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체 탐색

Search Result 1,12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Initialization of Cost Function for ML-Based DOA Estimation (ML 알고리즘 기반의 도래각 추정을 위한 비용 함수의 초기화 방법 비교)

  • Jo, Sang-Ho;Lee, Joon-H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3 no.1C
    • /
    • pp.110-116
    • /
    • 2008
  • Maximum likelihood(ML) diretion-of-arrival(DOA) estimation is essentially optimization of multivariable nonlinear cost function. Since the final estimate is highly dependent on the initial estimate, an initialization is critical in nonlinear optimization. We propose a multi-dimensional(M-D) search scheme of uniform exhaustive search and improved exhaustive search. Improved exhaustive search is superior to uniform exhaustive search in terms of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the accuracy of the estimates.

The Use and Understanding of Keyword Searching in SELIS Online Public Access Catalogs (SELIS OPAC에 있어서 키워드탐색의 이용과 이해)

  • Koo Bo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3 no.2
    • /
    • pp.119-139
    • /
    • 1999
  • It 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o analyse users' understanding how keyword and boolean search work in SELIS(SEoul Women's University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OPAC. Results of analyses of the subject, SELIS OPAC system processing, are: comprehension percentage of keyword extraction is $67(22.48\%)$ out of total 298 persons, no comprehension is $231(77.52\%)$ understanding of boolean OR In keyword search appears $115(22.48\%)$ out of 297, no understanding does $182(77.52\%)$ : comprehension of boolean AND is $98(33.11\%)$ out of 296, no understanding appears $198(66.89\%)$ understanding of using boolean and symbols is $109(36.49\%)$ out of 285, no understanding is $181(63.51\%)$ which Is lower percentage generally. And in SELIS OPAC system, in Intentional analyses to see any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keyword search between experience of keyword search or no, It shows no difference in interrelation $5\%$ level of significance, but In boolean search it does in interrelation $5\%$ level of significance.

  • PDF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proper block and searching area size by using the total disparity of stereo pairs (스테레오 쌍의 전체불일치를 이용한 합리적인 블록과 탐색영역 크기 결정에 관한 연구)

  • 김성욱;김신환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4 no.12B
    • /
    • pp.2438-2446
    • /
    • 1999
  • Most of block based stereo pair compression schemes utilize the constant block size and searching area size for all the stereo pairs to find the best matching block. However, it is not efficient to use the same block size and size of searching area to all the stereo pairs, since each stereo pair has different dispar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calculate the total disparity of stereo pairs, and show how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block and searching area which are applied for the block based compression of the stereo pairs.

  • PDF

Real-Time Optical Flow Rendering (실시간 영상 생성을 위한 광학 흐름 요소 렌더링)

  • Park, Tae-Joon;Lee, Seungyong;Shin, Sung Yong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4 no.2
    • /
    • pp.15-28
    • /
    • 1998
  • 최근 영상 기반 렌더링(image-based rendering)을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으로서 광학 흐름 요소 렌더링(optical flow rendering)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 좌우 영상 대응(stereo matching)에서 발생하는 오류와 무관하게 고품질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깊이 정보 비교를 통해 기존의 렌더링 방법으로 생성한 영상과 광학 흐름 요소로부터 생성한 영상을 합성할 수 있는 반면에, 한 화소 당 하나 이상의 광학 흐름 요소를 필요로하기 때문에 연산량이 많아져 영상 생성이 느려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영상 생성을 위한 광학 흐름 요소 구성법과 영상 생성법을 제안한다. 각각의 광학 흐름 요소가 영상 내에서 화소들의 구간에 대응되도록 개선하여 전체 광학 흐름 요소의 수를 줄였으며, 필터링 탐색법 (filtering search)을 적용하여 전체 광학 흐름 요소를 모두 탐색하는 대신 실제로 영상 생성에 사용되는 광학 흐름 요소만을 탐색함으로써 전체 연산량을 크게 줄였다. 제안된 방법을 SGI Indigo2 Impact 워크스테이션(R10000 CPU; 128 Mbytes)상에서 구현한 결과, 초당 10장 이상의 고속 영상 생성이 가능했다.

