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체 유전체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41초

Nitrosomonadales 목의 핵심유전체(core genome)와 범유전체(pan-genome)의 비교유전체학적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core and pan-genomes of order Nitrosomonadales)

  • 이진환;김경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29-337
    • /
    • 2015
  • Nitrosomonadales 목에서 속하는 균주 중 현재 유전체 서열이 알려진 모든 유전체(N=10)를 이용하여 범유전체 및 핵심유전체 분석을 수행한 결과, 각각 9,808개와 908개 유전자클러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Betaproteobacteria의 다른 목의 참조군들과 비교를 통하여 범유전체와 핵심유전체의 크기에 유전체의 수와 집단 내의 유전체들의 차이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Nitrosomonas 속과 Nitrosospira 속의 범유전체는 7,180개와 4,586개, 핵심유전체는 1,092개와 1,600로로 각각 측정되어 Nitrosospira 속의 동질성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Nitrosomonadales 목의 범유전체와 핵심유전체의 크기에 Nitrosomonas 속이 대부분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COG 분석을 통하여 핵심유전체의 크기에는 J (translation, ribosomal structure and biogenesis) 범주가 가장 큰 비율(9.7-21.0%)을 차지하며, 유전체 사이의 유전적 거리가 먼 집단일수록 그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범유전체의 크기에는 "-" (unclassified) 범주가 34-51%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총 97개의 유전자 클러스터가 참조군에는 없고 Nitrosomonadales에만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 클러스터들은 Nitrosomonadales을 특징 지우는 유전자들인 ammonia monooxygenase의 유전자인 amoA와 amoB와 그와 관련 있는 amoE와 amoD들을 포함하는 반면에 unclassified 유전자들도 상당량(16-45%)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유전자 클러스터는 Nitrosomonadales의 유전적 특이성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유전체 염기서열의 base-composition에 대한 연구 (Study on base-compositions of biological sequence)

  • 정철희;윤경오;최진영;박현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A)
    • /
    • pp.757-759
    • /
    • 2001
  • 생물체가 생명을 영위하기 위해 수행하는 모든 기능들에 대한 정보는 각 개체가 가지고 있는 유전체가 들어있다. 그런데 각 생물체마다, 심지어는 한 생물체의 서로 다른 염색체마다 그 전체 염기서열에서의 base-composition은 같지 않고, 또한 이 구성비에는 일정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각 생물체들의 전체 염기서열을 구성하는 염기의 구성비에 대해 조사하고 비교해 보고자 한다.

  • PDF

Web지원 유전정보분석기반시스템 구축

  • 박기정
    • 지식정보인프라
    • /
    • 통권5호
    • /
    • pp.51-61
    • /
    • 2001
  • 국내의 유전체 연구도 2000년을 시작으로 본격화되었으며, 미생물의유전체 서열 결정을 수주 이내에 완료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는 벤처기업도 이미 등장하였다. 한편, 이들 과제의 산물인유전체정보로부터 유용한 학문적 결과와 산업적 결과를 얻기 위해 유전체후속(post-genome) 프로젝트들이 최근에 진행되고 있다.

  • PDF

"아시아인 건강을 위한 한국인 게놈" : 한국인 유전체 프로젝트의 상업화 전략 ("The Korean Genome for Asian Health": A Commercialization Strategy of the Korean Genome Projects)

  • 현재환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117-167
    • /
    • 2019
  •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의 초안 발표 이후 여러 한국인 유전체 프로젝트들이 추진되었다. 그 결과 등장한 한국인 유전체를 둘러싼 흥미로운 담론 중 하나는 "한국인 유전체" 서열 분석을 통해 "아시아인 맞춤의학"을 구현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본 논문은 이를 한국 유전체 학자들이 자국민에 대한 유전체 자료를 상업화하려는 노력 가운데 발전시킨 전략으로 인지하고, 이 "아시아인 건강을 위한 한국인 게놈" 전략이 출현하게 된 배경을 역사적으로 검토한다. 이 글은 한국 유전체 프로젝트들의 전략이 탈식민 국가들에서 빈번하게 발견되는 "유전체 주권"(genome sovereignty) 정책이 2000년대 초반 이후 한국에서 주요 정책 의제로 부상한 아시아 지역주의와 결합하여 등장한 산물이라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그간 범아시아 SNP 컨소시엄(Pan-Asia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Consortium)을 중심으로 논의된 유전체학과 아시아인의 구성에 관한 과학기술학 연구가 국소적인 아시아인 관념과 아시아 지역주의를 가진 싱가포르의 경험을 지나치게 일반화해왔음을 지적한다. 이와 함께 한국 유전체학 거버넌스에서 과학기술학자들이 맡을 수 있는 역할에 대해서도 고민해 볼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한국인 고유유전체 참조표준 (Korean Reference Genome Construction)

