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자카탈로그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Extended Electronic Catalog for dynamic and flexible Electronic Commerce (전자상거래를 위한 확장된 디지털 카탈로그 및 질의 모델 제안)

  • 정지혜;이상구;우치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120-122
    • /
    • 1999
  • World Wide Web은 하이퍼미디어라는 뛰어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인터넷을 대중화 시켰고, 전자상거래라는 인터넷의 상업화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전자상거래에서 필수적인 기술 중의 하나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의 카탈로그를 쉽고 빠르게 찾는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전자 카탈로그를 정의하고 질의하는 모델을 제안하여 전자 카탈로그 시스템을 보다 쉽게 구축하고 유지하며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상품에 대한 카탈로그를 보다 쉽게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모델의 주된 아이디어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표현하는 기존의 카탈로그와 계층적 검색을 위해 존재하는 분류체계를 통합하여 하나의 객체로 정의하고 그 객체에 대한 질의 언어를 정의함으로써 기존의 카탈로그에 대한 개념을 확장하여 전자 카탈로그 시스템 전반에 관한 검색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확장된 카탈로그는 하나의 객체로 정의되기 때문에 질의에 의해 전체를 필터링해서 일부분만을 보여주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재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모델에서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그래프 형태로 정의하고 그들을 계층적으로 분류하는 분류 체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확장된 카탈로그를 각 상품과 카테고리를 노드로 한 그래프 형태로 정의하고 그에 대한 질의어를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an e-Catalog Evaluation Model Using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AHP를 이용한 전자카타로그 평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Gyeung Sook Lee;Gyeung Min Kim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v.9 no.4
    • /
    • pp.1-12
    • /
    • 2002
  • 고객이 요구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전자 카탈로그를 구축하는 것은 e-business의 성공의 핵심적 요소이다. 우수한 상품 판매 기술을 이용하여 고객의 판매 결정을 촉진하는 전자 카탈로그가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경우는 사업적 손실과 법적인 분쟁까지 초래하기도 한다. 전자 카탈로그가 전자 상거래 사이트의 중심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학문적, 실용적 분야에서 전자 카탈로그의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우선 효과적인 전자 카탈로그 구축을 위한 요구사항을 도출해 내고 그것을 전자 카탈로그 평가 기준으로 적용하여, AHP(계층적 분석 방법)를 사용해서 평가 기준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개발해 내는데 목적이 있다. 그 평가 기준의 상대적 중요도는 기업이 전자 카탈로그를 구축할 때 중점을 두어야 할 사항을 결정하는데 기준을 제시해 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평가는 물론 효율적인 전자 카탈로그의 개발을 위한 지침을 마련해 줄 것이다.

  • PDF

Integrated E-Catalog Registry System Based on XML (XML 기반의 통합형 전자 카탈로그 등록 시스템)

  • 최일선;김창수;정회경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7 no.6
    • /
    • pp.1341-1350
    • /
    • 2003
  • At present, the electronic catalog format and the process system which are used in B2B (Business-To-Business) electronic commerce are applying different system architectures according to their businesses and industries characteristics. B2B business corporations using the electronic commerce started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standard electronic catalog format to enhance their interoperability. As a result, the necessity of unified electronic catalog system gathered strength in exchanging and managing enormous information of electronic catalog process system constructed in each corporation and industry. Therefore, we suggest data format to improve interoperability using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as a standard document format in electronic catalog document and define the structure of electronic catalog document in processing the information of goods using XML Schema. In addition, we presents the integrated electronic catalog registry system which provides the service of searching and registering using the electronic catalog document defined through XML for each corporation to use it in electronic marketplace. Furthermore, we exhibits a model of the electronic catalog document that improves its interoperability and reusability in electronic commerce and a model of integrated electronic catalog system.

System and Utilization for E-Catalog Classifier (전자 카탈로그 자동분류기 시스템과 그 활용)

  • Lee, Ig-Hoon;Chun, Jong-Hoon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4 no.9
    • /
    • pp.876-883
    • /
    • 2008
  • A clearly defined e-catalog (or product) information is a key foundation for an e-commerce system. A classification (or categorization) is a core information to build clear e-catalog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quality of e-commerce systems using e-catalogs. However, as the wide use of online business transactions, the volume of e-catalog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managed in a system has become drastically large, and the classification task of such data has become highly complex.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catalog classifier system, and report on our effort to improve an e-catalog management process and to standardize e-catalogs for enterprises by use of automated approach for e-catalog classifier systems. Also we introduce some of the issues that we have experienced in the projects, so that our work may help those who do a similar project in the future.

