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체환기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초

원자력 발전용 직교류 핀-관 열교환기의 성능 평가

  • 김정훈;배성원;김무환;허용석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279-285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나선형과 판형의 핀을 가진 원자력 발전소용 직교류 핀-관 열교환기의 열량을 ARI Standard-410에 따라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풍속과 냉수속에 따른 열저항 및 압력 손실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러한 시도를 통해서 실제 열교환기의 성능 평가시 필요한 기술적 자료를 축적하고자 하였다. 실험에서는 나선형 6fin/in, 8fin/1n, 10fin/in 열교환기와 판형 8fin/in 열교환기를 사용하였으며, 풍속을 0.486m/s와 2.214m/s로, 수속을 1m/s~4m/s로 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 용기내의 공기조화를 위하여 사용되어 지는 열교환기의 성능 평가 방법 및 실증 능력을 확보하였으며, 풍속 증가에 따라 총괄 열전달 계수는 전체적으로 비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판형이 나선형 보다 열전달 계수가 작게 나타났으며, 나선형 열교환기의 경우 fin수에 따른 변화는 크지 않았으나, 열전달 면적을 고려한 경우에는 나선형 10fin/in 열교환기가 가장 뛰어난 열교환 성능을 발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기측의 압력 손실은 전체적으로 전연 풍속 증가에 따라서 속도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자연환기 벤틸레이터 형태에 따른 환기효율 평가 (Evaluation of Ventilation Efficiency for Various Gravity Ventilators)

  • 하현철;김태형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4권7호
    • /
    • pp.543-551
    • /
    • 2002
  • Gravity ventilators allow the escape of the warm air and air contaminants due to both (either) buoyancy and (or) convection. As a natural ventilation strategy, various gravity ventilators can be installed on the roof. Ventilation efficiency could be affected by various parameters, such as, area of openings, wind velocity and incidence angl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and shape of ventilator. Especially, the shape of roof gravity ventilator might be one of influencing factors for the effective ventilation. The window type gravity ventilators are frequently installed instead of general (standard) gravity ventilator. However, the ventilation efficiencies of them were not proved yet. To compare the ventilation efficiency, general type ventilator and two window type ventilators were numerically tested. Mean age of air, temperature and CO concentration were predicted by using commercial CFD code, AIRPAK (Ver. 2.0) with various conditions. The predicted result showed that general type ventilator is more effective for natural ventilation than window type ventilators.

대체냉매를 사용하는 공조기용 열교환기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eat Exchanger in Air-Conditioning System using Alternative Retrigerants)

  • 김남신;이은호;유재석;김기현;최윤호;김권진;김만회;황석렬
    • 에너지공학
    • /
    • 제9권3호
    • /
    • pp.192-201
    • /
    • 2000
  • 증발기와 응축기로 폐회로 냉동 시스템을 구성하여 기존 사용 냉매인 R22와 대체냉매로써 부각되고 있는 R407C, R410A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관 직경과 휜 형상을 가지는 열교환기에 대한 열전달량, 질량유량, 열교환기를 지나가는 냉매의 온도분포 그리고 공기측 압력강하를 측정하였다. 모든 열교환기에서 냉매의 질량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열전달량은 증가하였다. R22와 R407C의 경우에 증발기측에서는 거의 같은 열전달량을 나타냈고 응축기측에서는 R407C가 전체적으로 열전달량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열교환기의 전달량은 유로의 형상보다는 냉매의 질량유량과 전열면적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공기측 압력 강하는 열수가 많은 열교환기의 경우가 작게 나타났으며 슬릿휜을 가지는 열교환기의 압력강하가 가장 크고 웨이비휜을 가지는 열교환기가 가장 작게 나타났다.

