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업주부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6초

유치원 여교사(女敎師)와 전업주부(主婦)의 이산화질소 노출비교 및 평가 (Comparative Study on Nitrogen Dioxide Exposure of Female Teachers from Kindergarten and House Wives)

  • 양원호;김순복;배현주;이영미;정문호;정문식
    • 환경위생공학
    • /
    • 제16권1호
    • /
    • pp.1-8
    • /
    • 2001
  • Since most people spend over 80% of their time indoor, indoor air quality tends to be the dominant contributor to personal exposure. In this study, indoor and outdoor $NO_2$concentrations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simultaneously personal exposures of 27 house-wives and female workers of kindergarten. Time activity pattern and house characteristic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personal exposure. Since house-wives student spent most their times in indoor with mean of 89.8%, their $NO_2$ exposure was associated with indoor $NO_2$ level(r= 0.92) rather than outdoor $NO_2$ level(r= 0.87). female workers were also associated with indoor $NO_2$ level(r= 0.70) though sample number were small. Using time-weighted average model, $NO_2$ exposures of house-wives were estimated by $NO_2$ measurements in indoor home and outdoor home levels. Estimated $NO_2$ personal exposu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easured $NO_2$ personal exposures (r= 0.90). These results might mean that air pollutants exposure of old and feeble persons, and infants could be estimated by measuring concentrations of indoor home.

  • PDF

FGI조사를 통한 소형 복합오븐 개발 연구 (Small Multi-Function Oven Research and Development Via the FGI Survey)

  • 김영식;홍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566-2574
    • /
    • 2013
  • 본 연구는 쌀가루를 활용한 조리 경험과 오븐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14명의 외식 및 식품 관련 종사자와 전업주부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시행하여 쌀가루 조리가 편리한 가정 외식용 복합오븐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결과, 대체로 쌀가루의 홍보부족과 다양하지 못한 메뉴, 그리고 상품화된 오븐의 사용법이 복잡하여 자주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가정 및 외식업체에서 사용하기 간편한 소형 복합오븐의 외형 디자인, 사용자 경험, 기능적 특성, 색상에 관한 개발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디자인 출원(30-2012-0016256) 및 최종제품을 실제로 상품화하여 연구의 성과지표를 높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광주시 주부의 개인 속성과 일상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aily Activity of Housewives in Kwangju City)

  • 김송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7-228
    • /
    • 1997
  • 본 논문은 여성의 취업 선호 현상으로 인한 사회 참여가 높아짐으로서 나타나는 여성의 역할과 일상 행동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 광역시에 거주하는 주부 132명의 평일, 토요일, 일요일에 나타나는 일상 행동 궤적을 조사하고, 이를 개인 속성과 관련시켜 고찰하였다. 일상 행동은 하루의 노동 행동과 여가 행동 및 수면을 중심으로 7개의 범주로 세분하였으며, 개인 속성은 연령, 취업정도, 교육정도, 가족수, 주거형, 거주지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반적으로 개인 속성과 일상 행동의 관계는 취업 정도에 의해 평일과 토요일의 일상 행동에 대한 판별이 가능하였다. 둘째, 1주일의 일상 행동은 평일, 토요일, 일요일로 분류할 때, 토요일에 공간적 이동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셋째, 개인 속성과 통행수의 관계에서는 토요일 전업 취업 주부일수록 4회 이상의 다목적 통행을 나타냈다. 넷째, 주기수와 통행수의 관계는 주기가 빈번해질수록 다목적 통행을 나타내나, 1회 주기가 대부분이며 평일에 두드러졌다. 다섯째, 개인 속성과 행동 패턴의 관계는 평일과 주말에 따라 다르나, 전반적으로 WH, LH, WLH LHLH 형을 나타냈다.

  • PDF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에 관한 효과적 교육 및 홍보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Educational and Promotional Strategies for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

  • 홍진임;정희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76-189
    • /
    • 2012
  • 본 연구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홍보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자인 학부모는 특별법 주요 문항을 대부분 숙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전한 어린이 기호식품 선택을 위해 가장 중요한 항목은 '어린이 기호식품의 기준 규격을 강화해야 한다'로 나타났다.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관련 문항은 어린이 식생활 안전분야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고, 전업주부와 핵가족은 어린이 식생활 안전분야를 (p<.01), 대가족은 어린이 식생활 영양분야를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에 대한 정보취득 경로는 주로 대중매체와 가족 및 친구로 나타났고, 월수입이 높을수록 전문서적을, 30세 이상~50세미만은 대중매체를, 대졸의 경우 시민사회단체를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5). 어린이 식생활 안전교육을 받게 될 경우 위생적인 식생활 정보와 가공식품영양표시제정보를 주로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업 주부는 가공식품영양표시제정보에, 직장인은 위생적인 식생활 정보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p<.05).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을 학부모들에게 알리는 방법에 대해서는 TV, 라디오 등 방송매체를 통한 홍보와 학교 교육을 통한 홍보가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연구결과 어린이 식생활 안전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와 학부모들이 생각하는 특별법에 대한 효율적 홍보방법으로 대중매체가 영향을 많이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앞으로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을 홍보하는데 있어서 유의해야 할 부분이라고 사료된다.

