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이성

Search Result 2,81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velopment of a Semi-Automated Detection Method and a Classification System for Bone Metastatic Lesions in Vertebral Body on 3D Chest CT (3차원 흉부 CT에서 추체 골 전이 병변에 대한 반자동 검출 기법 및 분류 시스템 개발)

  • Kim, Young Jae;Lee, Seung Hyun;Choi, Ja Young;Sun, Hye Young;Kim, Kwang Gi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C no.10
    • /
    • pp.887-895
    • /
    • 2013
  • Metastatic bone cancer, the cancer which occurred in the various organs and progressively spread to bone, is one of the complications in cancer patients. This cancer is divided into the osteoblast and osteolytic metastasis. Although Computer Tomography(CT) could be an useful tool in diagnosis of bone metastasis, lesions are often missed by the visual inspection and it makes clinicians difficult to detect metastasis earlier.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struct a three-dimensional(3D) volume rendering data from tomography images of the chest CT, and apply a 3D based image processing algorithm to them for detection bone metastasis lesions. Then we perform a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of the detected lesions.From our test using 10 clinical cases, we confirmed 94.1% of average sensitivity for osteoblast, and 90.0% of average sensitivity, respectively. Consequently, our findings showed a promising possibility and potential usefulness in diagnosis of metastastic bone cancer.

A Case of Metastatic Ampulla of Vater Cancer Treated with Chemotherapy Followed by Pylorus Preserving Pancreaticoduodenectomy (항암화학요법과 수술을 통해 완전 관해를 획득한 진행성 십이지장 유두암 증례)

  • Hae Ryong Yun;Moon Jae Chung;Seungmin Bang;Seung Woo Park;Si Young Song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v.2 no.2
    • /
    • pp.75-77
    • /
    • 2014
  • Ampulla of Vater (AOV) cancer is rare malignant tumor which arises within the vicinity of the AOV. Metastatic AOV adenocarcinoma has poor prognosis, with an overall survival rate at 2 years ranging from 5 to 10%.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Program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indicated that lymph node metastasis was present in as many as half of patients which were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and liver was the second most common site of distant metastasis in AOV cancer. In this case report, we describe a case of complete resolution of AOV cancer, which was already spread to retroperitoneal lymph node and liver. The patient underwent gemcitabine plus cisplatin chemotherapy for palliative aim. After 12 month of chemotherapy, image study showed partial remission, so intraoperative radiofrequency ablation therapy and pylorus preserving pancreaticoduodenectomy was done. AOV cancer was completely resected and the patient was followed up without recurrence for 7 months.

  • PDF

방사성물질의 해양중 거동특성 평가

  • 송영일;이명찬;이갑복;정성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677-682
    • /
    • 1998
  • 영광원전주변 해양에서 조사된 환경방사능 조사결과를 토대로 Cs-137과 Sr-90 방사성물질의 해수와 부유물에서 분포특성과 해양생물로의 전이.농축특성을 분석하였다. 방사성물질의 분포특성 분석은 해양에서 방사성물질의 용해성과 부유물에의 흡착성 평가뿐 아니라 방사성물질의 해양확산을 평가하는데 필수적 요소이다. 지금까지는 방사성물질의 해양확산 평가시 완전 용해성으로 가정하여 단순한 해수유동 특성만을 고려하여 평가하였으나, 흡착성 등 물리화학적 거동특성을 평가함으로써 좀더 사실적인 해양확산을 평가할 수 있다. 평가결과 Cs-137과 Sr-90의 분포특성을 나타내는 분배계수가 각각 8.1$\pm$1.4E-4, 7.4$\pm$2.3E-5 로 나타났다. 이는 두 핵종 모두 용해성이 높고 흡착성이 낮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Cs-137과 Sr-90에 비해 상대적으로 흡착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 전이.농축특성 분석결과는 김에서 Cs-137과 Sr-90의 전이.농축계수가 66과 3, 서대와 병어에서는 122.5와 6, 패류에서는 Sr-90의 전이.농축계수가 6으로 나타났다. Sr-90은 전반적으로 전이.농축계수가 낮게 나타나 생물체에유입되더라도 쉽게 배출돼 축적경향이 매우 낮음을 보여준다. 반면 Cs-137은 Sr-9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농축특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향후 이를 토대로 해역의 고유 환경특성에 맞는 방사성물질의 해양중 거동특성을 고려한 해양확산평가 및 해양감시가 이뤄져야할 것이다.