  • 류제운;김대수;박종화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26
    • /
    • 2009
  • 한국인 최초 전체 유전체 서열(KOREF; Koreanindividualgenomesequence) 은 한국인을 위한 참조 서열로써 사용될 수 있다. 2009년 1월에 남성 한국인 유전체를 솔렉사(Solexa)를 통해 전장서열을 결정하였다. 이는 NCBI의 인간게놈프로젝트에서 생산한 게놈의 99.83%를 커버하며, 또한 NCBI게름서열의 약 20배를 커버할 정도의 유전체 서열을 결정하여 매우 높은 정확도를 가진 한국인 고유유전체이다. 한국인 유전체 서열의 분석결과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한국인 특이적인 3백만 개의 SNP를 밝혀냈다. 먼저 보고된 중국인 게놈은 한국인 게놈과 매우 가까운 민족 그룹임에도 불구하고 38%(3,186,352 SNP중에 1,217,362 SNP) 의 특이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미토콘드리아 서열 비교를 통해서도 특이적인 다양성을 보여주는 SNP데이터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차세대 게놈서열결정의 기술은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인간 유전체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개인유전체 데이터는 개인유전체 의학으로 가는 초석이 될 것이다.

  • PDF

이배체 유전체들의 서열비교를 위한 유전체 염기서열 생성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tool to generate diploid genome sequences for whole-genome alignments.)

  • 김종현;박치현;박상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72-273
    • /
    • 2007
  • 현대 유전체학 기술의 진보는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생물들의 유전체 서열의 규명 genome sequencing)에 힘입은 바 크다. 기존의 유전체 서열결정법은 주로 염기변이율이 낮은 생물들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하지만 염기변이율이 높은 생물들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결정할 필요가 높아짐에 따라 이를 위한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염기변이율이 높은 생물들의 이배체 (diploid) 유전체 서열이 효과적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경우 기존의 유전체 서열비교의 방법론에도 변화가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유전체 서열비교 (whole-genome alignment) 방법론은 반수체 (haploid) 유전체들의 서열비교을 위해 개발되었지만, 염기변이율이 높은 생물들의 유전체 서열비교에는 반수체 유전체들 비교에 특화된 도구들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서열비교를 시각화하는 소프트웨어들도 반수체 유전체 비교를 위해 개발된 실정이다. 본 논문의 목표는 이배체 유전체 서열을 비교하는 방법론을 개발을 용이하기위해 이배체 유전체의 서열을 생성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된 도구는 실제 일어날 수 있는 염기변이와 genomic rearrangement를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다수의 생물들의 유전체 서열을 생성해 낸다. 이를 통해 이배체 유전체 서열을 비교하는 도구의 개발을 용이하게 하는데 초첨을 맞추고 있다.

  • PDF

유전체 데이터베이스와 EST 데이터 베이스 구축

  • 류근호
    • 지식정보인프라
    • /
    • 통권3호
    • /
    • pp.48-61
    • /
    • 2000
  • 유전체(genome)란 용어는 H.Winker가 1970년에 반수성 염색체구조를 표현하기 위하여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이것은 배우자에 들어 있는 유전자 전체를 의미하며 Gene + Chromosome의 합성어다. Gee는 유전자를 의미하고 Chromosome은 유전자의 형체를 의미하기 때문에 유전체(Genome)라고 한다.

