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문가 도움추구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Structure of Personal and Social Cognitive Factors Affecting Professional Help-seeking Decisions for Distress among People in Low-income (저소득층의 디스트레스에 따른 전문가 도움추구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사회인지 요인들의 관계구조 탐색)

  • Park, Sunyo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7 no.2
    • /
    • pp.85-112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structure among personal and social cognitive factors contributing to professional help-seeking decisions to relieve distress of those in low-income, then suggested an appropriate model to inform knowledge for better social work practice. Using data of a purposive sampling from 331 low-income people, covariance structural analyses were conducted in two stages of model exploration, one for TPB model and another for its extended model including the level of distress, family support, and willingness. As results, in the path analyses with the observed variables of the basic components of the TPB, subjective norm showed the strongest effect on the intention, following by attitudes towards help-seeking, then behavioral control the least; in turn both the intention, positively, and behavioral control, negatively, contributed to help-seeking decisions. In the second stage of the path analyses with the extended model of the TPB, each of distress and family support demonstrated direct positive effect on each of attitudes, subjective norm, and behavioral control; each of the attitudes, subjective norm, and behavioral control showed positive effect on both intention and willingness; in turn, while intention showed strong positive effect on help-seeking decisions, willing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and behavioral control had negative effect on decisions. There were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f behavioral control on intention through willingness and of willingness on decisions through inten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PB model is useful for modeling help-seeking decisions through personal and social cognitions, especially the significance of subjective norm implied the importance of social cognition for the people in low-income with distress. Further, it was implied that the extended model needs to address particularity of those people in low-income and the mechanism shown by behavioral control and willingness implied the importance of practicing respect for the client's autonomy and will for self-support in social work practice.

  • PDF

The Subjectiveness of Decent Jobs using Q Methodology (Q 방법론을 활용한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주관성 연구)

  • Jang, Ha-Yeon;Lee, You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8
    • /
    • pp.620-629
    • /
    • 2019
  • In this study, we expected the perceived difference of job calling and decent jobs between recent generation and baby-boomer and eco baby-boomer generation. Understanding perceptions of jobs by current generation that are perceived as lifetime jobs rather than lifetime workplace will make some valuable contributions to future job research and policy.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decent jobs among university students who are ready to go to labor market. By using Q methodology, we extracted 291 Q statements and 47 Q samples. In addition, 31 subjects classified Q samples into Q distributed tables. We used Ken-Q Analysis program. In the results, we found five types of perceived subjectiveness on the decent jobs, which were interests-seeking, balance-seeking, toward organization, power-seeking, and career development. These results confirm the diversity of perceptions of decent jobs. Then, we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to help the labor market entry based on the results.

A Layout of Automotive Engines (자동차용 기관의 레이아웃트(I))

  • 이성열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7 no.1
    • /
    • pp.18-23
    • /
    • 1985
  • 내연기관은 자동차용 기관에 의하여 일반대중과 접촉하게 되었으며, 특히 20세기 중반에 이르러 자동차라는 기계가 일반가정에서 사용되는 가구로 탈피하는 과정에서 그 중요장치의 하나인 자동차용 기관도 전문가가 취급하는 기계로부터 일반인이 취급하는 가구로의 탈피를 요구함에 따라 크게 발전해 온 것이 사실이다. 종래, 내연기관의 설계에 있어서 그 출력과 연료소비를 가장 중요한 성능평가의 요소로 삼아왔지만, 가구로서의 자동차의 최적화를 위해서는 더욱 중요한 많은 성능평가의 요소가 있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실은 최적화에 필요한 많은 요소의 균형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것이 자동차용 기관의 설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일이라 생각되며, 자동차용 기관을 계획할 때의 목표는 다음과 같은 3가지로 생각된다. (1) 고성능일 것 (2) 우수한 기능을 가질 것 (3) 공해가 없을 것 (1)의 고성능을 추구하는데 있어서는 비출력, 연료소비율 및 양호한 응답성이 중요한 요소로 된다. 이중 응답성의 문제는 연료공급기구나 조속기 등의 기능적인 요소와 깊은 관련이 있다. 그리고 내구성, 신뢰성, 정비점검의 무용성이라는 것이 (2)의 우수한 기능을 보장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배경으로 된다. 또한 진동이나 소음이 없고 정숙할 것이 (3)의 무공해성의 목표와도 관 련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배출가스의 무공해화가 자동차에 의한 공해방지의 입장으로부터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리고 이 배출가스의 청정화의 문제는 성능향상을 위한 비출력증대의 방향에 대한 방해가 되는 문제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은 설계단계에 있어서의 계획목표를 3가지로 설정하고, 이 3가지 목표에 관련되는 요소의 균형을 어떻게 위해야 할 것인가 하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되도록 쉽게 기술하고자 하였으나, 미비한 점이 많았을 것으로 생각하여, 다만 이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 여러분에게 약간의 도움이라도 되었으면 하는 것이 소망이다.