  • PDF

Memory in visual search: Evidence from search efficiency (시각 탐색에서의 기억: 탐색 효율성에 근거한 증거)

  • Baek Jongsoo;Kim Min-Shik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6 no.1
    • /
    • pp.1-15
    • /
    • 2005
  • Since human visual system has limited capacity for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it should select goal-relevant information for further processing.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that emphasized the possible involvement of memory in spatial shift of selective attention (Chun & Jiang, 1998, 1999; Klein, 1988; Klein & MacInnes, 1999). However, other studies suggested the inferiority of human visual memory in change detection(Rensink, O'Regan, & Clark, 1997; Simons & Levin, 1997) and in visual search(Hotowitz & Wolfe, 1998).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nvolvement of memory in visual search; whether memory for the previously searched items guides selective attentional shift or not. We investigated how search works by comparing visual search performances in three different conditions; full exposure condition, partial exposure condition, and partial-to-full exposure condition. Revisiting searched items was allowed only in full exposure condition and not in either partial or partial-to-full exposure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iciencies of attentional shift were nearly identical for all conditions. This finding implies that even in full exposure condition the participants scarcely re-examined the previously searched items. The results suggest that instant memory can be formed and used in visual search process. These results disagree with the earlier studies claiming thar visual search has no memory. We discussed the problems of the previous research paradigms and suggested some alternative accounts.

  • PDF

Search Conference in Community Development Planning (지역사회개발 계획에 있어서의 탐색 회의)

  • Kim, Jung-Keun;Lee, Sung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5 no.1
    • /
    • pp.71-77
    • /
    • 1998
  • 탐색회의는 조직이나 지역사회의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의 가장 바람직한 미래를 규정하고 참여에의 책임감을 강조하는 과업수행을 위한 전략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는 참여적 계획 방법이다. 참여자들은 가능한 한 다양한 배경을 지닌 사람들이며, 그리하여 그들이 지니고 있는 지역사회에 대한 자신들의 지식과 과정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가지고 지역사회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탐색회의는 이루어져야만 하는 특별한 활동들을 규정하고 필요한 변화를 만들어낼 책임을 지니는 사람들에게 힘을 부여함으로써 표준적인 전략 계획보다 훨씬 더욱 유용한 결과를 산출한다. 계획과정에의 전체 지역사회의 참여는 바람직한 결과를 지역사회 전체가 소유할 개연성을 증가시키는 데, 이는 과업을 수행하는데 필수불가결하고 지역사회가 희망하는 목표를 성취하는데 중심적인 조건이다. 효과적인 지역사회 개발 계획을 위한 탐색회의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의 탐색회의와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는데, 이는 탐색회의가 참여자들을 조직하고 관리하는 따위와 같은 얼마간의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 PDF

Fast Codebook Search Method using Triangle Inequality for Vector Quantization (백터 양자화를 위한 삼각 부등식을 이용하는 빠른 코드북 탐색법)

  • 김성재;안철웅;김승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526-528
    • /
    • 1998
  • 영상 자료는 일반적으로 많은 정보량을 가지기 때문에 저장 공간과 전송 시간의 문제 등이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상 압축 기법이 사용되며 그 방법 중의 하나로 벡터 양자화가 있다. 벡터 양자화는 압축률은 높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는데, 전체 처리 시간 중에서도 영상의 각 블록에 해당하는 코드벡터를 찾기 위해 주어진 코드북을 탐색하는 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본 논문에서는 코드북 탐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벡터 양자화를 빠르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삼각 부등식을 이용하는 빠른 코드북 탐색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삼각 부등식을 이용해 구한 하한값을 기준으로 불필요한 계산을 줄여서 탐색 속도를 증가시킨다. 제안된 방법의 평가를 의해 100장의 256$\times$256, 256 레벨 흑백 영상을 사용하였고, 기존의 전체 탐색 방법에 비해 배 이상의 속도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A Two-Phase Parallel Genetic Algorithm (2-단계 병렬 유전자 알고리즘)