  • PDF

Adaptive Database Caching Method to Connection States in Mobile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 연결 상태 전이에 적응하는 데이터베이스 캐슁 기법)

  • 박경두;김유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264-266
    • /
    • 1999
  • 고정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클라이언트가 제기하는 요청에 대한 응답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캐슁 기법은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도 이동 클라이언트가 제기하는 질의에 대한 응답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기존의 분산 환경과 비교해 보면,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는 연결 상태의 변호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분산 환경에서의 캐슁 기법이 이동 컴퓨팅 환경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이동 컴퓨팅 환경에 맞도록 수정이 되어야만 한다. 즉, 이동 호스트의 이동성으로 인하여 연결 상태가 변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컴퓨팅 환경을 위한 캐슁 기법은 이동 호스트의 연결 상태 전이에 적응성을 갖도록 해야 한다. 연결 상태 전이에 적응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본 논문에서는 연결 상태 전이 예측 윈도우를 사용하고 연결 상태 전이에 미리 대비하여 캐슁을 수행함으로써 이동 호스트의 캐쉬는 최신의 유효한 데이터의 일관성을 보장하며, 사용자에게는 신속한 응답을 수행할 수 있다.

  • PDF

Metastatic Pathologic Fractures in Lower Extremities Treated with the Locking Plate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하지의 전이성 병적 골절에 대한 치료)

  • Seo, Chang-Young;Jung, Sung-Taek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16 no.2
    • /
    • pp.80-86
    • /
    • 2010
  • Purpose: The skeleton is commonly affected by metastatic can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s of treating metastatic pathologic fractures in lower extremities using locking plat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2004 and 2010, we evaluated 12 patients (13 cases) of metastatic pathologic fractures in lower extremities, treated with the locking plate. Mean patient age was 62.2 years (range, 50-81 years), the locations of the fractures were; proximal femur in 2 cases, femoral mid-shaft in 3, distal femur in 3, proximal tibia in 4, and distal tibia in 1 case. The interval to wheelchair ambulation, pain relief and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Additionally, we assessed operation time and postoperative blood loss. Results: Mean time from operation to wheelchair ambulation was 3.2 days (range, 1-6 days). Mean VAS scores improved from a preoperative score of 8.1 points (range, 7-9 points) to a score of 2.7 points (range, 2-4 points) at 1 week postoperatively. No early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surgery were encountered. Mean operation time was 88.4 minutes (range, 70-105 minutes), and mean postoperative blood loss was 246.5 ml (range, 130-320 ml). Conclusion: Internal fixation of metastatic pathologic fractures using a locking plate in the lower extremity can be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in the meta- or diaphyseal area of long bones with massive bony destruction or poor bone stock by offering early ambulation, pain relief and low postoperative complications.

Benign Metastasizing Leiomyoma of Lung (폐로 전이된 양성 전이성 근종)

  • Cho Suk-Ki;Ryu Kyong-Min;Sung Sook-Whan;Chung Jin-Haeng;Lee Jae-Ho;Kim Young-Bum;Jheon Sang-Ho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9 no.4 s.261
    • /
    • pp.335-339
    • /
    • 2006
  • Benign metastasizing leiomyoma (BML) is a rare entity, characterized by the occurrence of multiple smooth muscle nodules in the lung with histologically benign leiomyoma, Both the uterine and pulmonary tumors have been found to express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which suggest that the pulmonary lesions represented metastases from leiomyoma. We experienced a 41-year-old female patient with BML and report here with the literature review.

