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nvironmentally-friendly Design Techniques Extract and Applying Modern of Traditional Residential Area - The Case of Dokrakdang in Kyungbuk Province -

전통주거공간의 환경친화적 설계기법 추출 및 현대적 적용 - 경상북도 독락당을 사례로 -

  • Heo, J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shin University) ;
  • Song, Byeong Hwa (Dept. of Flower. Floral Plant Coodi & Landscape Architecture, Woosong College)
  • 허준 (동신대학교 조경학과) ;
  • 송병화 (우송정보대학 플라워코디.조경과)
  • Received : 2011.05.02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a traditional residential area i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sign techniques to identify the techniques and principles that have been carried out to reestablish the principles. To do this, through literature review environmental performance is reflected in the traditional residential area side of resources conservation, locational aspects, spatial configuration, and how cases were selected looking for ways to apply modern. Are examples of upper class housing in the Chosen Dynasty Period period construction relatively well-preserved round and a good building with a clear housing Dokrakdang year were selected. Locational aspects of the terrain with minimal changes to the building and construction techniques were entirely in term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environmental temperature was adjusted to regulate the room temperature technique could be seen. In terms of cycling in natural materials were recycled. and water make used of positive through water cycling technique & water control.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landscape views overlooking the landscape from inside to outside through the regulation of the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space technique was used to attract and expand. Traditionality in the pursuit of modern space, simply cut off because of tradition rather than to restore or recover the organizing principle inherent in the traditional space, and extraction of the contemporary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understanding of space is acceptable in basis. Environmentally-friendly design techniques in a traditional residential area for a long time to be developed by the experience of its application of modern environmental and energy problems and pleasant environment to the creation of human life and are subject to significant swings in that.

본 연구는 전통주거공간 속에서 환경친화적인 설계기법과 원칙을 파악하여 그 원리를 재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문헌연구를 통해 전통주거공간에 반영된 환경친화성을 자원보전적 측면, 입지적 측면, 공간구성적 측면으로 구분하고, 사례지를 선정하여 현대적 적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사례지는 조선시대에 조영된 상류주택 중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고 있으며, 양호한 건축년도가 명확한 주택인 독락당을 선정하였다. 입지적 측면에서는 지형의 변경을 최소화하는 건물축조기법을 하고 있었으며, 환경보전적 측면에서는 열환경조절을 위해 실내 온도를 조절한 기법을 볼 수 있었다. 물질순환 측면에서는 자연재료의 재활용을 하고 있었으며, 수순환기법 및 조절을 통해 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경관조망을 중요시 하여 내부에서 외부로 바라보는 경관의 다양한 조절을 통하여 내부공간을 외부로 확장시키고 끌어들이는 기법을 활용하였다. 현대적 공간에서의 전통성 추구는 단순히 단절된 전통의 복원이나 회복에 있기 보다는 전통 공간 속에 내재하는 구성원리 등을 추출하여 현대의 사회적, 문화적 환경공간에 대한 이해의 바탕위에서 수용 가능하다. 전통주거공간에 있어서 환경친화적 설계기법은 오랜 시간동안 경험에 의해 발전된 것으로 이의 현대적 적용은 지구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고 쾌적한 인간의 생활환경을 창출해 낸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영일, 이재근(2005). 한국현대 조경작품의 한국성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학회지. 23(2): 116-134.
  2. 김봉열(2006). 김봉열의 한국건축 이야기2. 일과 삶의 공간. 파주: 돌베개. pp.120-121.
  3. 김은주, 류호창(2002). 풍수지리적 관점에서 본 전통주거 공간구성의 생태학적 특성. 한국기초조형학회지. 3(1): 189-197.
  4. 김은희(2001). 생태학적 접근에 따른 건축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석사논문.
  5. 류지원, 김정환, 정응호, 김수봉(2003). 공동주택단지의 환경친화형 계획원리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21(2): 76-86.
  6. 문화재청(2002). 독락당 실측조사보고서(본문).
  7. 문화재청(2002). 독락당 실측조사보고서(도판).
  8. 소현수, 김해경, 최기수(2006). 주거단지 외부공간에서의 전통 재현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2): 86-100.
  9. 신상섭, 곽병화(1991). 전통주택의 공간구성과 정원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9(1): 31-52.
  10. 신상섭, 이명우(1998). 현대 주택정원의 전통계승기법 적용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6(3): 41-53.
  11. 양병이(1991). 한국조경에서의 전통계승. 환경과 조경. 39: 48-52.
  12. 이경회(1993). 한국 전통건축의 자연환경 조절방법과 그 원리의 현대화. 대한건축학회지. 37(5): 8-16.
  13. 이승민, 최기수(2002). 회재 이언적의 조영관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20(3): 15-25.
  14. 정윤영, 성종상, 배정한(2011). 독락당 원림 경관조영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9(1): 96-105.
  15. 주급원, 최만진(2010). 한국전통민가주택의 친환경적 특성에 관한 연구: 낙안읍성민속마을을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17(3): 549-585.
  16. 한필원(1996). 전통마을의 환경생태적 해석: 경북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 원터마을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7): 121-132.
  17. 현중영, 박찬용(1998). 조선시대 전통주택 풍수의 좌향-양동마을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6(3): 55-63.
  18. 홍형순, 이유경, 김도경(2002). 전통조경요소의 키치적 변용과 그 양상. 힌국전통조경학회지. 20(4): 66-78.
  19. Amos Rapoport(1985). 주거형태와 문화. 이규목 역. 서울: 열화당. pp.7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