  • PDF

수소 센서를 이용한 밀폐공간의 수소 누출 시 환기성능에 대한 실험 및 CFD 시뮬레이션 (A Hydrogen Sensor Experiment on the Ventilation Performance of a Cavity upon Hydrogen Leakage and Its CFD Simulation)

  • 김영두;신동훈;정태용;남진현;김영규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62
    • /
    • 2007
  • 연료전지는 수소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시스템으로 운전 중 수소 누출과 폭발의 위험성을 항상 수반하고 있다. 따라서 안전성의 확보를 위해 연료전지 시스템 내부에서 수소 누출 시 유e동 특성으로 인한 특정 부근 농도 정체와 환기의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험 장치와 전산유체역학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챔버 내 수소의 유통 특성과 환기구에 따른 환기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수소의 누출 속도와 양에 따라 유동장의 형태는 크게 변하였으며 환기구의 위치와 크기는 특정 부근의 농도정체와 챔버 내 전체적인 수소 농도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안정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예측 결과를 실제 실험 모델과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차후 가정용 연료전지 모듈의 환기구 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

  • PDF

산업환기용 에어필터의 특성비교 및 시험방법 소개

  • 양성우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1권6호
    • /
    • pp.19-23
    • /
    • 2002
  • 최근 사회는 첨단산업화 속에서 국민생활의 질적 향상과 인구의 도시 집중화 현상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직장 및 작업현장에서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작업능력의 저하를 유발하는 각종 유해물질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장기간에 걸쳐 호흡기질환을 일으키는 도시의 대기오염은 매우 심각한 사회적문제로서 관심의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이에대한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작업장과 실내생활공간은 실내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과 외기에서 유입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으로 실내공기의 질은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다. 따라서 실내공기질을 쾌적하게 하기 위해서 환기장치의 설치와 지속적인 유지관리는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환기장치설비에서 공기정화장치는 유해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핵심 장치이며 입자상.가스상 물질에 따라 그 종류와 기능이 서로 다르다. 특히 공기정화장치 설비에 보펀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 는 것이 여과기(filter) 이며 사용목적에 알맞는 에어 필터(air filter)의 선정은 전체환기시스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산업환기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에어필터의 종류와 각각의 특성 및 환기장치 설계상의 에어필터에 관한 이론과 적용기술 등을 설명하고자 한다.

  • PDF

주식배당의 공시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우춘식;신용균
    • 재무관리연구
    • /
    • 제13권1호
    • /
    • pp.115-136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주식배당 예고제도가 도입된 1990년부터 1994년까지의 기간동안에 주식배당 지급을 공시한 기업 중에서 표본의 선정기준에 따라 295건의 표본을 선정하여 주식배당의 공시효과를 실증 분석하는 한편 주식배당의 공시효과를 설명하는 제 가설 중에서 유보이익가설과 주의환기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전체표본(259건)을 대상으로 공시일 전후의 비정상수익률을 분석한 검증결과에 의하면 공시기간(0일, +1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0.847%의 비정상수익률이 관찰되어 주식배당 공시가 주주들의 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정(+)의 주식배당 효과를 설명하는 하나의 가설로서 유보이익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체 표본을 EPS의 증감 및 주식배당률의 크기에 따라 하위표본으로 분류하여 공시기간의 비정상수익률을 검토한 결과 충분하지는 않지만 유보이익가설을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로 또 다른 하나의 가설로서 주의환기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본을 상대적 평균 PER의 크기 및 자본금의 크기에 따라 분류한 모든 하위표본에서 일관되게 주의환기가설을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특집:에너지플랜트 및 핵심기자재 기술 - 플랜트용 열교환기 기술

  • 윤석호;이공훈
    • 기계와재료
    • /
    • 제24권1호
    • /
    • pp.64-71
    • /
    • 2012
  • 열교환기은 대부분의 플랜트에서 공정효율을 결정하는 핵심기자재이다. 이에 따라 플랜트 전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효율 열교환기에 대한 연구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 들어 심해저플랜트 등의 고압환경용, 가스액화 플랜트 등에 적용되는 극저온용, 가스터빈 등에 적용되는 초고온용 등 극한환경에서 사용되는 플랜트용 고신뢰용 열교환기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업체들의 플랜트 기자재 시장 진입 및 점유율 확대를 위해 이러한 극한환경용 열교환기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 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플랜트용 열 교환기 기술현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혹서기에는 한낮의 사료급이 가급적 피해야

