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류저항값

Search Result 339,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도핑하지 않은 다이아몬드 박막의 전기전도 경로와 기구

  • 이범주;안병태;백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60-60
    • /
    • 1999
  • 단결정 다이아몬드의 열전도도는 약 22W/cm.K로 열전도도가 가장 큰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비저항은 10$\Omega$.cm 이상의 높은 값을 갖는다. 대부분 열전도도가 큰 것으로 알려진 물질들은 Cu, Ag 등과 같이 전자의 흐름에 의하여 열이 전도되기 때문에 큰 전기전도도를 함께 갖는 것일 일반적이다, 그러나, 다이아몬드는 빠른 phonon의 이동에 의하여 열전도가 이루어지므로 전기적으로 절연 특성을 갖으면서도 큰 열전도가 가능하다. 단결정 다이아몬드는 고방열 절연체로서 이상적인 물질 특성을 보여준다. 전기절연성을 갖는 열전도층으로 다이아몬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저가로 제조가 용이한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야 한다. 화학기상증착법으로 제조된 다결정 다이아몬드 박막의 열전도도는 약 21W/cm.K로 여전히 매우 높은 값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비저항 값은 인위적으로 도핑을 전혀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106$\Omega$.cm 정도의 낮은 값을 갖는다. 전혀 도핑을 하지 않았음에도 전도성을 갖는 특이한 특성을 다결정 다이아몬드가 보여 주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전기 전도성을 갖는 특이한 특성을 다결정 다이아몬드가 보여주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전기전도성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집중되고 있다. 아직 명확한 전도 기구는 제안되고 있지 못하지만 전도성의 원인은 수소와 관련이 있고 전도는 표면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산(acid)을 이용하여 다결정 다이아몬드 박막을 세척하면 전기 전도성이 사라지고 높은 저항값을 갖는 박막을 얻게 되는데 박막을 세척하는 공정은 박막의 표면만을 변호시키므로 표면에 있던 전기전도층이 용액 처리를 통하여 제거되므로 전도성이 사라진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두께가 두꺼울수록 저항값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고 기존의 측정방식인 수평적인 저항 측정법에 대하여 수직적 방향으로 저항을 측정하면 저항값이 1/2 정도 작게 측정되었다. 다결정 다이아몬드에서 표면을 통하여 전류가 흐른다면 박막의 두께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야 하고 수직적인 전류 측정법이 오히려 더 큰 저항을 보여주어야 한다. 기존의 표면 전도 모델로는 설명되지 못하는 현상들이 관찰되었고 정확한 전기 전도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해 도금법으로 금속들이 석출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이 방법을 통하여 다결정 다이아몬드에서 전류는 결정입계를 통하여 전도됨을 알 수 있었다. 온도에 따른 다결정 다이아몬드의 전기전도도 변화를 관찰하였고 이로부터 활성화 에너지 값을 구할 수 있었다. 다결정 다이아몬드의 전도도는 온도에 따라서 0.049eV와 0.979eV의 두 개의 활성화 에너지를 갖는 구간으로 나뉘어졌다. 이로부터 다결정 다이아몬드에는 활성화 에너지 값이 다른 두 종류의 defect level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고 이 낮은 defect level에 의하여 전도성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Study on the Economical Design of Airport Low-Voltage Feeder Which is considering the Temperature Character (온도특성을 고려한 공항 저압간선의 경제적인 설계기법에 관한 연구)

  • 최홍규;조계술;송영주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7 no.3
    • /
    • pp.119-126
    • /
    • 2003
  • The size of low voltage level conductor cables can be installed with a long length just like a aviation field, shall be determined for considering the ampacity of cable and the drop of voltage for the power system. Therefore, The size of the conductor cables may be larger one for considering the tolerable voltage drop comparatively, although the allowable ampacity of the conductor cables may have a margin in comparison with the rated full load current In this case, the conductor cables' allowable ampacity will be very larger than the rated full load current and the generated heat of the conductor will be relatively downed. The conductor cables' alternating current resistance corrected with the maximum allowable temperature of the conductors, has been applied on the general formula for the calculating the voltage drop in determinating the size of low voltage level conductor cables, and the resistance is larger than the resistance corrected with the actual temperature of the conductor cables. This paper was studied for the purpose of the conductor resistance corrected with the actual temperature rise of the conductor and address the economic design formula so that this studies shall minimize the errors which can be occurred in comparison with the general formula and which can be applied in design work for determining the size of low voltage level conductor cables.