Resistance to Cisplatin Renders High Metastatic Potential in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Line (Cisplatin 내성을 보이는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서의 전이 능력 증가)

  • 차대원;김진국;손동섭;조대윤;양기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5
    • /
    • pp.377-385
    • /
    • 2001
  • 배경: Cisplain과 같은 세포돗성 약제에 대한 내성은 폐암 치료 실패의 중요한 원인이다. 이러한 항암제에 대한 내성의 발생기전은 복잡하고 아직 완전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불량한 예후의 원인으로 생각된다. 특히 약제 내성이 발생한 환자의 경우 기존의 종양의 급속한 성장뿐 아니라 새로운 전이 병소가 급속히 발생 및 진단됨은 약제 내성을 가진 종양이 전이에의 용이성을 획득하는게 아닌가 의심케한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Cisplatin에 내성을 지닌 비소세포폐암 세포주 H460/CISm이 전이 능력을 Cisplatin에 민감한 비소세포폐암 세로주 H460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약제 내성 세포주를 확보하기 위하여 H460세포에 cisplatin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처리한 후 배양하였다. H460 세포와 H460/CIS 세로에서의 혈관신생인자와 성장관련인 자의 발현양상, gelatin zymography 분석 그리고 in vivo 실험으로 nude 마우스에서의 자발적 전이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H460 세포를 이식한 마우스에 폐에서는 종양이 형성되지 않았으나 H460/CIS세포를 이식한 마우스 10마리중 8마리에서 종양이 형성되었다. 또한 H460/CIS 세포주에서 전이 관련 유전자로 알려진 angiopoietin-1,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matrix metalloproteinase 2 등이 더 발현되었고, 전이의 침습성을 유발하는 gelatinase의 활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여구 결과를 통해 cisplatin에 내성을 가진 비소세포폐암세포에서 전이 능력이 증가될 수 있다고 여겨지며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초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수술 전 항암약물요법의 타당성에 대해서 이야기 하기 위해서는 많은 임상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Absent or Faint Renal Uptake in Bone Scan: Etiology and Significance in Metastatic Bone Disease (골 신티그라피에서 신장 영상 비출현의 원인 질환 및 전이성 골질환에서의 의의)

  • Kim, Sang-Eun;Kim, Deog-Yoon;Lee, Dong-Soo;Chung, June-Key;Lee, Myung-Chul;Koh, Chang-Soon;Koong, Sung-Soo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24 no.2
    • /
    • pp.299-306
    • /
    • 1990
  • 골 신티그라피에서 신장이 희미하게 보이거나 전혀 안보이게 되는(이하 신장 영상 비출현이라 함) 원인 질환을 파악하고, 또 골 신티그라피에서 골전이가 발견된 여러 악성종양에서 신장 영상 비출현의 빈도 및 신장 영상 비출현의 소견을 보이는 여러 악성종양의 골전이 범위를 관찰하기 위하여,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최근 6년간 시행한 골 신티그람 중 신장 영상 비출현의 소견을 보이는 889개를 재검토하였다. 신장영상 비출현의 원인 질환으로는 신부전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816/889 : 91.8%), 신장 질환이 없는 경우에서는 광범위한 골전이가 가장 많았으며 (53/889 : 6.0%), 그 원발부위는 전립선암 (19/53 : 35.8%), 위암(14/53 : 26.4%), 유방암(5/53 : 9.4%), 폐암(4/53 : 7.5%) 신세포암(2/53 : 3.8%), 방광암(1/53 : 1.9%), 원발부위 미상(8/53 : 15.1%)으로 전립선암과 위암이 가장 많았다. 특히 강직성 척추염 4예, 류마토이드 관절염 3예, 성인형의 골화석증 1예에서 신장 영상 비출현의 소견을 보여 이채로왔으며, 이 밖에 원발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및 그레이브스병이 각 1예씩 있었으며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10예 있었다. 전립선암 140예중 골 신티그라피에서 골전이가 발견된 예는 108예(77.1%), 이중 신장 영상 비출현의 소견을 보이는 예는 19예(19/108, 17 6%)이었으며, 위암에서는 각각 328예, 162예(49.4%), 14예 (8.6%), 유방암에서는 각각 1754예, 730예 (41.6%), 5예(0.7%), 폐암에서는 각각 1105예, 596예(53.9%), 4예(0.7%), 방광암에서는 각각 247예, 110예(44.5%), 1예(0.9%)로 전립선암에서 신장 영상 비출현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특히 위암에서 골전이 및 신장 영상 비출현의 빈도가 높아 주목되었다. 골전이 및 신장 영상 비출현의 소견을 보이는 악성종양 환자의 골 신티그람 53개중 44개 (83.0%)에서 척추 및 늑골에 미만성, 또는 다발성 침습이 관찰되었다. 또 골전이 부위를 두개골, 척추, 견대부, 늑골, 골반, 사지의 근위부 장골의 6개 부위로 나누어 분석할 경우 49개(92.5%)에서 3부위 이상에 전이가 발견되었고, 35개(66.0%)에서 4부위 이상에 전이가 발견되었으며, 5부위 이상, 6개 부위에 모두 전이가 발견된 것은 각각 20개 (37 7%), 11개(20.8%)이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악성종양 환자의 골 신피그라피에서 신장 영상의 비출현은 종양의 광범위한 골전이를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소견으로 생각된다. 여러 악성종양중 전립선암에서 신장 영상 비출현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특히 위암에서 골전이 및 신장 영상 비출현의 빈도가 높음은 주목할 만한 것이라 하겠다.