  • PDF

한국에서 분리된 파밤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의 전체 유전체 분석 (Complete Genome Analysis of Spodoptera exigua Nucleopolyhedrovirus Isolated in Korea)

  • 최재방;김현수;우수동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449-460
    • /
    • 2022
  • 광식성 난방제 해충인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친환경적 방제원으로써 이용을 위해 국내에서 분리된 파밤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S. exigua nucleopolyhedrovirus K1: SeNPV-K1)의 형태 및 전체 유전체 서열을 분석하였다. SeNPV-K1의 다각체(polyhedra)는 0.6-1.8 um 크기의 부정형으로, 기 보고된 SeNPV와 외형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전체 유전체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기 보고된 SeNPV와 비교할 때 145 bp 더 많은 135,756 bp로 확인되었으며, G+C 함량은 44% 였고 상동반복영역은 6개로 두 바이러스간에 차이는 없었다. ORF 분석결과, SeNPV-K1은 기 보고된 것과 비교할 때 2개 더 적은 137개를 가지며, SeNPV-K1에만 존재하는 ORF는 4개가 확인되었다. 이들 4개의 ORF는 비필수 유전자로 바이러스의 특성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여겨졌다. 유전체의 vista 분석 결과, SeNPV-K1과 기 보고된 SeNPV의 전체 염기서열 유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분석한 SeNPV-K1의 전체 유전체는 기 보고된 SeNPV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서로 다른 분리주로 국내 고유자원임을 확인하였다.

한국산 꿀풀과 15 분류군에 대한 유전체양 조사 (Genome size of 15 Lamiaceae taxa in Korea)

  • 이윤경;김상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61-169
    • /
    • 2017
  • 한 생물체의 전체 유전체 크기는 계통학, 육종학, 집단유전학, 진화학과 같은 많은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정보이다. 최근에는 전체 유전체 결정 연구에서 특히 강조되고 있는데, 이는 최소 유전체 크기를 갖는 분류군의 선택은 유전체 결정사업의 효율성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유전체 연구의 선행 단계로서 연구 대상 종 및 연관된 분류군들의 유전체 양의 파악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쉽고 빠르면서도 신뢰성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는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한반도에 자생하는 꿀풀과의 9속 15 분류군에 대한 유전체 크기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전체 양이 측정된 15 분류군들은 모두 최초로 그 유전체 양이 조사된 분류군들로서 Plant DNA C-value Database (http://data.kew.org/cvalues/)에 수록된 바 없는데, 특히 Agastache, Clinopodium, Elsholtzia, Isodon에 속하는 분류군들은 속 수준에서의 최초의 보고이다. 골무꽃(Scutellaria indica L.)은 0.37 pg (1C)의 유전체 크기를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는데, 이는 현재까지 보고된 꿀풀과 98 분류군의 유전체 양들 중 네 번째로 유전체의 크기가 작은 분류군이다. 이에 골무꽃은 향후 유전체 연구를 위해 꿀풀과를 대표할 한국 자생종으로서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분석할 수 있는 종일 것이다. 조사된 분류군들 중 가장 유전체 크기가 큰 분류군은 속단(Phlomis umbrosa Turcz.; 1C=2.6 pg)으로서 이는 다배체 형성에 의한 본 종의 기원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PCS 및 IMT-2000 이중대역용 광대역 세라믹 유전체 안테나 설계 (The Design of the Broadband ceramic Dielectric Sntenna for PCS and IMT-2000 Dual Band Application)

  • 문정익;박성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996-100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저유전체의 한 면에 고유전체를 부착하는 기존의 광대역 기법을 개선하여 새로운 광대역 세라믹 유전체 안테나를 제시하였다. 제안한 광대역 기법을 사용하여 광대역 안테나를 설계할 수 있었으며 대역폭의 감소문제를 줄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세라믹 유전체 안테나의 경우 10dB 반사손실에서 대역폭을 33.9%까지 증가시켰으며 세라믹 유전체 안테나의 특성은 실험치와 유한요소법을 사용한 해석치가 잘 일치함으로써 확일할 수 있엇다. 제안한 세라믹 유전체 모델을 사용하여 PCS 및 IMT-2000 이중대역에서 사용이 가능한 광대역 안테나를 설계, 제작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