Estimation of Groungding Registance by Water Tank Model (수조모델 실험에 의한 접지저항 추정)

  • 최종규;고희석;이충식;김주찬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7 no.2
    • /
    • pp.41-48
    • /
    • 2003
  • To make a efficient grounding facilities, it is very important to assume electrical potential distribution and grounding resistance previously in grounded electrode circumference, when the current flow to grounded electrode. In this paper, grounding resistance analyzed from grounding surface electrical potential in grounded rectangular electrode plate is compared to grounding resistance by theoretical expression and grounding resistance measured by simulated experiment in the water tank.

Commutation torque ripple reduction in brushless dc motor considering phase resistance (상 저항을 고려한 BLDC Motor의 상 전환 토크리플 저감에 대한 연구)

  • Oh, Dae-Young;Choy, Ick;Song, Joong-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7.07a
    • /
    • pp.220-22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DC-Link 전류센서를 사용하여 BLDC 모터의 상 저항을 고려한 상 전환 토크리플 저감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하나의 DC-Link 전류센서를 사용하여 BLDC 모터의 상 전환 토크리플 저감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 되어 왔다. 기존의 방법들은 상 저항 값을 무시하여 상 인덕턴스 성분만을 가지고 제어한 방법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하지만 상 저항 값이 크면, 저속 영역과 고속 영역 구간에 변화를 가져와 기존의 방법을 사용할 시 토크리플이 발생한다. 또한 상 전환 시 전류 기울기와 상 전환 시간에 대해 영향을 미치게 되어 기존의 방법을 사용할 경우 토크리플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상 저항을 고려한 BLDC 모터의 상 전환 토크리플 저감 방법에 대해 효용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 PDF

6.6 kV 저항형 초전도 한류기 개발

  • 현옥배
    • Superconductivity and Cryogenics
    • /
    • v.6 no.2
    • /
    • pp.21-25
    • /
    • 2004
  • 초전도 한류기는 전기 회로에 사고 발생시 대단히 빠르게 임피던스를 발생시켜 고장전류를 제한한다. 여러 종류의 고온초전도체가 한류기용 도체로 활용되고 있는데, 도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초전도 한류기가 제안 및 개발되고 있다. 그 중 저항 스위치형 한류기는 다른 형식에 비해 작고, 간단하고, 필경 값이 싸다. 저항 스위치형 한류기는 통전 전류가 임계전류(Ic) 초과시 초전도체가 상전도체로 전이(quench)할 때 대단히 빨리 저항이 발생함을 이용하는 수동소자이다.(중략)

  • PDF

A Study on Behavior of Cell Fabricated by Sputtering for Phase Change Memory (스퍼터링을 통해 제작된 상변화 메모리용 셀의 I-V 거동 연구)

  • Baek, Seung-Cheol;Song, Ki-Ho;Lee, Hyu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6a
    • /
    • pp.55-55
    • /
    • 2010
  • 상변화 메모리용 셀은 전류 구동형으로써 셀에 전류를 인가하였을 때 저항이 높은 상태(비정질상)과 저항이 낮은 상태(결정질상)의 두가지 특성을 갖는다. 저항이 높은 상태에서 전류나 전압을 인가하면 높은 저항을 보이다가 일정 값(threshold voltage) 이상에서 낮은 저항을 갖는 현상을 보인다. 이때 상변화물질의 종류 혹은 셀의 사이즈에 따라 threshold voltage의 차이가 나타나는데 이 값을 줄임으로서 상변화 메모리의 구동 전류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퍼터링 방법을 이용해 박막형식의 셀을 제작하여 전기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셀은 Si 기판 위에 radio frequency power supply 와 direct current power supply를 사용해 하부전극과 상변화층, 그리고 상부전극의 순으로 증착하여 제작하였다. 상변화층은 $Ge_2Sb_2Te_5$를 사용하였고 제작된 셀은 scanning electon microscope(SEM)를 이용하여 표면의 상태를 확인하였고 Keithley 4200scs를 이용하여 인가된 전류 혹은 전압에 따른 특성변화를 측정하였다.