  • PDF

주류 선택 유형에 따른 주류 소비 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quor Market Segmentation by Patterns of Choosing Liquor)

  • 김영아;김동진;변광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32-242
    • /
    • 2010
  • 현대의 점점 다양해지는 소비자의 욕구와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주류산업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술들이 속속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주류의 선택 유형에 따른 소비자들의 특징을 알아봄으로써 소비자들의 주류 소비 패턴과 성향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주류 개발 및 시장세분화 마케팅 전략에 기초적 자료가 되고자 하는 것이다. 군집분석을 통하여 주류 선택 시 고려사항을 합리적 선택형, 맛 지향형, 광고 지향형, 주관적 선택형 등의 4가지 유형의 소비자 군집으로 구분하였고, 대응일치분석을 통해 각 군집의 특징을 밝혔다. 합리적 선택유형은 유행에 민감한 젊은 층과 관련이 있고, 50대 이상의 대졸 학력자로 이루어진 맛 지향형은 일주일에 3~4회 술을 마시고 업무적인 이유로 인한 음주량이 많은 유형, 광고 지향형은 대부분 여성인 전업주부로 광고에 민감한 유형, 30대 대학원 이상의 학력, 전문직과 관련성이 높은 주관적 선택형은 주류의 여러 가지 장점과 단점을 골고루 고려하여 음주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 PDF

유통업자상표 의류제품 구매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구매동기 및 불만족에 관한 연구 (Study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tivation and Dissatisfaction to Purchase of Customers with Private Brand Apparel)

  • 권순기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8권
    • /
    • pp.475-490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유통업자상표 의류제품 구매고객의 구매빈도에 따라 분류된 집단간 인 구통계학적 특성, 구매동기, 불만족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만 18세 이상의 여성으로 2개 백화점 9개 점포에서 판매하고 있는 유통업자상 표 여성의류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고객 1,120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PC^+$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 던컨 검증, $X^2$검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유통업자상표 의류제품의 구매빈도가 높은 집단의 특성은 만 18-39세에 주로 분포되어있고, 대학 학력이 많았으며, 직업은 전업주부 및 사무직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월평균 의복지출비 및 월평균 쇼핑지출비로 10-30만원미만 정도를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평균 총수입규모는 100-300만원미만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구매빈도에 따른 집단간 유통업자상표 구매동기를 파악해 본 결과 1-2번 구매집단은 디자인이 마음에 들어서, 3번이상 구매집단에서는 가격에 비해서 품질이 좋아서가 우선 시되는 구매동기로 나타났다. 한편 구매빈도에 따른 집단간 유통업자상표 의류제품 제품구 매시 불만족을 파악한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학력 기혼여성의 취업여부별 식품섭취상태로 본 식사의 질 평가 - 전업주부와 교사의 비교 - (Evaluation of Diet Quality according to Food Consumption between Highly Educated, Married, Unemployed and Employed Women)

  • 최지현;정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3호
    • /
    • pp.274-285
    • /
    • 2006
  • The differences in food consumption between highly educated, married, unemployed and employed women were analyzed by food group and common food item intake, DDS (dietary diversity score), and DVS (dietary variety score) & DVSS (dietary variety score including condiment). In food group intake, the total amount of food intake of the unemployed women (1,554.0 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employed (1,477.9 g), while the amount of food from fungi and mushrooms (4.2 g), seaweeds (2.4 g), and fish and shellfish (60.5 g) of the unemployed wome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employed. And the amount of meat, poultry and their products (102.8 g), eggs (29.9 g), and animal oil and fats (4.0 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employed. Moreover, the common food items of the unemployed women were ranked as eggs (29.7 g), pork (28.9 g), chicken (27.2 g), and beef (26.7 g) at 7, 8, 9, and 10, respectively. When counting the major food groups consumed, DDS=4 has the highest proportion in both groups (unemployed 47.4%, employed 49.1 %). In case of the subjects who had not consumed one particular food group in DDS=4, dairy group was the first (83%), followed by fruit, meat, and vegetables. This order is same in other DDS levels. In dietary variety score (DVS & DVSS), the average number of foods consumed per day of employed women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unemployed. The level of DVSS in the employed women (31.9), especially,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unemployed women (30.6). Consequently, highly educated women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increasing dairy intake, and they have need of various foods, over thirty foods without condiments in their diet every day. In addition, encouraging unemployed women to have a nutritionally balanced diet, and offering nutrition education and guidance, such as appropriate choices about animal foods, are needed.

