matriarch. One of the main rules of the house disposition is Ancester worshipping life. Worshipping floor of Anchae, main building, is located unusually in front of Shrine for Jeong-On, in order to connect all activities directly. Sarangchae, men's building, opened to the funeral mourners, is separated by a wall because women have to serve foods and wail at the backside. Space for everyday life is separated by man/woman, insider/outsider, master/subordinate. Agricultural production is also key factor of the space allocation: big storage buildings for rice crop needed to tenant farming. Both activities of ancestor worship ceremony and guest greeting need large kitchen annex area for food preparation and serving space of rear veranda floor. A number of guests visit the house: guest-greeting activity is taken place from the family pavilion, Neungheo-Jeong and Saranchae by the social position. This study show that architectural space and form of the house reflects exactly dwellers life.

  • PDF

관가정(觀稼亭)으로 본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환경친화적 계획요소 분석 (A Study on the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Elements on High-Class Houses Kuangajeong in Chosun Dynasty)

  • 허준;이시영;송병화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3호
    • /
    • pp.164-177
    • /
    • 2011
  • 본 연구는 전통주거공간 속에 반영된 환경친화적인 계획기법과 원칙을 파악하여 그 원리를 재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대표적 전통 주거공간인 경상북도 경주시 양동마을의 관가정을 대상으로, 문헌연구와 현장연구를 통해 주거공간에 표출되거나 내재된 환경친화성 원리 및 기법을 입지선정 및 공간구성, 자연에너지 활용, 자연재료 활용 등으로 구분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는 결과는 입지적 측면에서 남동향을 취하여 일사 및 일조의 환경조절측면을 고려하고 있었으며, 지형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건물축조기법으로 조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환경보전적 측면에서는 대문간-안마당-안대청으로 바람의 통풍이 가능하도록 구조적으로 배치하였으며, 공간구성적 측면에서는 경관의 조망을 중시하여 담장의 조절을 통해 외부 경관을 끌어들이는 수법을 활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전통공간에 있어서 환경친화적 기법 및 조절원리는 오랜 기간 동안 경험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지역기후와 지역환경에 적합한 많은 전통적인 기법들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기법들을 추출하여 기술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은 지구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쾌적한 인간의 생활환경을 창출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겠다.

조선시대(朝鮮時代) 구자형(口字型) 상류주택(上流住宅)의 공간구성체계(空間構成體系)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patial Organization System of the Upper Class Houses of '口-shaped' type in Choson Dynasty)

  • 김기덕;이재헌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57-70
    • /
    • 2001
  • The spatial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is based on the relation of spaces in the background of humanism, society, an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t in this study, we make conclusions as follows; 1) Two compositive axises are formed according to age, sex and status which are the main factors of society and culture in the traditional society. 2) The house of '口-shaped' type in the traditional houses concentrates to the interior. To the exterior, it has the closed and conservative system. The wall in the outside of An-Chae intercepts the sight outward and the extension of space, while the wall in the inside is composed of doors and windows which make the sight and space concentrate to the interior. On the contrary, the doors and windows of Sarang-bang and Nu-maru of Sarang-chae open and extend to the exterior. 3)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traditional houses is composed of geometrical order system and organic order system.

  • PDF

전통주거안채의 정면비례체계에 관한 연구 - 전남지방 중.상류 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ront Elevation Proportion System in Traditional Housing 'An-Chae' - Focused on the Middle-High Classes' Housing in Jeonnam District -)

