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문성 요인

검색결과 494건 처리시간 0.026초

과학인재의 성장 및 전문성 발달과정에서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Key Factors of Talented Scientists' Growth and ExpeI1ise Development)

  • 오헌석;최지영;최윤미;권귀헌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907-918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뛰어난 연구 성과를 이룩한 과학 인재들의 성장과 전문성 개발과정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2007년 3월부터 9월까지 과학 분야에서 권위있는 상을 수상한 국내 과학자 31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면담내용은 전관성 발달 단계별로 Csikszentmihalyi의 개인-영역-환경 상호작용(IDF) 모형의 이론적 틀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우선 탐색기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태도,다양한 관심 및 강점의 발견,학구적이며 자유로운 가정환경,의미 있는 만남이,입문기에서는 독립적인 성격특성,전공분야에 대한 지식습득, 대학에서의 학문적 갈증과 지적탐구가 과학인재의 전문성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기에서는 과제집착력,몰입의 경험,관심분야 및 평생 연구주제의 발견,형식교육에서의 멘토와의 만남이,주도기에서는 우선 순위정하기,의사소통능력,창조적 연구 성과와 사명감,또 다른 재능과의 만남,평가 및 지원 체계가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면담 내용을 통해 나타나는 주요 요인의 의미를 해석하고,보다많은 과학 인재의 양성을 위해 필요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가정과 교사의 교사효능감 관련 요인 (Teacher Efficacy of Home Economics Teachers)

  • 이재숙;이형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3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의 일반적 사항과 개인요인(자아존중감), 직무요인(전문성 신장, 학교교육환경)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경기도의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부실기재 된 31부를 제외한 나머지 194부의 자료를 가지고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과 교육수준, 교직경력에 따라 가정과 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전문성 신장, 학교교육환경에 따라 가정과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과 전문성 신장, 학부모 참여, 학습자 특성, 동료교사의 특성, 교수학습지원에 대한 교사의 지각이 긍정적인 집단에서 가정과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높았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전문성 신장과 학교교육환경, 자아존중감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보았을 때 가정과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로 하여금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갖게 하고 현행 교사를 위한 현직연수의 내실화 및 자기연수 기회의 확대, 그리고 시간적, 경제적인 교육 당국의 지원이 절실하게 요청되며 교사로 하여금 학부모, 학생, 동료교사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 PDF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 필요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athematics)

  • 박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191-206
    • /
    • 2020
  • 본 연구는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 필요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탐색함으로써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초등교사를 포커스 그룹으로 구성하여 그룹 토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 필요에 대하여 초등 교사는 불필요와 필요하다는 인식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이 불필요하다는 인식에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 내용의 쉬운 수준과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용이함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대해서는 수학 수업의 다양한 측면 고려, 수학 수업 실패의 누적, 학생에 대한 권위 유지, 사회 변화에 따른 수업 개선 요구, 학교 업무 수행의 영향, 교내 교사 학습 공동체의 영향, 동료 교사의 영향, 교사로의 성장을 위한 노력이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에서 교사의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간호사의 전문성에 대한 개념분석 (Professionalism of the Nurse: A Concept Analysis)

  • 이경미;김수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94-107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성이 구체적 속성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Walker와 Avant의 개념분석 방법에 따라 간호사의 전문성의 개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전문성의 속성은 고도의 간호지식 탁월한 간호기술, 인간 중심 간호 수행, 윤리성, 책임감, 동료 간 협력, 자율성, 탁월한 상황판단 및 문제해결력으로 파악되었다. 선행요인으로는 충분한 기간에 걸친 간호교육과 경험, 연구 활동, 개인적 자질, 자기주도적 훈련이었으며, 간호사의 전문성의 결과는 전문직 정체성 향상, 이직의도 감소, 간호만족도 향상, 건강회복과 안녕의 증진, 간호의 질 향상, 병원의 평판과 수익 증대, 사회적 인정 획득, 간호전문직 발전, 국가 건강 재정적 이익 확보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전문성 개념의 속성을 밝혀 규명함으로써 사회적 요구에 따른 전문직 간호의 발전을 위한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작업으로서, 양질의 간호 제공을 위한 간호사의 전문성 수립의 토대를 마련함에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요양보호사의 교육, 서비스 질, 전문성, 긍정심리자본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of professionalism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effect of elderly care worker education on service quality)

  • 김봉화;고윤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613-623
    • /
    • 2024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 교육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전문성과 긍정심리자본의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요양보호사 교육의 지향점을 탐색하고자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요양보호사 교육은 서비스 질, 전문성,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요양보호사 교육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서비스 질, 전문성,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으로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문성과 긍정심리자본은 각각 요양보호사 교육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서 요양보호사 교육은 전문성을 향상시킴으로써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고 요양보호사 교육은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킴으로써 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는 요인임을알 수 있다. 전문성과 긍정심리자본은 요양보호사 교육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함으로서 전문성이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요양보호사 교육은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향상된 전문성은 긍정심리자본을 증진시키며, 이를 통해 서비스 질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요양보호사 교육에 있어 전문성의 함양이 중요하며, 전문성의 함양을 통한 긍정심리자본의 증진이 서비스 질을 높일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향후 진행될 요양보호사 교육에 전문성과 긍정심리자본의 향상과 관련된 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조망할 수 있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축제의 서비스스케프와 인적서비스가 감정반응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경발효젓갈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Effects of Festival Sevicescape and Human Services to Emotional Response and Behavioral Intention)

