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방 불안정성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253 seconds

Glenoid and humeral defect in anterior instability of the shoulder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의 관절와 및 상완골 결손)

  • Park, Tae-Su
    • The Academic Congress of Kore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 /
    • 2009.03a
    • /
    • pp.27-29
    • /
    • 2009
  •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관절와 및 상완골 결손이 동반된 경우 적절한 진단과 치료는 치료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중요하다. 견관절 불안정성은 정적 및 동적 안정화 구조물의 손상으로 기인하며, 상완골 두감입 골절(Hill-Sachs 병변), 관절와 골절이나 전하방 관절와 가장자리의 소실 등 정상적인 관절의 해부학 구조물을 훼손시키는 골성 이상 소견이 동반되면 경우에 따라 견관절 불안정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강좌에서는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동반된 관절와 및 상완골의 골 결손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

Stabilization in the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here Do We Stand Today?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치료방침의 결정)

  • 이용걸
    • The Academic Congress of Kore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 /
    • 2004.11a
    • /
    • pp.112-116
    • /
    • 2004
  • 전방 탈구인 경우 첫탈구이거나 생애에 몇번만 탈구를 경험하고 일상생활에 별 지장이 없다면 보존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early surgey가 요구되는 경우는, 첫탈구가 teen aged이면 관절경적 수술을, 골편이 큰 Bankart병변이 있는 첫탈구는 수술하는 것이 좋다. 전방 불안정성인 경우, collision sports는 개방술로, non-athletes이거나 throwing 또는 contact sports는 관절경술로 시행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가 명심하여야 할 것은 전방 불안정성을 다루는데 환자의 입장에서 서야 한다는 것이다. 의사의 능력 정도나 욕망보다도 환자의 상태, 활동 정도와 환자의 요구에 맞추어 환자를 치료하여야 한다.

  • PDF

Arthroscopic Technique of Bone Defect in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골 결손이 동반된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관절경적인 수술 술기)

  • Ko, Sang-Hun;Park, Ki-Bong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v.12 no.1
    • /
    • pp.102-108
    • /
    • 2009
  • Purpose: The bone defects that are associated with shoulder anterior instability may be the causes of failure of arthroscopic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traumatic shoulder instability, we tried to determine the arthroscopic techniques that can be used for the bone defect of the glenoid and the humeral hea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surgical techniques for the arthroscopic reconstruction of the shoulder with anterior instability and bone defects.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articles that have been recently published on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and we assessed the arthroscopic surgical techniques. We compared the articles and the methods of arthroscopic surgical techniques for treating bone defects of the anteroinferior glenoid and the posterolateral humeral head, which were considered as the causes of recurrence of shoulder instability. Results: There are the anteroinferior bone defects of the glenoid and Hill-Sachs lesions in the bone defects that appear in patients with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These bone defects are currently the causes of failure of arthroscopic surgery. Conclusion: Open shoulder surgery may be the treatment of the choice for a shoulder with instability and significant bone defects of the glenoid and the humeral head. But efforts are being made to overcome the weaknesses of open surgery by the use of arthroscopy.

Anterior Instability of the Knee after Arthroscopic Treatment for Tibial Spine Fractures (경골극 골절의 관절경적 치료 후 슬관절의 전방 불안정성)

  • Choi, Chong-Hyuk;Kim, Sung-Hwan;Joo, Jong-Hwan;Kim, Hy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Arthroscopy Society
    • /
    • v.10 no.1
    • /
    • pp.26-32
    • /
    • 2006
  • Purpose: We evaluated the result of the degree of reduction and anterior instability after arthroscopic treatment of tibial spin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cases of tibial spine fractures treated with arthroscopic procedure could be evaluated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8\;(12{\sim}48)$ months. Evaluations included Lachman test, rotatory instability examination and side to side difference (SSD) using KT-2000 arthrometer. The degree of radiologic reduction was classified as accurate reduction, anterior elevation and reduction failure, according to which the degree of anterior instability was measured. Results: There were twenty three cases (71%) of accurate duction, eight cases (25%) of anterior elevation and one case (4%) of education failure. Eight (29%) of twenty eight cases with pull-out method showed anterior elevation. The SSDs of the accurate reduction and the anterior elevation group were 2.0 mm and 2.8 mm, respectively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percent age of grade 0 Lachman test and SSD less than 3 mm of the accurate reduc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Conclusion: Accurate reduction is important in reducing anterior instability especially in unstable fractures. Therefore, arthroscopic pull-out method should be performed with great caution to avoid anterior elevation of the fracture fragment.