Construct ion of Keyword Index and Improved Search Methods for e-Catalogs Eased on Semantic Relationship (의미적 연결 관계에 기반한 전자 카탈로그에서의 확장된 어휘 인덱스 구축 및 이를 이용한 검색 성능 향상 기법)

  • Lee Dongjoo;Lee Taehee;Lee Sang-g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67-6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기 구축된 전자 카탈로그를 의미적 연결 관계에 기초한 확장된 전자 카탈로그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구축된 확장된 전자 카탈로그에서 의미적 태깅에 의한 확장된 어휘 인덱스 구축 방안과, 이를 이용한 검색 성능 향상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전자 카탈로그는 상품 정보가 분류별로 생성된 테이블에 저장되고 저장된 테이블로부터 생성된 키워드 인덱스로부터 검색이 이루어 졌다. 이러한 검색은 상품이 가지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테이블에만 한정하게 되어 전자 카탈로그에 포함된 상품이나 분류간의 의미적 연결 관계들을 충분히 이용하지 못하였다 전자 카탈로그에 내재된 의미적 요소를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자 카탈로그를 의미적 연결 관계에 기초한 모델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적 모델 기반 전자 카탈로그 시스템으로의 전환 과정을 XML형태의 명세를 이용해 반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툴을 구현하며, 단순 키워드 어휘 인덱스 구축이 아닌, 어휘 인덱스의 의미적 확장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태그 요소로써 어휘에 대한 형태소 분석 결과, 수치 환산 및 확장 요소, 속성간의 도메인 정보 등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최적의 검색 결과를 얻어 내도록 하는 인접도 평가 함수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B2B를 위한 전자카탈로그 공통속성 표준 개발

  • 김성혁;김경옥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2002.01a
    • /
    • pp.318-327
    • /
    • 2002
  • ◈ 전자카탈로그 공통 속성의 필요성 ㆍ전자카탈로그 속성 정보 : 업종, 분류방식. 사용목적에 따라 상이한 표현 존재 ㆍ표준이 다를 경우 업체간 e-Marketplace간의 전자거래 활성화 어려움(중략)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e-catalog system based on web services (웹 서비스 기반의 통합형 전자 카탈로그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Im San-Song;Na Cheol-Hun;Jung Hoe-Kyu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6 no.2
    • /
    • pp.153-163
    • /
    • 2005
  • We proposed electronic catalog document structure which can process information of goods configurationally and electronic catalog standard format to support various catalog document format and structure. using XML. We designed and implemented electronic catalog system that can use by user who takes part in the transaction the electronic catalog document defined in electronic commerce integration style. This system was advantageous in getting useful information as it was having a common electronic catalog document for all business transactions using interoperability of the Web Services.

  • PDF

A Component-based Architecture Suitable for Repositories of Online Catalogs for Electronic Commerce (전자 상거래용 카탈로그 저장소를 위한 컴포넌트 기반 아키텍쳐)

  • 윤경환;오재원;홍영준;박근덕;이상구;우치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631-633
    • /
    • 2001
  • 상거래의 상품 정보를 기술하는 카탈로그는 전자 상거래의 상품 인지단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대부분의 인터넷 쇼핑 몰에서 전자 카탈로그 저장소의 구축과 유지를 위해 많은 비용을 소모한다. 전자 상거래가 활발해지고 인터넷 쇼핑 몰이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구축과 유지에 많은 비용이 드는 전자 카탈로그 저장소를 고유할 필요가 생겨났으며, 그에 걸맞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가 요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서로 이질적인 전자 카탈로그 저장소들이 분산되어 있는 환경에서도 각각의 카탈로그들이 상호 연동할 수 있는 컴포넌트 기반 아키텍쳐를 제시한다. 이 아키텍쳐에서 컴포넌트들은 CORBA IDL을 통해 통신을 하며 이로써 이질적인 전자 카탈로그 저장소의 상호연동이 가능해지며 시스템의 신축성과 확장성 역시 높아지게 된다.

  • PDF

A New Similarity Measure for e-Catalog Retrieval Based on Semantic Relationship (의미적 연결 관계에 기반한 전자 카탈로그 검색용 유사도 척도)

  • Seo, Kwang-Hun;Lee, Sang-Goo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4 no.6
    • /
    • pp.554-563
    • /
    • 2007
  • The e-Marketplace is growing rapidly and providing a mor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providers and consumers. In recent years, e-Marketplace integration or cooperation issues have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e-Business. The e-Catalog is a key factor in e-Business, which means an e-Catalog System needs to contain more large data and requires a more efficient retrieval system. This paper focuses on designing an efficient retrieval system for very large e-Catalogs of large e-Marketplaces. For this reason, a new similarity measure for e-Catalog retrieval based on semantic relationships was proposed. Our achievement is this: first, a new e-Catalog data model based on semantic relationships was designed. Second, the model was extended by considering lexical features (Especially, focus on Korean). Third, the factors affecting similarity with the model was defined. Fourth, from the factors, we finally defined a new similarity measure, realized the system and verified it through experimentation.

The Effects of Service Factors of Electronic Catalogue Systems on User Satisfaction (전자카탈로그 시스템의 서비스 요인이 사용자만족에 미치는 영향)

  • Ko, Il-Sang;Choi, Su-Jeong;Kim, Jeong-Hee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2 no.3
    • /
    • pp.107-131
    • /
    • 2007
  • Due to an increase of the importance of E-catalogue on electronic commerce, E-catalogue systems have been prevailing for their produc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around Web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categorize service factors off-catalogue systems into three aspects contents-providing, user participation, and system management, and we measure their impacts on user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richness, design, trust, interaction, function of transaction management, system extensibility, system stability, and security have been found out to be significant factors to affect user satisfa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