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자 안전성 제어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32초

홈안전시스템을 위한 물리홈 안전센서 및 제어장치 개발 (Development of physical home safety sensor and actuator for home virtualization)

  • 박진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45-24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현대사회의 복잡성으로 인해 각자 흩어져 살고 있는 가족 구성원들을 메타버스 기반의 가상공간을 통해 서로 연결시켜주어 가족애를 증진시켜주고 특히 안전에 취약한 타지에 살고 있는 노부모를 가상공간을 통해 모니터링하여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홈가상화 서비스를 위한 물리홈 안전센서와 제어장치를 제안한다. 홈가상화를 통한 홈안전시스템은 메타버스 서버와 클라이언트, 홈가상 플랫폼 게이트웨이와 물리홈 센서와 제어장치로 구성되며, 본 논문에서는 하부구조인 홈가상 플랫폼 게이트웨이와 센서 및 제어장치간의 프로토콜 및 이의 프로토타입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가상 공간에서 실공간의 홈센서 및 제어장치와 교신할 수 있어 가상공간을 통한 홈안전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열차제어시스템 통신 안정성 및 평가 도구 연구 (A Study on Communication Safety and Evaluation Tool in Railway Communication System)

  • 김성운;서상보;송승미;조찬효;황종규;조현정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349-356
    • /
    • 2008
  • 최근 열차제어시스템과 관계된 안정성 기반 시스템 개념이 변화되고 있다. 기계적이거나 전자 기계적인 장치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전자 장치들로 대체되고 또한 이들은 통신망들을 통해 원거리에서 제어된다. 결과적으로 열차제어시스템 개발과 관계된 엔지니어들은 전자 부품들의 오류나 사용자 오류 등에 대해서 시스템 구현 시 대책을 강구해야 할 뿐만 아니라, 또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붕괴시키는 악의적인 개체의 공격에 대해서도 대비해야 한다. 열차제어시스템에서 요구되는 통신의 특성이 절대적 안정성 기반 특징임을 감안하면, 해당 통신 인프라는 여러 가지 안정성 요구조건을 절대적으로 만족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오류에 관계된 것 또는 사용자 오류와 관계한 것, 그리고 정상적인 시스템 동작을 방해하는 악의적인 공격자의 고의적인 행위에 대한 보호 등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열차제어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안전성 전략에 대해 논하고 또한 한국 철도통신시스템을 위한 보호 메커니즘에 대해서 제안한다. 아울러 제안된 보호 메커니즘에 바탕을 둔 개발한 통신 안정성 평가 도구를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여러 가지 위협들, 즉 가장, 도청, 비인가자의 통신 메시지 조작 등으로부터 제안된 도구의 보호 능력 등에 대해서도 평가한다.

전자기형 리타더의 모델링 및 전압제어 (Electromagnetic Retarder's Modeling and Voltage Control)

  • 정성철;이익선;고종선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1-173
    • /
    • 2016
  • 일반적으로 대형 버스 및 트럭 등 같은 경우, 부하가 아주 크다. 또한 내리막길이나 장거리 운행 시에 잦은 제동으로 인하여 마찰을 이용한 기존 방식의 브레이크들은 브레이크 파열 및 페이드 현상 때문에 제동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제동 부담을 분담하기 위해 현재 보조브레이크(리타더)가 필수적이며, 엔진 계통의 보조브레이크가 아닌 비접촉식 브레이크 같은 친환경 보조브레이크가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차량 제동시 발생하는 기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회생하여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려는 연구가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와전류를 이용한 전자기형 리타더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한 전압 제어 방법을 다룰 것이다. 리타더의 제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회생하기 위해 L-C 공진회로로 구성하였다. 리타더를 자여자 유도발전기(Self-Excited Induction Generator)로 모델링 하였고 이를 토대로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진행하였다. 자여자 유도발전기의 구동 조건에 대해서 언급하고 이를 파라미터에 따라 3-D map으로 만들었다. 또 회로 중의 FET 게이트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장치의 구동펄스에 따라 바뀌는 공진회로의 전압을 분석하였으며, 이 전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PI 제어기를 이용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 전압을 3상 AC/DC컨버터를 통과한 후 DC/DC컨버터를 통하여 차량 내부의 배터리에 충전되는데 제어를 위해 3상 AC/DC에서의 전압 리플을 MA(Moving Average) 방식의 필터를 사용하여 DC/DC컨버터의 입력에 맞도록 제어하였다. 이와 같이 전자기형 리타더에서 유도되는 전압을 제어기의 제어 펄스에 따라 제어할 수 있으며 Matlab Simulink를 이용하여 리타더의 모델과 그 제어기의 타당성을 보였다. 또 실제 M-G Set 실험을 통하여 그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 PDF

