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문화재의 전통조경설계용역 발주실태 연구

A Study on the Ordering Status of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Service in Cultural Heritage

  • 김민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김충식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이재용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 Kim, Min-Seon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Kim, Choong-Sik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Lee, Jae-Yong (Dep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21.04.15
  • 심사 : 2021.09.07
  • 발행 : 2021.09.30

초록

문화재 설계용역을 수급하기 위해서는 현행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 제5조(문화재수리 및 실측설계 제한)에 따라 건축사가 운영하는 문화재실측설계업자만 입찰에 참가할 수 있고, 전체 설계에서 일정 비율이나 금액의 전통조경설계가 포함된 경우 조경기술자가 제한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법의 실측설계 제한에 대한 문제점은 2010년 제정 당시부터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정부기관에서 발주한 1037건의 문화재실측설계용역을 분석하여 전통조경설계가 차지하는 규모(발주건수, 설계금액)를 파악하고, 주요 사례를 중심으로 전통조경설계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년간 문화재실측설계용역에서 전통조경설계의 발주건수는 연간 차이를 보였으나, 설계금액은 연평균 근사(近似)하게 나타나 매년 동일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설계에서 3년간 조경기술자의 책임 또는 참여가 요구된 전통조경설계의 건수는 약 26%의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전통조경설계는 건축사로 구성된 문화재실측설계업자가 대체할 수 없는 조경기술자의 전문지식과 경험이 요구되었다. 전문성은 공사의 종류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기반조성 공사를 위한 지형설계는 땅의 형상과 높낮이에 대한 이해, 토공량 계산, 유구정비기법 등에 관한 전문지식이 요구되었다. 식재공사를 위한 설계는 수목의 생육특성과 생육환경에 대한 기본지식과 과거 식생경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였다. 한편, 전통포장 및 전통조경구조물과 시설물공사를 위한 설계는 전통 재료와 가공 및 시공기법의 전문성을 필요로 하였다. 계곡, 하천 등 수체계 정비를 포함하는 생태조경공사를 위한 설계는 물길과 생태계의 변화, 유체(流體)의 원리, 유체의 유형별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었다. 이 밖에 문화재지정구역 또는 보호구역과 등록문화재 내 공원조성 및 주변정비를 목적으로 시행된 복합설계는 문화재공간의 특수성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상시로 이용하는 공원의 기능을 충족해야 한다는 점에서 현대조경공간의 설계 능력이 겸비되어야 했다. 이처럼 전통조경설계는 전체 문화재 설계의 약 1/4을 차지하는 규모이며 설계에서 타 분야와 차별화된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 이는 현행 법령의 실측제한관련 조항을 개선하여 모든 전통조경설계를 조경기술자가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과 동시에 조경기술자가 직접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전통조경설계업체의 신설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scale that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has taken up by analyzing a total of 1037 services for design of cultural heritage that had been ordered by the government agencies from 2018 to 2020, and has draw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focusing on major ca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order cases for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has shown differences annually in the services of design of cultural heritage, but the design amount has been found to have the similar average annually, which confirmed that the same level has been maintained each year.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cases of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requiring responsibilities or participations of landscape engineers for 3 years in the entire design had a high proportion of approximately 26%. Second, the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has requir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landscape engineers that could not be replaced by the business operator for design of cultural heritage consisting of architects. The expertise has been shown differently depending on types of construction. First, the topographical design for the work to build a foundation has required understanding of ground shapes and its elevations and professional knowledge on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the earth work and the remains maintenance technique etc. The plantation design has required basic knowledge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trees and the environment for growth and understanding of the vegetation landscape of the past. Meanwhile, the design for traditional pavement and traditional landscape structures and facilities has required the expertise on traditional material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modern ones and their processing and construction methods. The understanding of changes to water paths and ecosystem, the principles of fluid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fluid was essential for the design for the ecological landscape work including the maintenance of a water system such as rivers etc. As such, the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has a scale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one fourth of the entire cultural heritage design and requires the expertise differentiated from other fields. This improves the provisions of the current law on limiting the actual design, suggesting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company so that all traditional landscape designs can be carried out by landscape engineers.

키워드

참고문헌

  1. 문화재청(2020). 2020년 주요업무계획. p.12.
  2. 문화재청(2021). 2021년 주요업무계획. pp.21-22.
  3. 김석순(2010). 문화재 실측설계의 법과 제도.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243-244.
  4. 이창환(2015). 문화재조경설계, 분리발주 필요하다. 월간 에코스케이프 088호. p.38.
  5. 조한구, 강영조(2018). 서울시 문화재 수리 공사의 발주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7(1): 10-25. https://doi.org/10.9715/KILA.2019.47.1.010
  6. 이정한(2019).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를 통해 본 전통조경공간 설계 시공방법.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7(4): 1-10. https://doi.org/10.14700/KITLA.2019.37.4.001
  7.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
  8. 문화재청 고시(2020).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
  9. 국토교통부 고시(2019). 조경 설계기준 및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10.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세종대왕유적관리소(2019). 영릉 연지 복원정비 실시설계 용역 입찰공고서.
  11. 충주시(2020). 충주읍성 상연지 복원 실시설계용역 입찰공고서.
  12.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경복궁관리소(2020). 경복궁 자경전 권역 조경 정비 설계용역 입찰공고서.
  13. 공주시(2018). 2018년 공주 공산성 수목정비사업 설계용역 입찰공고서.
  14. 태안군(2020). 안흥진성 수목정비공사 입찰공고서.
  15. 공주시(2020). 공주 수촌리 고분군 수목 정비 사업 설계용역 입찰공고서.
  16.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2020). 서울 의릉 역사경관림 조경 정비 실시 설계 용역 입찰공고서.
  17.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세종대왕유적관리소(2020). 영릉과 영릉 테마형 숲길 조성 실시설계용역 입찰공고서.
  18. 하남시(2018). 하남 이성산성 식생복원 및 탐방로 개설공사 실시설계 용역 입찰공고서.
  19. 제주특별자치도(2018). 제주 상효동 한란 자생지 관람데크 보완 사업 실시설계 용역 입찰공고서.
  20. 인제군(2020). 대암산 천연보호구역 탐방로 보수공사 실시설계 용역 입찰공고서.
  21. 정읍시(2018). 김명관고택 연못보수 및 주변정비공사 설계용역 입찰공고서.
  22. 공주시(2019). 공산성 연지 보수정비 설계용역 입찰공고서.
  23. 신현실(2019). 발굴유적 외부공간의 유형별 경관계획 및 조경시공 원칙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6(4): 58-69. https://doi.org/10.14700/KITLA.2018.36.4.058
  24. 충주시(2018). 충주 조동리 선사유적 복원사업 실시설계용역 입찰공고서.
  25. 봉화군(2018).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 탐방로 조성 실시설계용역 입찰공고서.
  26. 서울주택도시공사(2020). 은평 문화공원 3호(진관동 문호재보호구역) 설계용역 입찰공고서.
  27. 아산시(2018). 둔포 신항리 근대문화마을 보수정비공사 설계용역 입찰공고서.
  28. 군산시(2018). 군산 신흥동 일본식가옥 주변정비 공사 설계용역 입찰공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