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Application of Material in Traditional Residents of Korea, China and Japan - Focusing on Representative Upper-class House -

한·중·일 전통주거의 재료적용 특성 비교 연구 - 각국 대표 상류주택을 중심으로 -

  • Kim, Hwi Kyung (Space Design, Graduate School of Kookmin University) ;
  • Choi, Kyung Ran (Space Design,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 김휘경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공간디자인학과) ;
  • 최경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실내디자인과)
  • Received : 2015.02.17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At the same time the unique cultural traits of each country are valued, it has become an essential element to establish the cultural identity of a country. This study is aimed at comparing the residence architectural cultures in East-Asia and thus identifying Korea's own unique traits by determining the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chitectures of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practical investigation of materials, a basic element of architectural shaping. Literature survey and field study were conducted in parallel for this study, and architectural buildings under investigation included Mucheomdang House in Korea, Prince Gong Mansion in China and Dokyudo Building in Japan. Construction materials in Korea, China and Japan include natural materials such as wood, stone and clay, and artificial materials such as metals, paper, roof tiles, plug and glass. and the buildings were constructed with the combination of these materials. This commonality can be often found in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However, in the interior composition, the choice and application of different materials were clear between three countries, which were shown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climates, processing methods and living culture of each country. First of all, since each country selected materials under the influence of its own vegetation and climates, living environment of each country could be seen via its residence. Also, it could be seen that while Korea and Japan show a certain similarity such as the traits of standing-sitting culture and the finish of paper in the interior, China is clearly different. In particular, regarding the material processing, the artificial processing was minimized in Korea, which mainly gave rough and crude feelings while due to the use of straight timbers, the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with organized and refined feelings was made in Japan. China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artificial processing of materials among three countries, which was highly associated with the coloring culture of China. Also, it could be seen that technology related to fine architectural materials such as bricks and glass was greatly advanced in China. Thus, how immaterial elements such as natural characteristics,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were applied in relation to residence in Korea, Japan and China could be determined through the comparison of architectural materials.

글로벌 시대의 대두와 동시에 각 나라 고유의 문화적 특성이 중요시 되는 현 시점에서, 자국의 문화정체성 확립은 이제 필수 불가결한 요소가 되었다. 이에 전통문화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주거건축의 연구는 총체적인 문화연구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 가치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조형의 기본요소인 재료를 중심으로 실제적인 조사를 통해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건축의 적용 특성을 파악하여, 동아시아의 주거건축문화를 비교하는 동시에 우리나라만의 고유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는 문헌조사와 현지답사를 함께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이된 건축물은 한국(반가) - 무첨당, 중국(사합원) - 공왕부, 일본(쇼인츠쿠리) - 도큐도이다. 한·중·일의 건축 재료는 목재, 석재, 토재의 자연재료와 금속재, 지재, 기와, 전, 유리 등의 인공재료를 조합하여 건축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런 공통적 특징은 건축구성적인 부분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실내구성으로 갈수록 서로 다른 재료의 선택과 적용의 차이를 보이며 각 나라의 풍토, 가공방식, 생활문화에 맞는 재료를 선택하여 적용하고 있었다. 먼저 나라마다 식생과 기후에 영향을 받은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각 나라의 식생환경을 주거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입식-좌식 문화의 특성, 실내구성에서 종이 마감 등 한국과 일본이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반면, 중국은 확연히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재료의 가공과 관련해서 한국은 인위적 가공을 줄여 대체적으로 거칠고 투박한 질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반면, 일본은 직재의 사용으로 정돈되고 세련된 느낌의 건축 표현이 이루어졌다. 중국은 세 나라 중에 재료의 인위적 가공이 가장 높았으며, 중국의 채색문화와 관련이 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벽돌, 유리 등 세부 건축 재료에 관련 기술들이 상당히 발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국의 건축이 중국과 일본의 중간적 성격을 띄고 있다' 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상반되는 것으로 재료적 측면에 있어서는 자연미를 강조한 한국과 인위적인 미를 강조한 중국에 일본이 중간적 입장에서 재료를 적용한 모습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재료의 비교를 통해 한·중·일의 풍토성, 기능성, 심미성 등의 비물질적 요소가 주거와 어떤 관련을 가지고 적용되었는지 본 논문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