  • 노원중;지진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432-43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축제의 서비스스케이프와 인적서비스가 참가자의 감정반응과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소비자인 참가자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축제의 서비스스케이프는 4개의 공통요인으로 추출되어 청결성, 편의성, 적합성, 매력성으로 명명하였다. 분석결과 축제의 서비스스케이프 변수 중에서 청결성과 편의성이 긍정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부정감정에는 청결성과 편의성 변수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적서비스의 친절성, 신뢰성 그리고 전문성 변수 모두가 긍정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인적서비스 변수 중 전문성은 긍정감정에는 정(+)의 영향을, 부정감정에는 부(-)의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결과는 축제의 서비스스케이프 편의성 요인과 인적서비스 전문성 요인이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성공적 축제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축제의 서비스스케이프와 인적서비스 요인들을 고려하여 축제전략을 수립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지표 적합도 분석을 통한 웹 사이트 신뢰성 평가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Web Credibility by Goodness-of-fit Analysis)

  • 김영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5-20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연구 성과에 기초하여 웹정보의 신뢰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추출한 다음, 이를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지표적합도 조사를 통해 웹 사이트의 신뢰성 평가지표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국외 54개, 국내 49개의 웹 신뢰성 평가요인을 부분적으로 축소하거나 통합하였으며, 아울러 웹 사이트의 신뢰성을 높이거나 떨어뜨리는 요인을 일부 분석에 추가한 다음, 웹정보신뢰성 평가지표 적합성 조사를 통해 웹정보 신뢰성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계층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웹 신뢰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1차 지표로서 웹사이트 신뢰성의 평가영역을 진실성 요인과 전문성 요인, 그리고 안전성 요인으로 나누었으며, 2차 지표로 진실성 요인을 믿음성과 명성으로, 전문성 요인을 유용성과 시의성, 그리고 경쟁력으로, 안전성 요인을 보안성과 안정성으로 나누었으며, 최종적으로 각 하위 요인별 네 개씩 모두 28개의 세부 요인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평가지표를 소수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자기분야의 웹 사이트를 중심으로 한 지표 적합도 조사를 통한 검증과정을 거쳤다.

말레이지아의 방위산업-조직 및 발전과 제약요인

  • 이상욱
    • 국방과기술
    • /
    • 11호통권141호
    • /
    • pp.44-55
    • /
    • 1990
  • 말레이지아의 방위산업 육성은 수많은 장애요소로 인하여 제약을 받게 될 것이다. 협소한 국내시장이 하나의 핵심적인 제약요소이다. 전략적인 원자재의 부족이 또 다른 요소이며, 숙련된 전문성의 부족이 장래발전을 방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 외에 원자재, 혹은 전문성, 혹은 면허문제이건간에 항상 국제의존의 문제가 남게 된다. 말레이지아가 자신의 독립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국내생산을 수행할수 없는한 말레이지아는 이러한 국제의존의 함정으로부터 벗어날수 없을 것이다

  • PDF

공공분야의 지식관리 시스템 도입요인과 보상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KMS Adoption Factor and the Compensation Factor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Public Organization)

  • 구병관;이선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18-429
    • /
    • 2012
  • 본 연구는 평가와 보상요인이 지식관리 시스템 도입요인(조직특성, 지식정보특성, 이용자특성)과 성과요인 간에 조절적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 유연성, 신뢰, 지식의 적합성, 기능의 제공정도, 인지된 이익 요인은 KMS 활용도에 조절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용 용이성, 이용자 전문성 요인은 KMS 활용도에 조절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KMS 만족도에는 조직 유연성, 신뢰, 기능의 제공 정도, 이용자 전문성 요인은 KMS 만족도에 조절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식의 적합성, 사용 용이성, 인지된 이익 요인은 KMS 만족도에 조절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미용사 전문성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실증적 연구 (Objective research to develop evaluation scale of professionalism For hair designer)

  • 이기봉;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776-8790
    • /
    • 2015
  • 본 연구는 Lee(2015)의 질적 연구에 대한 후속연구로, 전문가 집단이 아닌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양적연구를 진행하여 평가척도의 타당성을 실증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따라 예비조사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진행한 결과 오분류 및 이상치를 나타낸 12개의 문항을 삭제하였으며, 그 결과 연구자가 잠정적으로 설정한 요인구조와 대체로 부합하는 결과(75문항)를 나타냈다. 이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연구자가 설정한 요인들을 단계별로 투입한 4단계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자가 설정한 요인이 추가되면서 점차 모형적합도가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최종적으로 연구자가 설정한 헤어미용사 전문성 구인화 모형에 부합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한편 본 평가척도는 자기평정방식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자기반성을 통한 전문성 향상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급자의 주관적 판단이 아닌 객관적인 전문성 측정이 가능하여 합리적인 직급체계를 정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