차량 레이더 기술 동향 연구 (The Study on Vehicle Radar Technology Trends)

  • 배창호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1권4호통권100호
    • /
    • pp.142-151
    • /
    • 2006
  • ITU-R은 권고 M.1310에서 교통정보 및 제어 시스템(TICS)과 관련된 여러 가지 항목을 권고하고 있다. TICS는 지상 교통 시스템의 안전과 효율성 및 관리방법을 향상시키기 위해 컴퓨터, 통신, 위치정보 그리고 차량기술이 집약된 시스템으로 TICS 중 차량의 직접적인 주행과 관련된 차량 제어 시스템(AVCS)은 충돌 방지를 위해 요구되는 몇가지 사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차량 레이더는 운전자의 보조를 통한 안전한 차량 운행을 위해 적용 가능한 기술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 레이더의 국제표준화 동향, 제외국의 차량 레이더 법규 동향 및 개발동향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단독운전방지를 위한 RPV 방식의 특성분석 및 제어기법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Control method of RPV for Anti-Islanding)

  • 바이사;허혜성;자야;김홍성;이제필;최규하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2-205
    • /
    • 2007
  • 현재 태양광, 풍력 및 연료전지 즉, 신재생에너지를 많이 사용하게 됨으로써 이를 계통과 병렬로 연결하여 쓰고 있다. 그러나 계통에 연결할 경우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는데 그중에서 대표적으로 단독운전을 들 수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검출기능은 시스템의 안전성 및 전기적 안전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단독운전 검출을 위한 RPV 방식 및 제어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계통의 전압 위상을 기준으로 전류위상각도에 따른 주파수 변동 특성을 해석하였다. 해석 및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은 EMTP 및 Matlab 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 PDF

전압 부족 상태 시 유도 전동기 성능 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of Induction Motor in Voltage Shortage State)

  • 김혜승;김정하;홍찬욱;김경서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466-471
    • /
    • 2009
  • 유도 전동기의 출력 토오크는 자속에 기준 하는 전류의 크기와 방향에 의해 제어되므로 전동기 구동 시스템에 의해 전류와 전압이 제한된 조건에서 고성능 토오크와 제어 시스템의 응답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벡터 제어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벡터 제어에 자속 제어기와 히스테리시스 제어기를 추가한 새로운 제어 방식을 제안하였다. 특히, 전압이 부족한 조건에서 과도시의 부하 응답 특성 및 안전성이 향상됨을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수평 자세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in the Horizontal Position using Linear Actuator)

  • 김관형;신동석;김성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38-539
    • /
    • 2013
  • 수평 자세제어에 관한 연구는 플랜트 외부에서 발생하는 미지의 진동이나 불특정 외란이 인가되었을 때 이러한 외란을 적절히 제거하여 플랜트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이다. 특히 수평 자세제어에 대한 문제는 선박이나 항공기 등 진동이나 미지의 외란이 발생하는 비선형시스템에 대하여 플랜트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진동 및 외란을 제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활용하고자하는 수평 자세제어용 액추에이터는 전자기적 에너지를 직선운동을 하는 기계적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산업현장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는 액추에이터이다. 이러한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 3개로 구성된 3축을 활용하여 리니어 액추에이터 상부에 놓여진 플랜트의 수평을 제어하고자 한다. 또한 플랜트의 수평 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센서로는 플랜트에 인가되는 외란을 계측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및 정확한 플랜트의 자세를 계측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를 활용하여 플랜트의 수평 상태를 계측하도록 하며, 3개의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반으로 PID 제어기를 설계하여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활용한 수평제어 성능을 제시하고 한다.