  • PDF

The Effect on Network Structure and Network Relation of The Social Enterprise Developmental Model (네트워크구조와 네트워크관계가 사회적 기업발전모형에 미치는 영향)

  • Chung, Dae-Yong;Kim, Min-Su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712-715
    • /
    • 2010
  • 사회적 기업에 관한 선행연구 중 Dorado(2006)는 사회적 기업이 구성원개인의 파트너십이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조직의 목표를 성취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리고 Social Firms UK(2007)가 발표한 Values-Based Checklist에서는 사회적기업의 경우 조직의 성취목표가 기업생존에서 고용성장을 거쳐 권한위임단계로 발전해 간다고 주장했다.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네트워크 구조와 네트워크 관계가 과연 국내 사회적 기업의 발전단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문가의 추천받아 서울, 경기, 부산, 경남 등지의 사회적 기업을 직접 방문하여 사례 연구를 위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실증연구를 위해 400장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그 중 유효한 215장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ruderl & Preisedorfer(1998)의 모형보다 Haugh( 2007) 모형이 한국의 일자리제공 형 사회적 기업에 적합하다는 것을 검증하였고, 둘째, 구성원의 다양한 네트워크구조는 기업생존과 고용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셋째, 구성원의 강한 네트워크 관계는 고용성장과 매출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 넷째, 사회적 기업의 생존은 네트워크구조와 매출성장에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며, 다섯째, 사회적 기업의 생존은 네트워크구조와 고용성장에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사회적 기업의 구성원의 다양한 외부 네트워크는 사회적 기업의 생존에 도움을 주며, 이러한 사회적 기업의 생존은 외부인들에게 더욱 더 강한 신뢰와 친밀감을 주어 사회적 기업으로 하여금 고용과 매출성장을 동시에 추구는 DBL기업으로 발전시켜 나간다.

  • PDF

The Effect of Network Variety and Strength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 (네트워크 다양성과 강도가 사회적 기업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

