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자 공여능

검색결과 437건 처리시간 0.035초

대나무(신의대)잎의 생리활성 및 항균성 효과 (Physiological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Bamboo (Sasa coreana Nakai) Leaves)

  • 김미정;변명우;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5-142
    • /
    • 1996
  • 대나무잎(신의대)을 70% ethanol로 $80\pm2^{\circ}C에서$ 추출하고 극성이 다른 4가기 용매로 확분하여 생리활성 및 항균성을 검토하였다. 70% ethanol extract는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고, 70% ethanol extract로부터 얻어진 각 용매별 추출 획분이 지질과 산화물 생성 억제와 malonaldehyde 생성 억제 효과는 ethyl acetate 획분 $\geq$ diethyl ether 획분 $\geqpetroleum$ ether 획분 > n-butanol 획분 > 수용성 획분의 순이었다.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제거능 및 항보체 활성은 n-butanol 획분이 다른 획분에 비하여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고 70% ethanol extract의 경우에도 전자고영능, 아질산염 제거능 및 항보체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미생물인 Vib-rio parahaemoluticus,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typhimurium, Enterobacter aerogenes, Staphylococcus aureus 등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 PDF

무순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 한진희;문혜경;김종국;김귀영;강우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98-98
    • /
    • 2003
  • 무순에는 비타민 C가 많이 들어 있어 겨울철 비타민 공급원뿐만 아니라 디아스타제라는 효소가 들어 있어 소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외에도 거담제 및 건위제 작용을 하고 음주로 인한 토혈해소, 천식에도 좋아 약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가치는 적지만 농가 소득증대에 기여 할 수 있으며 소화를 촉진시키는 무순, 또는 무싹기름이라고 일컬어지는 무순을 추출용매에 따라 생리활성 효과 분석하고 영양학적 가치가 가장 높은 시기의 무순을 선택함으로써 올바른 섭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그 기능성을 확인하여 기능성 식품소재 및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을 검토하고자 하고자 한다. 무순을 4일, 8일, 12일에 따라 incubator에 배양하여 시기별로 채취하여 동결건조 한 후 70% Ethanol, 80% Methanol, 75% acetone, 열수로 환류 추출한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각 용매 추출물에 대해 DPPH free radical 소거능 실험에서는 acetone 추출물에서 89.18%로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냈으며 각각의 추출용매에서 성장 4일과 12일의 무순에서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는 pH 1.2의 조건에서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였고, 열수 추출물에서 89.70%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pH 4.2조건에서는 열수추출물의 소거능이 가장 좋았고, pH 6.0 조건에서는 가장 낮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Ethanol 과 Methanol 추출물에서 23.55∼37.41%의 소거능을 보였다. SOD유사활성은 성장 8일에서 모두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성장 4일과 성장 12일의 무순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Methanol 추출물중 성장 12일에서 27.41%의 SOD유사활성을 보였다.ic acid는 28.8∼51.7 mg%, 미강에서 321.4∼438.4 mg% 범위로 나타났다. 현미,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표준 페놀화합물로 카테친을 사용하고 비색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을 때 오대 현미의 폴리페놀 함량은 78.4 mg%, 남평 현미 88.8 mg% 였다. 도정한 백미 중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0.3∼56.9 mg%, 미강이 541.5∼472.6 mg%의 범위였다. 이상과 같이 쌀에는 phenolic acid 및 총 폴리페놀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배유보다는 강층에 많이 존재하므로 이들 성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쌀의 섭취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백편의 조직감은 Compression force 와 Work ratio로 대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수분함량은 기계적 검사보다 관능검사와 더욱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내었다. 항균활성이 우수한 생약재를 농도별로 활성을 조사한 결과, 물 추출물과 10% Ethanol 추출물 모두 낮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취와 함께 점질성 갈변물질이 생성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BAAG의 처리는 BAAC의 경우보다 가격은 저렴하면서도 항균력은 우수한 천연 항균복합제재로써 농산물 식품원료에 적용하여 선도유지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과일 등의 포장제로서 이용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로 [-wh] 겹의문사는 복수 의미를 지닐 수 없 다. 그러면 단수 의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ulcorner 본 논문에서는 표면적 형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elem