  • PDF

나노 전도성 Filler를 이용한 박막 고분자 PTC 특성 연구

  • 강영구;조명호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51-354
    • /
    • 2003
  • 최근 안전 분야에서 기능성 고분자 재료의 응용분야로서 첨단 전기전도성 고분자복합재료를 이용한 섬유상, 구형, flake 등 각종 형상의 금속, 흑연, carbon black, whisker 등의 전도성 filler를 고분자 matrix에 혼입하여 전도성 고분자를 성형가공하여 복합성형체를 제조하고 electrical hazard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전기방지효과, 자기발열체, 전자기파 차폐효과 등의 특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성형체상으로 가공된 소재로 화학공장, 산업설비, 각종 제조설비의 제조 공정용 제어, 과전류차단 및 외부 전자기파에 의해 발생되는 이상작동 등을 방지하는 안전시스템 소재용으로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중략)

  • PDF

인공지능 컨트롤러를 이용한 전기 시퀀스 제어 연구 (Electrical Sequence Control Study Using Al Controller)

  • 김홍용;김대현;김은영;황계호;김진선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7-338
    • /
    • 2022
  • 시퀀스제어는 제조, 유통, 건설, 의료 산업분야의 기계, 전기, 전자, 자동화 등에 응용되어 널리 사용하고 있다. 4차산업의 발전으로 제어분야에 인공지능 융합 기술이 산업에 중요한 요소가 되어가고 있다. 특히 기존 시스템에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인공지능이 융합된 설비의 안전성과 혁신성을 평가하고 신뢰성 높은 장비개발이 요구되고 있어 교육목적의 장비를 개발하여 해당분야의 발전을 견인하고자 한다. 자체 개발한 일체형 인공지능 컨트롤러 모듈은 기존의 시퀀스 및 PLC제어 회로에 인공지능 능력을 융합한 장비이다. 본 장비의 성능평가항목으로 동작, 음성, 문자, 색상 등의 인식 능력과 회로의 안정성,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시퀀스 및 PLC 회로를 설계 후 융합된 일체형 인공지능 컨트롤러 모듈의 성능평가항목이 모두 만족하였고 회로의 안전성과 신뢰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항공소프트웨어 설계단계와 감항인증에서의 정형검증 적용연구 (Applied research in formal verification of certificates of airworthiness and aviation software design phase)

  • 장준하;최진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33-435
    • /
    • 2016
  • 기술의 발전에 따라 첨단무기체계인 군용항공기는 전투임무 수행시 내장형소프트웨어(Embedded Software)를 통해 기체내의 항공전자 장치, 항법장치, 조종장치 등의 물리적 기계적 움직임을 제어하고 있으며,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비율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기체의 물리적 기계적 움직임이 내장형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 되기 때문에 군용항공기의 전투능력 보존과 국방 목적의 수행을 위해선 먼저 내장형 소프트웨어 고유의 특성을 만족하고, 나아가 소프트웨어 안전성, 신뢰성, 보안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설계 단계에서 스케줄성에 대해 정형검증 하여,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실시간성, 결정성, 생존성을 보증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체적인 소프트웨어 안전성, 신뢰성,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연구하며, 추가로 2011년 발표된 항공 소프트웨어 표준인 DO-178C에서 요구하는 정형검증을 적용한 국내 감항인증 표준 제정의 확대방안을 연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