  • PDF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Electrical Installation in water with Andrews model (침수된 전기설비가 Andrew 모델에 미치는 전기적 특성 분석)

  • Woo, J.H.;Park, H.Y.;Song, W.C.;Kim, N.S.;Jung, J.W.;Jung, J.S.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459-1461
    • /
    • 2007
  • 본 논문은 침수된 전기설비에 인체가 접촉하였을 때 인체 각 부위에 미치는 전기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인체 저항은 C. J. Andrews 가 제시한 모델을 기초로 하였으며, 침수액의 저항은 100[${\Omega}$], 1[$k{\Omega}$], 10[$k{\Omega}$]로 변화시켰다. 침수액의 저항을 변화시켜 ATP draw로 시뮬레이션 하여 인체 각 부위에 흐르는 전압, 전류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 한 결과 충전부 촉수 전의 가슴 - 허리 사이에는 침수액 저항값이 증가 할수록 전류값이 감소하였으나, 충전부 촉수 후에는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인체 각 부위별 전압값은 침수액 저항이 증가 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The analysis of Current limiting Characteristics of Magnetic Shielding Type Fault Current Limiter (차폐 유도형 전류 제한기의 전류제한 해석 연구)

  • Lee, Jae;Lim, Sung-Hun;Ko, Seok-Cheol;Du, Ho-Ik;Han, Byoung-S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10a
    • /
    • pp.94-96
    • /
    • 2001
  • 본 논문은 차폐유도형 고온초전도 한류기의 전류제한 특성을 연구하였다. 회로해석은 유한 차분법(FDM)을 사용하였으며 회로 설계의 변수 값에 따라서 전류제한 방식은 저항형과 유도형으로 전류 제한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사고 발생 시 나타나는 고온초전도 한류기의 임피던스는 사고 전류를 제한하는 주요한 요소로써 다양한 파라미터 값의 변화를 통하여 고온 초전도한류기의 임피던스 변화와 특성을 관찰하였고, 본 논문에서 설계한 형태의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전류 제한 효과를 저항형 과 유도형 방식으로 제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f Web based Hot-Line Insulation Device (웹기반 활선 절열측정장치의 개발)

  • Kim,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d
    • /
    • pp.3075-3077
    • /
    • 2005
  • 기존의 기술이 Off Line 상태에서 대지 정전 용량을 포함 하는 영상 전류 방식의 절연 저항을 측정 하는 반면, 본 기술은 기본적으로는 부하 Line에 흐르는 누설 전류를 샘플링 하여 얻어진 계측 값을 기초로 절연 저항에 흐르는 대지 절연 저항 전류 Igr을 구한다. 이와 같이 본 시스템은 웹 기반에서 원격 감시/제어를 가능케 한 것으로 Line을 Off시키지 않고 절연 저항을 구한다. 이때 얻어진 절연 저항, 선전류, 각 상별 전압을 Local 계기에서 Display하고 통신 출력을 통해 원격지에서 측정 시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기술적 기반은 Igr방식을 채용, 기존의 Io방식의 결점인 누설 전류의 크기인 스칼라량 검출로 인한 정전 용량, 잡음, 그리고 손실 오차와 부동작 요인에 관한 한계를 Igr방식의 채용으로 극복할 수 있어 절연 저항 측정에 대한 신뢰성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 PDF

유도 결합 플라즈마에서 시스템의 소비 전력 측정 방법에 대한 연구

  • Hwang, Hye-Ju;Lee, Yeong-Gwang;Bang, Jin-Yeong;Jeong,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519-519
    • /
    • 2012
  • 유도 결합 플라즈마에서 안테나 전류의 측정을 통해 시스템 저항을 계산하여 플라즈마 소비 전력을 구하는 기존의 방법은 정밀한 전류 측정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도 결합 방전 시스템에서 정합회로와 코일 사이에 설치된 전류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방전된 상태에서의 인가한 전력에 따른 코일 전류를 측정하였고, 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방전되었을 때와 같은 전류를 흐르게 인가 전력을 조절하였다. 이때의 측정값이 시스템이 소비하는 전력이라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시스템 저항의 오차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개선된 소비 전력값을 좀 더 용이하게 구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