  • Chung, Dae-Yong;Kim, Min-Su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803-806
    • /
    • 2010
  • 저고용을 통한 고효율로 기업생산성을 추구하는 결과, 야기되는 고용의 불균형을 타개하기 위해 2007년 정부는 사회적 기업 육성법을 통해 사회적 기업을 장려하고 있다. 뿐 만 아니라 전 세계적 으로도 사회적 기업에 관련된 연구를 미국의 로버츠 재단, 영국의 Social Firms, EMES European Research Network 등이 중심이 되어 사회적 기업의 생존 전략과 사회적 자본 활용을 통한 발전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사회적 기업 발전에 필요한 기업생존, 고용증대, 매출증대, 권한위임을 종속변수로 Granovetter Mark, Burt Ronald, Coleman James, Peter Witt, Andreas Schroeter, Christin Merz, Helen Haugh 등의 연구를 참고하여 독립변수인 네트워크다양성과 강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먼저 실증 분석하고 나아가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하여 사회적 기업 발전을 극대화시키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연구의 대상은 2009년 현재 국내의 295개 사회적 기업 가운데 전문가의 추천을 받은 25개 회사로 이루어졌으며 SPSS 12.0으로 요인분석, 타당성, 신뢰성, 상관관계 등의 분석을 거쳐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의 결과 기업생존, 고용증대, 매출증대, 권한위임 전 과정에 네트워크가 필요하며 특히, 기업생존을 위해서는 네트워크강도에 관련된 요인을 매출증대를 위해서는 네트워크다양성에 관련된 요인을 잘 관리하고 유지 발전시켜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사회적 기업 창업을 준비 중인 국내의 많은 회사나 비영리법인, 사회단체가 계속기업으로 발전해 가기위한 사회적 자본 활용 전략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A Call for Community-Based Suicide Prevention in South Korea (한국의 자살예방을 위한 지역공동체 접근)

  • Sung-Pil, Yook;Jameson K. Hirsch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6 no.2
    • /
    • pp.147-164
    • /
    • 2010
  •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community-based approaches to suicide prevention and national strategies for the decrement of suicide rate, and made some suggestions to decrease the suicide rate in South Korea. Until now, efforts to understand and prevent suicide have been pursued singularly by specialized interest groups such as psychiatrists, psychologists, mental health practitioners, and private organizations with little interaction between them, resulting in narrow approaches toward suicide that existed in relative isolation to one another and that have been largely ineffective. To decline the suicide rate in South Korea, the people lived in Korea community ought to have enough knowledge related to suicide and have to cooperate with other people. Through these efforts, Korea community would have established social safety networks to improve the community 's mental health.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uicide prevention and declining the suicide rate is reducing the stigma and increase the self-help seeking behaviors associated with suicide and mental health. Therefore, suicide is not an individual problem solved by suicidal patient, but a community's problem solved by community in recognizing, managing and preventing suicide.

  • PDF

A Study on the Signification of 'The Medicalization of Aging' in TV Health Programs: A Text Analysis of Focus on the 'Vitamin' in KBS (TV 건강프로그램의 '노화의 의료화' 의미화 방식: KBS <비타민>의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Kim, Ju-Mi;Han, Hye-Kyoung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61
    • /
    • pp.159-179
    • /
    • 2013
  •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criteria and signification of 'aging' constructed in media in Korean society that has entered aging society. Fo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KBS the representative TV health programs. According to the result, designs the measurable indexes of aging to rank the casts. And it emphasizes to the casts that cannot reach a certain level the support from medical experts or advanced medical technology. With such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text, this paper found the ideological codes of the health programs. They contrast the elderly who have achieved successful aging from those that have not. They define the aged who have not practiced self-management or medical control to prevent aging properly as failure and also make fun of them. They draw aging that was not regarded as some kind of disease in the past into the area of medicine. Besides, the medicalization of aging regarded as an object for treatment may come to strengthen the control of medical experts and also individualize social issues.

  • PDF

AN EXPLORATORY STUDY TO DETERMINE HOW ADOLESCENT STUDENT NURSES VIEW PEDIATRIC NURSING EXPERIENCE AS STRESSFUL SITUATION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에 느끼는 성년기 간호학생들의 긴장감에 대한 실험적 연구)