  • PDF

Development of BSKT For Cultivating Tacit Knowledge Transfer (암묵지전이 활성화를 위한 BSKT(Brokering Systems for tacit Knowledge Transfer)개발)

  • Hong, Jong-Yi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6 no.1
    • /
    • pp.39-48
    • /
    • 2016
  • The tacit knowledge transfer cultivate the value and mount of tacit knowledge. The tacit knowledge transfer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for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organization. Despite the tacit knowledge transfer is very important, the research related with tacit knowledge transfer has not been actively carried out. The barriers to tacit knowledge transfer interfere with the tacit knowledge transfer. The barriers to tacit knowledge transfer are lack of understanding knowledge experts, heavy over-work, insufficient compensation, trust shortage and knowledge stickiness. In order to overcome the barrier of the tacit knowledge transfer, it is necessary to promote knowledge broker. The knowledge broker is the foundation for the tacit knowledge transfer and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efficient tacit knowledge transfer. However, most research related on the knowledge broker had focused on the degree, centrality and density of the knowledge network. The framework is needed to performance indicator for diagnosing the tacit knowledge transfer. Therefore, we suggest the knowledge broker framework based on the social network analysis.

Endobronchial Metastasis from Renal Cell Carcinoma -A case report- (신장세포암의 기관지내 전이 - 1예 보고 -)

  • Kim, Si-Wook;Shin, Yoon-Mi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41 no.3
    • /
    • pp.386-389
    • /
    • 2008
  • Lung parenchyma is a common organ for metastases of extrathoracic tumors, but endobronchial metastasis is very rare. In this report, we present a case of endobronchial metastases from renal cell carcinoma (RCC), and this was managed by performing operative resection. A 63-year-old man presented with frequent dry cough; he had previously undergone left nephrectomy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for grade 2 RCC eight years ago. Computed tomography and bronchoscopy showed an endobronchial tumor from the left lower lobe bronchus to the second carina, and this mass was diagnosed as a necrotic tissue with chronic inflammation at biopsy. During the operation, the mass was revealed to be a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on the frozen section diagnosis and there was no mucosal invasion on the resection margin of the left lower lobe bronchus. We performed lobectomy of the left lower lobe with systemic dissection of the mediastinal lymph nodes. The final histopathologic diagnosis of the endobrochial mass was metastatic RCC and any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was not found. The patient was discharged on postoperative day 10 without any postoperative co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