  • 연제영
    • 월간양계
    • /
    • 제36권6호통권416호
    • /
    • pp.96-99
    • /
    • 2004
  • 사계절이 뚜렷한 국내에서는 여름철 혹서기 사양관리를 하는 방법에 따라 산란율이나 폐사계의 발생빈도가 확연히 차이가 날 수 있다. 이러한 까닭에 기존계사에 비해 단열 및 환기문제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무창계사라는 현대식 계사가 최근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전체 계사의 과반수 이상이 단열이 엉성하고, 완전 자연환기에 의존하는 계사는 물론 적절한 지붕단열, 일부 기계식 환기를 도입한 절충형 계사에서 사육되고 있으므로 이번 여름을 맞이하여 나름대로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특히 지구 온난화 등의 환경적 요인 등을 고려할 때 해가 거듭될수록 여름은 과거 못지않은 수준일 것이라 예상되기 때문이다.

  • PDF

지하 동굴식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환기시스템 고찰 (A Study on Ventilation System of Underground Low-Intermediate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 김영민;권오상;윤찬훈;권상기;김진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5-78
    • /
    • 2007
  • 지하 동굴식 처분장의 건설, 운영 및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처분한 이후 발생하게 되는 오염물질(Rn, CH CO, HS, Radiolysis에 의한 방사능 가스 등)은 적절한 공기량을 필요로 한 곳에 정확히 분배시킬 수 있는 환기시스템에 의해 통제되도록 하여야한다. 특히 지하 처분장은 여러 개의 진입 터널, 저장 터널, 공기 유입-배기 터널, 수직갱 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회로망의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에 적절한 기술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환기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술적 접근을 위해 미국의 WIPP (Waste Isolation Pilot Plant)처분장과 스웨덴의 SFR (Slutforvar for Reaktoravfall) 중-저준위 처분장을 모델로 하여 두 처분장의 소요환기량을 선정하고 설계상 통풍로의 단면적, 길이, 표면 거칠기 등을 고려한 환기회로를 구성하였으며, 수학적으로 계산되는 각 회로의 저항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선풍기의 용량과 수직갱 운용방안을 설계하였다. 두 처분장의 지형상의 규모 및 환기시설 비교 결과, SFR 처분장에 비해 WIPP 처분장에서와 같이 병렬구조가 많을수록 처분장 전체의 저항이 감소되며 이러한 결과로 환기시스템의 운용비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처분용량 증대를 위한 대단면의 SFR 처분장 구조와 전체 저항 감소를 위한 WIPP 처분장의 병렬구조를 조합한 형태가 가장 합리적이며 효율적인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연질필름 피복시설내 방적처리가 시설환경 및 참외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ti-dropping on Environmemt and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in Plastic Films House.)

  • 전희;권영삼;김현환;이시영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7년도 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53-58
    • /
    • 1997
  • 시설내 방적처리별 광환경, 개선 효과는 수적율이 환기나 송풍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2.6-5.8% 가량 낮은 2.7%를 보여 투광율이 송풍, 환기 단독 처리구보다 2.7-4.9% 가량 높아 67.4%를 보인 송풍+환기개선처리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하우스 공간에서의 정식후 6일간 적산최저기온은 무처리에 비하여 4.6$^{\circ}C$가 낮았으나 작물이 정식된 터널에서는 0.8$^{\circ}C$ 정도 낮았다. 참외의 생육은 환경이 방적효과로 광환경이 우수한 송풍+환기개선처리에서 두 처리보다 엽수가 3-5매 가량 많고 착과율도 4-8% 정도 높아 전체적인 수량이 3,630kg/10a로 무처리에 비하여 43%나 증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