  • Oh, Kasil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4 no.3
    • /
    • pp.33-56
    • /
    • 1974
  • 간호를 장래의 전문직으로 택하려고 공부하는 간호학생들은 완전한 성인으로서의 발달 과정중 후기 성년기에 속한다. 이시기는 자아를 발견하고 인간이 무엇을 믿으며 인간의 가치가 무엇인가를 추구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다시 말해서 어른과 어린이의 과도기에 서서 자신의 이상적 가치와 기성사회의 기존 가치를 잘 융화시켜 독립된 인간으로서 성숙하려는 노력의 시기이다. 그러므로 성년기의 갈등은 인생의 어느 시기보다도 그 정도가 심하게 나타난다. 간호학생들은 이상의 일반적인 성년기 발달의 요구 외에도 간호대학이라는 특수한 배움의 여건 때문에 좀 더 심각한 문제에 대두된다. 특히 소아과 간호대학이라는 실습환경은 여러 가지 복잡한 병실 사정으로 많은 긴장감을 주는 학습경험이다. 어린이의 간호에는 그들의 발달과정에 따른 다양한 역활이 요구된다. 또한 병원이라는 낯선 환경과 어머니를 떨어져야하는 두려움으로 불안한 어린이와 그 어린이의 불안과 두려움으로 인해 우울과 죄의식에 있는 어머니의 간호는 여러 면에서 성년기 학생들에게 긴장감을 일으키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의 문헌조사는 주로 미국 문헌에 나타난 간호 대학생들의 성년기 성숙을 위한 발달의 요구와, 소아병실의 복잡한 여건으로 발생되는 긴장감을 다루고 있다. 문헌을 기초로 하여 저자는 긴장감을 주는 간호활동을 크게 다섯 부군으로 묶었다. 1. 어린이 환자의 신체적 간호, 2. 어린이 환자나 부모와의 원만한 대화와 상호관계를 위한 간호활동 3. 소아병실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간호원의 역활 4. 어린이나 부모의 간호에 대한 의뢰심 5. 간호의 가치나 이상적 간호. 연구방법으로는 49개의 폐쇄식 질문 항목을 가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 항목들은 문헌연구에서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 학생들이 긴장감을 느낀다고 밝혀진 내용들이 다.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을 "긴장감이 없었다. ""긴장감이 있었다. ""심한 긴장감이 있었다. ""실습 중 경험이 없었다. "의 사항 중 택일을 하게 되어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모 대학교 간호대학 학생으로 산부인과 간호학 실습을 마친 후 소아과 간호학 실습 8주를 완료한 4학년 학생 42명이었다. 자료분석의 결과는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소아과 간호학 실습은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 있다고 나타났다. 다음은 연구결과 주목할만한 몇 가지 사항들이다. 1. 어린이 환자의 신체적 간호는 성년기 학생들에게 긴장감을 주는 실습 경험이었다. 특별히 심하게 긴장감을 주었던 간호활동은 어린이환자의 상태가 중한 경우로, 장기간 앓는 아이, 선천성 기형이 있는 아이, 회복이 불가능하여 죽게될 아이나 사망하는 경우의 어린이 간호였다. 이 결과는 간호학의 기본과정 즉, 기초간호학이나 내 외과 간호학 실습만으로 소아과 간호학 실습을 위한 충분한 준비가 되지 못한다는 것을 뜻 할 수도 있다. 한편, 문헌연구에서 밝힌바와 같이 어리고 연약해 보이는 어린이들의 신체조건이 학생들의 간호활동을 어렵게 하는 경우도 될 수 있겠다. 2. 간호학생들의 어린이 환자와의 대화나 원만한 인간관계에서의 긴장감은 이 연구결과로 평가나 제언이 힘들다. 조사결과에서 학생들은 주로 어린이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심한 긴장감을 가졌고 일반적인 간호의 경우에는 별로 긴장감이 없었다. 이것은 질병의 상태나 화제, 이야기 할 때의 상황에 따라 긴장감의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결론이 되겠다. 3. 소아병실에서의 다양한 역활을 수행하는 것은 비교적 긴장감이 많이 생기는 간호활동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재미있는 사실은 학생들이 간호원으로서의 전문가적인 입장에서, 환자나 보호자를 가르칠때는 별로 문제가 없었으나 어린이 기르는 방법이나 어린이 이해면에서 좀 더 잘 안다고 생각되는 어머니가 지켜 볼때의 어린이 간호에는 긴장감을 가진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Jewett의 연구에서 밝힌바와는 상반되는 결과다. 