  • 길원배;이승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40-4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GA)의 새로운 병렬화 방법을 제안 하고 있다. 기존의 병렬 유전자 알고리즘(Parallel Genetic Algorithm: PGA)은 전체 개체집단을 부개체집단 (Subpopulation)으로 나누어 해의 가능 영역을 동시에 탐색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인데 반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병렬화 방법은 전체 해의 영역을 나누어 각각의 영역에서 독립된 개체집단들이 서로 다른 영역을 탐색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두 가지 단계의 병렬 유전자 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 먼저 적응교배 연산자(Adaptive Crossover Operator: ACO)를 이용한 PGA를 통해 지역해에 인접한 범위들로 해의 영역을 나누고, 이렇게 나누어진 각각의 영역들에서 다시 병렬로 GA를 적용시켜 자세하게 탐색하는 방법이다. 첫 번째 수행되는 PGA 단계에서는 탐색 시간을 줄이고 두 번째 PGA 단계에서는 보다 자세한 탐색을 하기 위해 정밀도(Precision)의 조정을 유전자 알고리즘의 병렬화에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빠르고 자세한 탐색이 가능한 유전자 알고리즘의 병렬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interaction factor in intuitive gesture (직관적 제스쳐 인터랙션 요소 추출에 관한 연구)

  • Kim, Yong-U;Hwang, Min-Cheol;Kim, Jong-Hwa;U, Jin-Cheol;Kim, Chi-Jung;Kim, Ji-Hy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66-69
    • /
    • 2009
  • 본 연구는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직관적 제스쳐 인터랙션의 요소 추출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마우스와 키보드의 8가지 기본 인터랙션 요소를 제시하여 그 요소와 적합한 의미의 어휘를 선택하도록 설문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선택한 어휘가 가지는 의미를 표현한 제스쳐를 빈도수에 따라 최종 선정한 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설문시 마우스의 상하좌우 이동과 ESC의 의미는 30명 전원이 상하좌우 이동과 취소라는 동일한 의미를 선택하였다. 마우스의 좌클릭은 30명 중 28명이 선택, 우클릭은 26명이 설정 탐색, 키보드 엔터의 경우 25명이 실행이라는 의미를 선택하였다. 최종 선정된 제스쳐의 검증 결과 상하좌우 이동과 취소 요소로 제시했던 손전체 상하좌우 이동과 손전체X는 70~100%의 높은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선택 요소로 제시했던 정지상태 검지손 아래는 60%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설정 탐색을 위해 제시되었던 손전체 회전과 중지손 클릭 중 손전체 회전이 60%의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중지손 클릭은 선택과 하단 이동이 73%로 설정 탐색의 요소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실행 요소로 제시했던 손전체 두번 클릭은 27%의 낮은 검증 결과가 도출되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제시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Stereoscopic Image Disparity Estimation using Difference Image Information (차영상 정보를 이용한 효율적인 3차원 영상 변이 추정에 관한 연구)

  • 박상현;이상호;김미현;손광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8.06a
    • /
    • pp.9-1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좌·우영상의 차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의 변이(disparity)를 추정함에 있어서 계산량을 줄이는 변이 추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3차원 입체 영상의 변이를 블록 기반으로 추정하는 방법으로는 전체 탐색(Full Search)알고리듬이 있으나 탐색범위 안에 존재하는 모든 위치에 대하여 추정 오차를 계산하기 때문에 많은 계산량을 줄이기 위한 변이 추정 기술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전체 탐색 알고리듬 보다 많은 화질열화를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좌·우영상의 차영상을 이용하여 차영상의 블록 특성에 따라 추정하고자 하는 블록들을 분류하여 각각 그 특성에 맞는 적합한 탐색범위를 가지고 변이 추정방식 과정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변이 추정하는 기술은 기존의 변이 추정 기법들에 비하여 화질의 열화가 적으면서 계산량을 줄이는 결과를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