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통기술

Search Result 2,97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igital Restora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al Buildings Using Multimedia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멀티미디어 및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전통목조건축물 디지털 복원)

  • Lee, Kang-Hun;Cho, Sae-Ho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6 no.2
    • /
    • pp.206-212
    • /
    • 2013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ICT) represented by Multimedia, Virtual Reality and Network could be used as the better ways to preserve and restore the original shape of cultural contents. This paper presents the detailed methods of Multimedia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to digitally implement the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which are called as a typical 'Korean Cultural Content." We implemented a 3D modeling of architectural parts, realized a roof curve, and texture-mapped the material qualities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by using Graphic techniques. In addition, the information, which is implemented by marker-based Augment Reality, for the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can be obtained through the mobile appliances such as a smart phone. We, also, presented how to practically use the implemented digital Korea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Digitalization Strategy of Traditional Industries (전통산업의 디지털 전략)

  • 장승권;박윤규;전기정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2.05a
    • /
    • pp.173-175
    • /
    • 2002
  • 본 논문은 전통산업의 디지털 전략에 대해 토론한다.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산업이 등장하고 있으며 동시에 전통산업도 변화하고 있는데, 이를 디지털전략이라는 관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전통산업은 인터넷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전략적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본 연구는 이를 네 가지 유형으로 설명하였다. 유형화를 위하여 두 축을 사용한다. 첫째는 디지털전략 방향이며 여기에는 합리화와 신사업추구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둘째는 디지털화 대상이며 이를 제품과 프로세스로 나눌 수 있다. 이런 유형화를 바탕으로 네가지 디지털 전략을 이름 붙여, 제품혁신전략, 신사업전략, 합리화전략 그리고 프로세스혁신전략이라 부른다.

한국의 전통 수산식품에 관하여

  • 김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6.12a
    • /
    • pp.117-125
    • /
    • 1996
  • 우리 나라 수산식품은 삼면의 바다에서 생산되는 풍부한 자원으로 이를 가공하여온 오랜 전통이 있으나, 최근에 와서 이런 전통들이 없어졌거나 계승되었다 할지라도 사라져 가고 있다. 전해 내려오는 전통수산식품을 정리해보면 1. 서구에서는 가공되어 왔으나 우리 나라에서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왔던 훈제품으로 은어 훈제품, 청어 훈제품이 있었다. 2. 가자미, 서대, 도다리 등은 중간수분식품으로 가공되어 왔으며 지금도 유통되고 있다. 3. 동건품인 황태와 염건품인 굴비는 발효를 겸한 식품이다. 4. 염건 숭어알은 특이한 가공품이다. 5. 멸치, 굴, 홍합자숙액으로 魚간장을 제조했었다. 6. 어리굴젓, 꼴뚜기젓 등은 숙성을 잘 이용한 저염 젓갈이다. 7. 멸치젓, 새우젓, 곤쟁이젓 조기젓 등으로 만든 젓국은 약염으로 이용되어 왔다. 8. 홍합, 굴, 바지락, 해상 등 장기 보장을 위해 자건품이 가공되었다.

  • PDF

Identity and a view to the future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ion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정체성과 미래의 전망)

  • Koo, Bo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6 no.3
    • /
    • pp.93-113
    • /
    • 2002
  • The Study focused on the four area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changing identity of the LIS Professionals, and change in LIS curricula. Second, the study addressed the transition from the traditional library to the virtual model. Third, the study asked how the traditional technical service of LIS professionals is changing to user-centered service. Finally, the study viewed the skills and the roles of the LIS professionals.

기획특집-전통과학과 현대과학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6 no.6 s.289
    • /
    • pp.43-63
    • /
    • 1993
  • 오늘 날 인류는 심각한 환경오염과 자원고갈로 말미암아 지속적인 발전은 물론 생존 자체 마저 위협을 느끼고 있다. 인류가 직면한 이같은 현대과학기술의 역기능 문제들을 전통과학기술과의 조화로 풀 수 있지 않을가. 국내외 석학들의 의견을 종합해 본다.