그의 연구에서 학설들은 부모나 어머니들에 의해 전문가로서 인정받고 기대되는 경우가 제일 어려운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4. 어린이 환자나 그들 부모의 간호에 대한 의뢰심은 학생들에게 심한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 있다. 특히 신체적 간호에 대해 의뢰하는 경우에는 더 심한 긴장감을 준다고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부모가 병실에 상주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의뢰심이 심하며 이것은 학생들에게 감당하기 힘든 긴장과 어려움을 주게된다. 왜냐하면 성년기의 학생들은 그들 자신이 먼저 타인에게서 이해받기를 원하며 또 관용을 베풀어주기를 원하는데 그것을 남에게 주어야 하는 입장은 학생들을 긴장되게 하는 실습활동인 것이다. 5. 학생들은 그들이 배운 간호의 이상이나 가치가 실습지에서의 여러 경우와 맞지 않는 것을 보았을 때 극심한 긴장감을 갖는다고 밝혔다. 의사나 병원 행정의 사실이 자신의 이상과 맞지 않는다는 것보다는 간호원의 간호업무의 차이에서 더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대부분의 성년기 학생들은 그들의 이상적인 간호원상을 그들의 선배나 실무 간호원 중에서 찾으려는 시기에 그들의 간호활동이 이론과 다른 점이나 학생 자신의 소아과 간호의 가치와 다른 것을 보았을 때는 심한 반감과 긴장감을 갖게된다. 이 문제는 어린 사람이 윗 어른과 함께 동료의식을 갖고 일하기 어려운 한국적 사회구조 때문에 더 심하게 긴장감을 주는 경험인지도 모른다. 선배 간호원의 전문인으로서의 권위와 어린이 환자 보호자의 어른으로서의 권위 사이에서 자신의 이상과 가치의 추구는 용이하지 않으며 내적 갈등은 어쩔수 없는 일 일 것이다. 6. 대부분 높은 백분율의 긴장 반응은 죽음이나 환자의 사망에 관련된 간호활동 항목에서 나타났다. 이 연구의 대상 학생들은 2, 3학년에서 죽음에 대한 강의를 들었지만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충분한 학습 경험이 주어진 것 같지 않다. 어떠한 경우의 죽음에라도 어린이 환자나 그 보호자들의 심리를 잘 이해하고 반응을 잘 관찰해서 적절한 간호를 해 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학습 경험이 필요하다고 보겠다. 7. 학생들의 긴장도가 어린이 간호에 더 심한가, 보호자 간호에 더 심한가를 알기 위한 비교 결과는 비교적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8. 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의 긴장도는 과거의 병실 실습기간의 장, 단이나 가정에서의 어린인 간호의 경험과는 별 연관성이 없었다. 연구의 대상자가 적기 때문에 단정을 하기는 힘이 들지만 소아과 간호학 실습이 다른 병실의 실습과는 분리되어서 완전히 다르게 다루어 져야만 하며 간호교육자들의 주의 깊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실습교육이 라 하겠다. 이상의 전반적인 고찰에 의하면 한국 성년기 간호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은 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다. 문화배경의 다른 점은 무시하고라도 Davis와 Oleson이 결론한 바와 같이 "간호대 학생은 어디를 막론하고 다 같은 성격과 문제를 가지고 있다. "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을 위한 연구를 위해 다음의 몇 가지를 본 연구의 결과를 가지고 제언한다. 1. 보다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교육 방법을 가진 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 2. 학생들이 실습 전 선입견이나 이미 들어서 생긴 긴장감의 개입 여부를 밝힐 수 있는 연구. 3. 학생 개인의 과거 경침이 긴장감 유발에 미치는 영향을 위한 연구 4. 이 연구의 결과를 입증할 수 있는 종단적 연구. 5. 이 연구에서 나타난 긴장감이 학습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한 관찰적 연구. 이 연구를 위해 많은 도움을 주셨던 보스턴대학의 Dr. Kennedy와 연세대학의 여러 선생님께 심심한 감사를 드립니다.