  • PDF

냉 압착 참기름과 볶음 압착 참기름의 품질 특성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old-pressed Sesame Oil and Virgin Sesame Oil)

  • 김범근;임정호;조영심;박기재;김종찬;정진웅;정승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812-821
    • /
    • 2008
  • 냉 압착 참기름과 볶음 압착 참기름 및 상업용 참기름(볶음 가열 압착 및 볶음 초임계 추출 참기름)의 색도 및 갈변도, 총 페놀 함량, 리그난 함량, 산화 유도 기간, 과산화물가, 전자 공여능을 측정하여 각 참기름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냉압착 참기름의 명도는 89.18로서 볶음 압착 참기름의 32.10에 비하여 2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갈색도의 경우에도 각각 0.063과 0.700을 나타내어 냉 압착유의 갈색화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의 경우 볶음 압착 참기름이 68.33 mg/100 g으로 냉 압착 참기름에 비하여 2.18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사몰, 세사민, 세사몰린 함량도 볶음 압착 참기름이 냉 압착 참기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내었다. 냉 압착 참기름의 산화 유도 기간은 4.53시간으로 볶음압착 참기름의 19.90시간에 비하여 4.39배 짧게 나타났으며, 상업용 참기름(볶음 가열 압착 및 볶음 초임계 추출 참기름)의 산화 유도 기간은 각각 16.50 및 12.23시간이었다. 저장 12일 후 과산화물가를 비교해 보면 냉 압착 참기름이 28.95 meq/kg oil, 볶음 압착 참기름이 12.92 meq/kg oil, 상업용 참기름(볶음 가열 압착 및 볶음 초임계 추출 참기름)이 각각 12.09 및 9.86 meq/kg oil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자 공여능은 볶음 압착 참기름이 1,000 mg% 이상의 농도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10,000 mg%에서 77.76%의 효능을 보였으나, 냉압착 참기름의 전자 공여능은 6%를 넘지 못하였다. 지방산 함량의 경우, 냉 압착 참기름이 oleic acid와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포화 지방산에 대한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 또한 5.3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기의 실험 결과를 통하여, 냉 압착 참기름은 일반적인 볶음 가열 압착 참기름에 비하여 산화 안정성은 낮으나 색상, 영양성 및 위생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이러한 결론은 볶음 및 가열공정에 의한 갈변 반응의 산물이 참기름의 색상을 짙게 할 뿐만 아니라 리그난등의 물질의 유출을 기속화시켜 산화 안정성을 높이나, 가열 변성에 의한 불포화 지방산/포화 지방산 비율의 감소와 trans-지방산 생성 등의 위생성과 영양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열공정을 통하여 생산되는 냉 압착 참기름은 기존 참기름 시장에 신선한 추출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와 아울러, 볶음 및 가열 공정이 없는 냉 압착 참기름의 신화 안정성을 높여 유망한 유통식품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 PDF

아밀로오스 함량이 다른 현미의 품종별 가공 처리에 따른 화학적 품질 특성 (The Chemical Quality Properties during Processing Treatment of Brown Rice Varieties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

  • 이종구;권광일;최지영;최종동;정명근;임무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1호
    • /
    • pp.37-43
    • /
    • 2010
  • 아밀로오스 함량이 서로 다른 품종의 현미를 이용하여 가공 처리 즉, frying 처리와 parboiling 처리를 하여 여러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페놀성 물질 함량은 품종에 따른 뚜렷한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일품벼의 실험 결과를 볼 때 frying 처리 후 현미가 백미보다 높은 페놀성 물질 함량을 나타내었다. Blue value는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서 고도의 상관관계에 있다고 판단된다. 향기 성분은 Hydrocarbons류와 Esters류가 각각 3종, Alcohols류와 Acetals류가 각각 2종, Aldehydes류가 5종, Acids류가 6종이 동정되었다. 그 중에서 Aldehydes류의 Benzaldehyde, Phenylmethanal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Vitamin B군은 현미 무처리구보다는 가열처리 후 frying 처리구의 vitamin 함량이 전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vitamin $B_1$함량은 1.4189~1.6494 mg에서 0.3102~0.7097 mg으로 감소되었고, vitamin $B_2$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을수록 함량이 증가하였고, parboiling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Vitamin $B_6$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을수록 함량이 감소하였다. Niacin은 함량이 상대적으로 다른 vitamin B군에 비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무기질 함량을 조사한 결과 Mg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대체적으로 아밀로오스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현미를 품종과 처리 조건에 따라 달리하여 frying 처리한 전자 공여능 결과 백미보다는 현미상태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전자 공여능 값을 보여주었고, 무처리구보다 유탕 처리 후 좀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마인 및 아마인유의 유지자원으로서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flaxseed and flaxseed oil as edible oil resources)