  • PDF

A Study on the Ordering Status of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Service in Cultural Heritage (문화재의 전통조경설계용역 발주실태 연구)

  • Kim, Min-Seon;Kim, Choong-Sik;Lee, Jae-Y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3
    • /
    • pp.33-41
    • /
    • 2021
  • This study identified the scale that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has taken up by analyzing a total of 1037 services for design of cultural heritage that had been ordered by the government agencies from 2018 to 2020, and has draw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focusing on major ca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order cases for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has shown differences annually in the services of design of cultural heritage, but the design amount has been found to have the similar average annually, which confirmed that the same level has been maintained each year.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cases of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requiring responsibilities or participations of landscape engineers for 3 years in the entire design had a high proportion of approximately 26%. Second, the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has requir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landscape engineers that could not be replaced by the business operator for design of cultural heritage consisting of architects. The expertise has been shown differently depending on types of construction. First, the topographical design for the work to build a foundation has required understanding of ground shapes and its elevations and professional knowledge on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the earth work and the remains maintenance technique etc. The plantation design has required basic knowledge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trees and the environment for growth and understanding of the vegetation landscape of the past. Meanwhile, the design for traditional pavement and traditional landscape structures and facilities has required the expertise on traditional material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modern ones and their processing and construction methods. The understanding of changes to water paths and ecosystem, the principles of fluid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fluid was essential for the design for the ecological landscape work including the maintenance of a water system such as rivers etc. As such, the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has a scale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one fourth of the entire cultural heritage design and requires the expertise differentiated from other fields. This improves the provisions of the current law on limiting the actual design, suggesting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company so that all traditional landscape designs can be carried out by landscape engineers.

Y-세대

  • Jeong, Beom-Jin
    • Nuclear industry
    • /
    • v.26 no.10 s.284
    • /
    • pp.2-3
    • /
    • 2006
  • Y-세대의 특징은 명령과 통제라는 전통적인 방식의 관리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현실적이며 이재에 밝다는 점이다. Y-세대는 자기 성취나 일과 삶의 균형을 더 소중하게 여긴다. 직장에 대한 충성이라는 관념에는 회의적이라 한 직장이나 직업에 오래 머무르지 않는 편이다. 오래된 기술 분야는 이제 막 탄생한 기술 분야에 비하여 많은 전통을 가진다. 이러한 분야에서는 천재보다는 오랜 경험으로 숙련되고 안목을 형성한 직원을 필요로 한다. 2000년 이후 미국의 걱정거리는 "과연 Y-세대를 데리고 전통적인 기술 분야를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이다. 그것은 우리 원자력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 PDF

이달의 과학자-서울대 임산공학과 이전제 교수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1 no.4 s.347
    • /
    • pp.82-83
    • /
    • 1998
  • 새로운 목재사용 전통목조건축 재현 연구-우리나라에서 건축 부자재로 사용되는 목재는 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시멘트 등을 재료로 한 건축이 늘면서 전통적인 우리의 건축양식이 사라져 버렸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대 임산공학과 이전제교수(47세)는 우리의 전통목조건축을 새로운 목질재료를 사용하여 재현할 수 있는 연구를 하고 있다. 서울대 미식축구부 지도교수 겸 감독을 맡고 있는 이교수의 학문세계를 조명해본다,

  • PDF

Feature - Value of traditional Ondol technology and Proposition for modernization, industrialization (기고 - 전통온돌기술의 가치와 현대화, 산업화를 위한 제언)

  • Kim, June-bong
    • Korean Architects
    • /
    • s.559
    • /
    • pp.192-197
    • /
    • 2015
  • 최근 들어 박근혜 정부가 집권 2년 반을 맞아 새로운 문화융성 정책을 발표했는데, 그 중 핵심이 전통문화를 통한 창조경제 실현에 대한 얘기다. 대통령은 국정 최고책임자로서 "우리 고유한 전통음악, 무용, 문양, 구들장, 비법, 한복 등의 핵심인물 등을 찾아서 그것을 어떻게 세계문화와 교류하고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한 논의와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고, 이에 정부가 온돌, 구들장, 황토방 등 친환경 건축기술 현대화 & 세계화 사업을 진행할 계획을 추진한다고 했다. 아직은 구체적으로 나온 계획은 없고 일단 큰 틀만 있는 상태인 것으로 보이는데 이에 대하여 한옥과 온돌을 연구하고 기술자를 양성하고 있는 전문가로서 참고가 되리라 생각하여 이글을 쓴다.

  • PDF

A Study on Object Picking Recognition for Flexible packaging (유연포장을 위한 전통장류 물체 파지 영역 인식에 관한 연구)

  • Shin, Dongin;Trung, BuiMinh;Kim, Bong-Seok;Kim, Youngouk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1.11a
    • /
    • pp.600-601
    • /
    • 2021
  • 식품제조 현장에서 유연포장을 수행하기 위해, 로봇이 다양한 제품들을 파지하거나 이송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장류 식품제조에서 다양한 종류와 무게를 조합하는 혼합포장을 위해 전통장류 물체 영역 인식과 종류 인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대표적인 전통장류에 대해 종류를 분류하고, RGB-D 데이터를 입력으로 물체 영역과 종류 인식을 수행하는 딥러닝 네트워크를 학습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물체 영역의 중심점을 기반으로 흡착 기반 파지점을 선정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