  • PDF

A study on the case of education to train an archivist - Focus on archival training courses and the tradition of archival science in Italiy - (기록관리전문가의 양성교육에 관한 사례연구 -이탈리아의 기록관리학 전통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Kim, Jung-H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 no.1
    • /
    • pp.201-230
    • /
    • 2001
  • Conserving the recored cultural inheritance is actually the duty of all of us. Above all, th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archives and documents is up to archivists who have technical knowledge about archival science. Archivists have to not only conserve archives and documents but also carry out classifying and appraising them in order to define them as current historic ones. The fundamental education about archival science is made up of history and law. Because Archive is the organisation which manage archives and documents produced by legal and administrative actions. Although there are still arguments about technical knowledge and degree archivists have to acquire, most of them prefer the studies related with history and emphasize legal studies to be the general boundary of archivits' ideology and trust. The training course about conservation of archives is conducted in about 9 National Archives of Torino, Milano, Venezia, Genova, Bologna, Parma, Roma, Napoli, Palermo. The training course in 19th was mostly based on the lectures of Phaleography, Diplomatics. There were not the education about archival science yet. Toward the end of 19th and 20th, people stressed the most basic subject in the training course of National Archive was not Phaleography and Diplomatics but archival science. The goal of archival science is to study the institution and organisation transferring archives and documents to Archive. And also it help archivists not wander about with ignorance of organisational and original procedures and divisions but know exactly theirs works. Like this, the studies on institution and organisation have got in the saddle as a branch of archival science since a few ten years. While archival science didn't evoke sympathy among people and experienced the tedious and difficult path in italy and other countries, Archive was managed by experts of other branches. As a result, there were a lot of faults in Archival Science. Specializing training course for Italian archivists came into being under the backdrop of Social Science Institute of Roma National University in 1925. The archival course of universities accomplished by the studies of history, law and economy. And such as Eugenio Casanova and Giorgio Cencetti were devoted archival science was abled to settle down in national archive. The training course for experts of 'archival science, 'Phaleography and Diplomatics' in National Archive of Bologna(Archivio di Stato di Bologna) is one of courses conducted in 17 National Archives in italy. This course is gratuitous and made up of 8 subjects(Archivistica, Paleografia, Diplomatica, Storia dell' Archivio, Notariato e documenti privati, istituzione medievale, istituzione moderna, istituzione contemporanea) students have to complete for two years. Students can receive the degree through passing twice written exam and once oral test. After department of Culture and education finally puts the marks of students, the chief Nationa Archive of Bologna confer the degree of 'archival science Phaleography and Diplomatics' on students passing the exams. This degree authenticates trainees' qualification which enables him to work at the archive in province, district and administrative capital city and archive of comunity and so on. Italian training course naturally leads archivists to keep in contact with valuable cultural inheritance through training in Archive. And it shows the intention to strengthen the affinity with each documents in the spot of archival management before training archivists. Also this is appraised as one of positive policies to conserve the local cultual inheritante in connection with the original qualitity of national archive with testify the history of each region. Traning course for archivist in Italy shows us the way how we have to prepare and proceed it. First, from producing documents to conserving than forever there has introduced 'original order that is to say a general rule to respect the first order given at the time producing documents'. Management of administrative documents is related consistently with one of historical documents. Second, the traning course for archivist is managing around 17 national archives. because italian national archive lay stress not or rducation of theory bus on train for archivest working in the first time of archival science. Third, diplomatics and phaleography for studies about historical document support archives. Forth, the studies on history id proceeding by cooperation between archivist and historian around archive. How our duties is non continuinf disputer who has to conserve and manage document and archives, but traing experts who having ability, vision and flexible thought, responsibility about archiv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