  • 권오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47-552
    • /
    • 2016
  • 황색 아마인과 갈색 아마인의 일반성분 분석과 아미노산 조성, 지방산 조성, 토코페롤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전자 공여능을 측정하여 각 유지들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수분과 탄수화물은 37%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조지방은 35%내외로 대두의 20%보다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마노산 조성은 황색과 갈색 아마인의 차이는 없었으며 주요 구성 아미노산은 glutamine, glycine, arginine 등이었고, 지방산 조성의 경우는 두 아마인의 지방산 조성에 차이가 있으며 황색과 갈색 아마인의 linolenic acid와 oleic acid의 함량은 각각 56.60, 31.38 과 18.24, 39.16으로 나타나 갈색 아마인이 황색 아마인보단 산화 안정성이 우수할 것으로 생각된다. ${\gamma}$-토코페롤의 경우는 황색 아마인이 20.59 mg/100 g으로 갈색 아마인보단 높았지만 들깨의 30.10 mg/100 g에는 미치지 못했다. 총 폴리페놀은 황색 및 갈색 아마인이 각각 10.78, 29.88 mg/100 g으로 갈색 아마인이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전자 공여능 또한 2,500 mg%의 농도에서 갈색 아마인이 77.81%으로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황색 아마인과 비교하여 갈색 아마인이 유지의 산화안정성 및 저장성이 우수할 것으로 생각되며, 기존 참기름 및 들기름과 비교하여서도 영양학적인 측면과 산업적인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국내 자생 갈매나무과 식물의 항산화 및 면역반응조절 효과 탐색 (Antioxidant and immunoregulatory effects of Korean Rhamnaceae)

  • 어현지;김다솜;강연경;김기윤;박영기;박광훈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254-25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하고 있는 갈매나무과 식물 13종(망개나무, 먹넌출, 헛개나무, 갯대추나무, 까마귀베개, 산황나무, 갈매나무, 털갈매나무, 돌갈매나무, 참갈매나무, 짝자래나무, 상동나무, 묏대추나무)에 대한 결실기 부위별(잎, 가지, 열매) 39점 70% ethanol 추출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전자 공여능 이용한 항산화 활성 및 NO 생성 억제력을 통한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여 기능성 검토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망개나무, 상동나무, 묏대추나무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망개나무, 갯대추나무, 까마귀베개, 상동나무 추출물에서 높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고, 망개나무, 상동나무 추출물에서 약 80% 이상의 DPPH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또한, 망개나무, 먹넌출, 갯대추나무, 상동나무, 묏대추나무 등에서 50% 이상의 NO 생성 억제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갈매나무과 식물의 이용 부위별 다양한 기능성을 검토하였고, 천연 항산화제 및 NO생성 억제를 통한 과도한 면역반응 완화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CE 포함한 각종 유기염소화합물 분해능을 보유한 C. bifermentans DPH 균주의 동정 및 성질 (The Identification and Anlaysis of C. bifermentans DPH, an Anaerobic Bacterium that can Dechlorinate by Reductive Dechlorination of Tetrachloroethylene or Other Halogenated Aliphatic Compounds)

