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압안정화

Search Result 20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haracteristic Analysis of LDO Regulator According to Process Variation (공정변화에 따른 LDO 레귤레이터의 특성 분석)

  • Park, Won-Kyeong;Kim, Ji-Man;Heo, Yun-Seok;Park, Yong-Su;Song, Han-Jung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v.48 no.4
    • /
    • pp.13-18
    • /
    • 2011
  • In this paper, we have examine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LDO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ocess variation using a 1 ${\mu}m$ 20 V high voltage CMOS process. The electrical analysis of LDO regulator have been performed with three kind of SPICE parameter sets (Typ : typical, FF : fast, SS : slow) by process variation which cause change of SPICE parameter such as threshold voltage and effective channel length of MOS devices. From simulation results, we confirmed that in case of SS type SPICE parameter set, the LDO regulator has 3.6 mV/V line regulation, 0.4 mV/mA load regulation and 0.86 ${\mu}s$ output voltage settling time. And in case of Typ type SPICE parameter set, the LDO regulatorhas 4.2 mV/V line regulation, 0.44 mV/mA load regulation and 0.62 ${\mu}s$ output voltage settling time. Finally, in the FF type SPICE parameter set, the LDO regulator has 7.0 mV/V line regulation, 0.56 mV/mA load regulation and 0.27 ${\mu}s$ output voltage settling time.

DC-link Voltage Control Algorithm of PMSG Grid Connected Converter for Wind Power System (풍력발전용 PMSG 계통연계 컨버터 직류 링크 전압제어 알고리즘)

  • Lee, HeonSu;Cho, YoungPyo;Yoo, JiY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11a
    • /
    • pp.11-12
    • /
    • 2012
  • 최근 풍력 발전이 시스템이 전체 전력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는 LVRT(Low Voltage Ride Through) 규정을 제정하여 계통 연계된 풍력 발전 시스템이 전력망의 안정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계통 전압 사고 상황에서 LVRT 규정을 만족 시키게 되면 발전기에서 발생된 유효전력과 계통으로 전달되는 유효전력 사이의 불균형으로 직류 링크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에서 계통연계 컨버터의 직류 링크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A Sensorless Control Scheme of the Three-Phase Z-Source PFC PWM Rectifier Using Fuzzy-PI Controller (퍼지-PI 제어기를 이용한 3상 Z-소스 PFC PWM 정류기의 센서리스 제어)

  • Han, Keun-Woo;Jung, Young-Gook;Qiu, Xiao Dong;Lim, 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22-2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기존 3상 PWM 정류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3상 Z-소스 PWM정류기와 시스템의 간소화, 안정화, 비용 상승을 고려한 센서리스 제어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DC-link단 전압제어기는 시스템에 대한 경험과 정성적인 정보에 기초하고 제어 대상에 대한 정확한 수식이 없어도 제어기 설계가 가능한 퍼지 PI제어기를 이용하였다. 제안한 정류기는 교류측 전압과 전류 센서 없이 DC-link단 전압과 전류 센서만을 이용하여 교류측 전압과 전류를 추정하고 단위역률을 구현하였으며, 이를 PSIM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 하였다.

  • PDF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ree Phase PWM Boost AC-AC Converter Using Circuit DQ Transformation (회로 DQ 변환을 이용한 3상 PWM Boost AC-AC 컨버터의 특성해석)

  • 최남섭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7 no.7
    • /
    • pp.1514-1519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modeling and analysis of stat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 in three phase PWM Boost AC-AC converter used for input voltage sag compensation of custom power. Especially, using circuit DQ transformation technique, an equivalent circuit in fundamental frequency domain is obtained which has all the system characteristics. Moreover, voltage gain and input power factor is analytically induced and linearized state equation at the specific operating point is given. Finally, PSIM simulation results show the validity of the Nosed modelling and analyses.

Using the Multi-Excitation method, the high voltage SMPS design (다중 여자 방식의 고압 SMPS 설계)

  • Sin, Min-Jeong;Kim, Chun-Sung;Hwang, Jung-Goo;Park, Sung-J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528-529
    • /
    • 2015
  • 본 논문은 DC-DC 플라이백 컨버터 회로를 바탕으로, 고전압 입력으로부터 다채널의 절연된 저전압을 출력하는 고압 SMPS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토폴로지는 고전압을 분배하는 커패시터와 MCU 전용의 커패시터를 직렬로 구성하고, 각 커패시터에 분배된 전압을 입력으로 다중여자 방식의 플라이백 컨버터 구조로 되어있다. 직렬 커패시터 구조는 고압환경에서의 소자들의 절연 및 전압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으며, MCU 전용의 커패시터는 시스템의 초기구동을 위한 자가충전(Self-Power) 및 Black-Start의 시스템 안정화 구조이다. 또한 다중여자방식은 변압기의 단일 코어를 사용하여 스위칭 전류를 흘려줌으로서 커패시터의 전압불균형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제안된 토폴로지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Grid-Interactive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 with Voltage-controlled VSI (전압제어형 VSI를 적용한 계통연계형 분산전원시스템의 동작특성)