  • 박지민;천득염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4호
    • /
    • pp.73-8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correlations among various factors what determined to formation of front elevation proportion system through making an actual survey and investigat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m, we make conclusions as follows; 1, On the assumption that average distance of 1Kan(間) is 1, the height of foundation is 0.21, the height of floor from foundation is 0.24, the height of normal column from floor is 0.85, the height of eaves from foundation is 1.10. 2. Southeast faced buildings are wider than southwest faced buildings in the distance of 1Kan (間) in the range of $110{sim}220mm$. The height of foundation and floor in the southeast faced buildings are higher than those in southwest faced buildings beside the height of normal column, eaves, high column in the southwest faced buildings are higher than those in southeast faced buildings. 3. As number of front Kan(間) increases, the distance of 1Kan(間) decrease and the height of eaves and high column(高柱) increases. This is cause of making a maximum needed inner space by increasing the distance of 1Kan(間). This is an wisdom for living from ancestors. 4. As number of Dori(道里) increases, the distances of 1Kan are nearly same but the height of eaves and high column(高柱) increases about 300mm, This is a natural result from an increasing of building scale. 5. The distance of 1Kan(間) in later 19C building is most wide but, the unit heights are minimal average values at year 1900 as a reference mark. After this, the height of normal column, eaves, high column are higher about $170{sim}330mm$. 6. The number of Kan in front elevation, Dori(道里), and direction of building have correlations each other in proportion system of traditional housing An-Chae with significant level, p<0.05.

  • PDF

경계구조 유형과 공간적 효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 서울경기 소개 조선후기 상류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space boundary system and spatial effect -focused on the space analysis case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 윤갑근;이시웅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호
    • /
    • pp.42-48
    • /
    • 2001
  • This study is on the relations between space boundary system and spatial effects. The system is consist of circulation axis & territory and vision axis & vision limit. The former is the spatial characteristic and the later is the time one.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confirm the correlation of the both and the spatial effect which is caused by space boundary system. Boundary is enable us to cognize 'territory' and intermediary of each territories. The facts that forms space boundary system are circulation axis & territory and vision axis & vision limit. The space boundary system could be categorized by congregation of these facts. and categorizing is determined with agreement degree of each couple of facts. Categorizing facts on the space boundary system are relevant to spatial effect, especially territory, directness, continuity and concentration.

  • PDF

한·중·일 전통주거의 재료적용 특성 비교 연구 - 각국 대표 상류주택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Application of Material in Traditional Residents of Korea, China and Japan - Focusing on Representative Upper-class House -)

  • 김휘경;최경란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19권
    • /
    • pp.293-305
    • /
    • 2015
  • 글로벌 시대의 대두와 동시에 각 나라 고유의 문화적 특성이 중요시 되는 현 시점에서, 자국의 문화정체성 확립은 이제 필수 불가결한 요소가 되었다. 이에 전통문화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주거건축의 연구는 총체적인 문화연구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 가치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조형의 기본요소인 재료를 중심으로 실제적인 조사를 통해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건축의 적용 특성을 파악하여, 동아시아의 주거건축문화를 비교하는 동시에 우리나라만의 고유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는 문헌조사와 현지답사를 함께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이된 건축물은 한국(반가) - 무첨당, 중국(사합원) - 공왕부, 일본(쇼인츠쿠리) - 도큐도이다. 한·중·일의 건축 재료는 목재, 석재, 토재의 자연재료와 금속재, 지재, 기와, 전, 유리 등의 인공재료를 조합하여 건축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런 공통적 특징은 건축구성적인 부분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실내구성으로 갈수록 서로 다른 재료의 선택과 적용의 차이를 보이며 각 나라의 풍토, 가공방식, 생활문화에 맞는 재료를 선택하여 적용하고 있었다. 먼저 나라마다 식생과 기후에 영향을 받은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각 나라의 식생환경을 주거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입식-좌식 문화의 특성, 실내구성에서 종이 마감 등 한국과 일본이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반면, 중국은 확연히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재료의 가공과 관련해서 한국은 인위적 가공을 줄여 대체적으로 거칠고 투박한 질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반면, 일본은 직재의 사용으로 정돈되고 세련된 느낌의 건축 표현이 이루어졌다. 중국은 세 나라 중에 재료의 인위적 가공이 가장 높았으며, 중국의 채색문화와 관련이 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벽돌, 유리 등 세부 건축 재료에 관련 기술들이 상당히 발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국의 건축이 중국과 일본의 중간적 성격을 띄고 있다' 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상반되는 것으로 재료적 측면에 있어서는 자연미를 강조한 한국과 인위적인 미를 강조한 중국에 일본이 중간적 입장에서 재료를 적용한 모습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재료의 비교를 통해 한·중·일의 풍토성, 기능성, 심미성 등의 비물질적 요소가 주거와 어떤 관련을 가지고 적용되었는지 본 논문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