대전지역 전업주부들의 학력수준에 따른 식품구매 실태조사 (Food purchase Behavior of Taejon Full Time Housewives with Different Education Levels)

  • 김경은;권순자;이선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9-108
    • /
    • 2001
  • A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food-purchase behavior of 197 Taejon full time housewives 30 to 49 years of age. Food purchase was assessed using a questionnaire and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s. Demographic data revealed that most of the households have three to five family members and that the Engel Indices of the participating households were mostly between 10 and 30%. Noticeable results of the food purchase assessment are as follows. In the grain and grain products items, the low-education group purchased more rice and barley than the high-education group, whereas the high-education group purchased more glutinous rice, brown rice, bread, macaronis and spaghetti than the low-education group. In the vegetable items, the low-education group purchased more Chinese cabbage and radish than the high-education group, while the high-education group purchased more head lettuce, broccoli and sweet pepper than the low-education group. In the meat items, the beef purchase was higher in the high-education than in the low-education group, while the pork purchase was higher in the low-education than in the high-education group . In the processed meat items, ham was the most favorite purchase item regardless of the education level. In the fish and shellfish items, Pacific cod and Alaska pollack were purchased more in the low-education than in the high-education group, and salmon and dried icefish strip were purchased more in the high-education than in the low-education group. No items in frui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urchase amount between the low-education and the high-education group although the latter purchased more imported-fruits such as melons, kiwis, grapefruits, and oranges. Dairy products such as milk, cheese and butter were purchased more in the high-education than in the low-education group. It was also found that both the number of food items and the consumption of foods coming from animals were higher in the high-education than in the low-education group.

  • PDF

장애아동 양육자의 정신과적 문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Psychiatric Problem of the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 김희정;김동현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37-147
    • /
    • 2011
  • 본 연구는 일부지역 장애아동 양육자의 정신과적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우울증 지수를 검사하고 분석함으로서 그 심각성을 확인하고 장애아동 양육자의 정신보건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1년 8월부터 9월까지 경주 및 인근지역에서 지적장애아동과 지체장애아동을 둔 전업주부의 정신과적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양육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 정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3개의 치료기관 및 치료 관련기관에서 지적장애 또는 지체장애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부모 각 20명씩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울증 평가도구는 한국형 우울증 검사(Korean Depression Scale; KDS)를 이용하였다. 결과는 첫째, 지적장애아동과 지체장애아동 양육자 모두 우울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각의 차이 비교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둘째, 지적장애아동과 지체장애아동 양육자의 우울증 세부항목에서는 의욕상실 부분에서만 유의성이 있었다. 셋째, 지적장애아동 양육자의 우울증 세부항목간의 비교에서는 유의성이 있었다. 넷째, 지체장애아동 양육자의 우울증 세부항목간의 비교에서는 유의성이 있었다. 다섯째, 지적장애아동 양육자의 우울증과 세부항목의 상관관계에서는 의욕상실에서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여섯째, 지체장애아동 양육자의 우울증과 세부항목의 상관관계에서는 의욕상실에서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두 장애아동의 양육자간 차이는 없었으며 우울증은 장애유형에 상관없이 모두 나타났다. 그리고 세부항목과 우울증의 상관성에서는 의욕상실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이것은 장애아동의 양육에서 치료의 지연으로 인한 의욕상실에서 우울증이 많이 유발됨을 알 수 있다.

폐경 전 전업주부의 대사증후군 관련 요인: 2010~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분석 (Th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Pre-menopausal Housewives: An Analysis of the 2010~201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철규;김영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8-119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pre-menopausal housewives and to explore controllable and uncontrollable factors regarding metabolic syndrome.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of this cross-sectional survey was from the Korean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HANES) 2010 through 2015, including the fifth and sixth population-based studies. The criteria for metabolic syndrome include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fasting plasma glucose, triglyceride, high-density lipoprotein (HDL) based on Kore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Metabolic Syndrome by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15. Results: Among the 2,498 subjects, 247 subjects had metabolic syndrome and the prevalence was estimated to be 9.9%. The number of subjects who met the criterion of HDL was 936 (36.2%), which was the most prevalent among the criteria for metabolic syndr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factors include age, livinghood benefit group, perceived health status, obesity, family history of DM, sleeping time, awareness of stress,leukocyte, and erythrocyte count. The odds ratio of obesity in the BMI ${\geq}25$ group was 12.59 times as high as that of the BMI <25 group (p<.001) for metabolic syndrome.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pre-menopausal housewives in the survey was not low,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comprehensive health habit management programs to improve controllable factors including exercise and food in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