  • Kang, Dae-Up;Cho, Sung-Phil;Ko, Sung-Hun;Lee, Seong-Ryong;Lee, Su-Won;Mun, Young-H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151-115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전력품질개선, 부하수요관리, 무정전전원공급, 부하전압안정화 등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압제어형 전압원인버터(VCVSI: Voltage-Controlled Voltage Source Inverter)를 적용한 계통연계형 분산전원시스템의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 된 시스템은 계통, 신재생에너지원(또는 배터리) 그리고 부하조건에 따라 3가지 모드(전력품질개선모드. 부하수요관리모드, 무정전전원공급모드)에 따라 동작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모드에 따른 동작특성을 분석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다중 이종구조를 가진 전자 수송층을 사용한 녹색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메카니즘

  • Park, Su-Hyeong;Chu, Dong-Cheol;Kim, Tae-Hwan;Jin, Yu-Yeong;Seo, Ji-Hyeon;Kim, Yeong-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423-423
    • /
    • 2010
  • 유기발광소자의 제작 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와 조명 분야에서 많은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유기발광소자의 발광효율은 발광층내에서 전자와 정공의 비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전자 수송층과 정공 수송층내에서 전하의 이동도를 제어하는 구조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 수송층으로 tris(8-hydroxyquinoline)aluminum ($Alq_3$)와 4,7-diphenyl-1,10-phenanthroline (BPhen)의 다중 이종구조를 사용하여 제작된 녹색 유기발광소자의 전기적 성질과 광학적 성질을 연구하였다. $Alq_3$와 BPhen 다중 이종구조의 위치와 이종구조 개수의 변화에 따라 전자의 변하는 전송특성으로 인하여 변화되는 발광특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유기발광소자의 구동전압은 $Alq_3$/BPhen 이종구조의 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Alq_3$와 BPhen 내에서 전자의 이동도가 다르기 때문에 $Alq_3$/BPhen 이종계면에 전자가 축적되어 공간전하를 형성하므로 계면에서 내부전계가 형성되어 구동전압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Alq_3$/BPhen 이종계면에서 축적된 전자들로 인하여 형성된 내부 전계로 인해 저전압에서 누설 정공의 수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다중 이종구조로 된 전자 수송층을 포함한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효율은 구동전압이 증가할수록 안정화 되었다. 이는 이종계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의 이종계면에서 축적되는 전자의 양이 감소하기 때문에 고전압에서 효율감소율이 작아졌다. $Alq_3$/BPhen 다중 이종구조를 가진 전자 수송층내에서 전자의 전송 메카니즘에 대한 이해는 유기발광소자의 발광효율이 안정화된 구조를 설계하는데 중요한 실험적 결과를 제공한다.

  • PDF

16Mb DRAM의 중요 기술적 문제점

  • 김창현;신윤승;진대제
    • 전기의세계
    • /
    • v.38 no.4
    • /
    • pp.12-19
    • /
    • 1989
  • 16Mb DRAM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주요한 기술적인 문제점으로 설계면에서는 전력소모, Noise, Vcc내부 전압강하회로를 들 수 있다. 기술적인 면은 CELL을 어떻게 형상화느냐에 따라 문제가 다르게 나타나나 단차에 따른 photo/etching, 박막의 leakage전류와 reliability, short channel에 따른 transistor특성의 안정화등이 있다. 특히 16Mb에서는 stack형, stack과 trench의 병합형이 cell의 주요형태가 될 전망이다.

  • PDF

Stabilization Power Systems withan Adaptive Fuzzy Control (적응퍼지제어를 이용한 전력계통 안정화)

  • 박영환;박귀태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8 no.2
    • /
    • pp.117-127
    • /
    • 1998
  • Power systems have uncertain dynamics due to a variety of effects such as lightning, severe storms and equipment failures. The variation of the effective reactance of a transmission line due to a fault is an example of uncertainty in power system dynamics. Hence, a robust controller to cope with these uncertainties is needed. Recently, fuzzy controllers are becoming quite popular for robust control due to its potential of dealing with uncertain systems. Thus in this paper we design an adaptive fuzzy controller based on an input-output linearization approach for the transient stabilization and voltage regulation of a power system under a sudden fault. Also this paper proposes a fuzzy system that estimates the upper bound of uncertain term in the system dynamics to guarantee the Lyapunov stability.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good performance is achieved by the proposed controller.

  • PDF

Combustion Characteristics Based on Injector Shape of Supersonic Combustor (초음속 연소기의 인젝터 형상에 따른 연소특성)

  • Jin, Sangwook;Choi, Hojin;Lee, Hyung Ju;Byun, Jong-Ryul;Bae, Juhyun;Park, Dongch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3 no.3
    • /
    • pp.76-87
    • /
    • 2019
  • A direct connected test was conducted for a supersonic combustor with a cavity-type flame holder. Liquid hydro-carbon fuel was injected in different types of injectors: inclined and aeroramp injectors, for the flow condition of Mach 4 at an altitude of 20 km. The static pressure on the combustor wall along the axis and the total pressure at the exit of combustor were measured to analyze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at various fuel flow r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