  • 정용철;정권;유영식;김민영;신재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6-13
    • /
    • 2000
  • PCE(tetrachloroethylene) 분해능을 보유한 그람 양성, 내생포자 형성의 혐기성균이 일본 기후현의 한 전자제품공장으로부터 분리되었다. 이 균은 생화학적 특성 및 16S rRNA 분석결과에 의하여 C. bifermentans인 것을 거쳐 cDCE(cis-1,2-dichloroethylene)로 전환되었다. 전자공여체로서 효모엑기스는 PCE 분해에 있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효모엑기스를 공급한 조건에서의 PCE 탈염소화 속도는 0.41 $\mu$mol/h.mg protein 이었다. 한편 본 균주는 PCE 뿐만 아니라 각종 유기염소화합물에 대해서도 분해능을 보유하고 있는 신종의 PCE 분해균으로서 각종 유기염소화합물에 오염된 지하수 및 토양에서의 In situ bioremediation 적용에 있어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초콩의 제조 중 기능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Functional Properties of Black Soybean Pickled in Vinegar (Chokong))

  • 서지형;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71-176
    • /
    • 2011
  • 초콩의 기본 제조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검정콩과 3종의 시판 식초(현미식초, 감식초, 사과식초)를 이용하여 초콩을 제조하고 이들의 기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초콩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검정콩의 식초 담금 기간이 4일 이상일 때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소폭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초콩의 전자공여능,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및 아질산염 분해능은 물 추출물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전반적으로 높았고, 검정콩의 식초 담금 기간이 길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초콩 제조 시 검정콩의 식초 담금 기간이 단기간(1~7일 내외)인 경우 감식초로 제조한 초콩에서 전자공여능,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아질산염 분해능이 높은 편이었다.

양파 음료 제조를 위한 기능성 성분 추출 최적화 (Extractive Optimization of Functional Components for Processing of Onion Health Promotion Drink)

  • 허원녕;고은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03-409
    • /
    • 2004
  • 복합음료의 재료인 양파, 솔잎, 뽕잎, 당귀, 감초, 대추를 물과 methanol로 상온에서 각각 추출하여 전자공여능, thiosulfinate함량, ascorbic acid 함량, SOD유사황성 및 pH 1.2와 3.0에서 아질산 소거능 등을 조사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모든 시료에서 methanol 추출이 우수하였고, 아질산 소거능은 물 추출이 우수하였고 다른 기능성 항목은 재료에 따라 추출방법에 대한 우열의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3 hr동안 hard boil한 물추출이 thiosulfinate의 함량을 제외한 모든 기능성을 상온에서 물추출보다 증가 시켰고, 특히 상온에서 methane이 물 추출보다 높은 값을 보였던 양파, 뽕잎, 대추의 전자공여능과 당귀의 ascorbic acid 함량은 methanol 추출보다도 높은 추출 효율을 보였으므로 hard boil에 의한 물추출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 휘발성인 thiosulfinate는 온도의 상승에 따라 그 함량이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므로 이 성분은 저온에서 추출하여 혼합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아울러 hard boil에 의한 적정한 추출시간을 조사한 결과, 6 hr이면 thiosulfinate를 제외한 기능성분은 거의 용출 되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저장중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저온저장시 ascorbic acid만이 약간의 손실이 더 있는 편이고 다른 기능성 성분은 상온 저장과 거의 같거나 저온저장이 유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양파의 기능성 강화 복합음료의 제조는 thiosulfinate를 제외하고 6 hr 물로 고와서 추출하고 저온 저장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인진쑥 열수추출물의 항산화적 특성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Artemisis capillaris Hot-water Extrac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성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9-427
    • /
    • 2014
  •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Thunbl)의 항산화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하여 열수추출특성을 모니터링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였다. 총 페놀성화합물 함량에 대한 최적조건은 $94.50^{\circ}C$, 2.06 hr 및 시료에 대한 용매비 25.03 ml/g, 전자공여능에 대한 최적조건은 $91.82^{\circ}C$, 2.90 hr 및 20.88 ml/g으로 나타났고, 아질산염 소거능(pH 1.2)에 대한 최적조건은 $97.36^{\circ}C$, 2.75 hr 및 15.19 ml/g등으로 각각 나타났다. 각 변수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여 인진쑥의 총 페놀성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pH 1.2)에 대한 최적 추출조건을 superimposing 한 결과, 추출온도 $90{\sim}95^{\circ}C$, 추출시간 2.5~3.5 hr 및 시료에 대한 용매비 17~24 ml/g의 범위로 각각 예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