  • PDF

견관절 불안정성 진단 및 치료방침의 결정

  • Choe, Chang-Hyeok
    • The Academic Congress of Kore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 /
    • 2007.11a
    • /
    • pp.104-109
    • /
    • 2007
  • 외상성 전방탈구의 경우 일차성 탈구이거나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호소하지 않는 불안정성이 있을 경우 및 비외상성 다방향 불안정성의 경우 보존적 치료가 바람직하며, 10대 및 20대의 재탈구로 인한 불안정성이 유발될 경우 관절경적 혹은 개방성 Bankart 술식을 통하여 관절순의 해부학적 정복 및 술 후 잘 조절된 재활치료를 시행할 경우,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치료 방법의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환자의 원하는 결과를 만족 시켜줄 수 있는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며, 이는 불안정성의 원인, 정도, 탈구의 횟수, 환자의 활동도 및 재활 의지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 PDF

Arthroscopic Bankart Repair for Post-seizure Anterior Instabilities of Shoulder - 2 Cases Report - (전간 발작과 관련된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 환자에서 시행한 관절경적 Bankart봉합술 - 2예 보고 -)

  • Moon, Young-Lae;Yang, Hun;Gorthi, Venkat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v.12 no.1
    • /
    • pp.98-101
    • /
    • 2009
  • Purpose: These case reports have been prepared to highlight the uncommon occurrence of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after an epileptic seizure, the recognition of which is important as this type of injury is associated with bony lesions and a high incidence of recurrence. Materials and Methods: We report two cases of recurrent anterior dislocation of the shoulder due to grand mal epilepsy. These cases were treated as usual anterior dislocations of the shoulder, and were regularly followed to detect any recurrence of shoulder instability. Results: Outcome of the surgery in the two cases was different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seizure control. In the patient in whom seizures were well-controlled, there was no recurrence of instability, while the patient with poorly controlled seizures developed a recurrence of the dislocation following shoulder repair. Conclusion: The authors emphasize the need to control seizures in order to prevent injury recurrence in this subset of patients.

Glenoid lesion in Traumatic Anterior Instability of Shoulder (견관절 외상성 불안정성 관절와 병변)

  • Lee, Seoung-Joon;Park, Jin-Young;Keum, Jung-Sup;Ye, Meng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v.10 no.1
    • /
    • pp.23-26
    • /
    • 2007
  • 관절와 병변은 급성 외상으로 인한 골절뿐 아니라 불안정성으로 인한 골 침윤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하여 진단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전방 탈구와 동반된 전방 관절와 골절의 빈도는 5.4%에서 32%까지 보고되었다. Hovelius 등이 226명의 탈구환자를 대상으로한 연구에서 8%의 관절와 골절이 있었다고 보고하였고, 노령의 환자에서 약간의 빈도가 증가한다고 하였다. 또한 Rowe는 전방 관절와 골절이 있는 27명의 환자에서 기계적 안정성의 결함으로 62%의 재발성 탈구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보다 최근의 방카르트 술기에 대한 보고에서 수술적 처치를 한 환자중 44%가 관절와 골절을 동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Rowe 와 Zarins는 다발성 전방탈구 환자에서 관절와 병변이 잘 치료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낸다고 보고하였다. 전자에 따르면, 관절와 병변을 진단하는 것은 중요하며 환자의 최종적 예후는 이를 어떻게 치료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고 하였다. 관절와 상완관절의 불안정성에서 동반된 관절와 병변의 진단은 보존적 치료시나 수술적 치료 시 모두 중요한 인자라고 하겠다.

Current Concept of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Repair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의 봉합술에 대한 최신 지견)

  • Kim, Young-Kyu
    • Journal of the Korean Arthroscopy Society
    • /
    • v.10 no.1
    • /
    • pp.1-7
    • /
    • 2006
  •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의 관절경적 치료는 환자 개개인의 병리 상태를 잘 파악하여 적절한 복원술을 시행함으로써 보다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현재 관절경적 Bankart 복원술시 봉합 나사못이 가장 이상적인 봉합기구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병리 상태를 고려하여 관절경적 복원술을 시행한 결과 여러 학자들이 과거에 비해 좋은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Table 2). 따라서 술기상으로 보다 숙련된 술식을 통해 재발율을 낮출 수 있으며 보다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하여 수술 후 적극적인 재활 프로그램이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