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류센서

Search Result 97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Controller Design of DC Motor Drive System Using dSPACE System (dSPACE 시스템을 이용한 직류 전동기 구동 시스템의 제어기 설계)

  • Ji, Jun-Keun;Lee, Yong-Se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1796-179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직류전동기의 속도 및 전류제어를 위하여 dSPACE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류 궤환을 갖는 속도 제어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속도 및 전류제어기의 설계는 MATLAB/SIMULINK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간편하고 손쉽게 구현하였으며 직류전동기 속도제어의 안정성과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직류전동기의 전류제어 및 속도제어는 DSP 보드와 dSPCE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속도의 궤환은 속도센서인 엔코더 펄스를 이용해서 QEP로 처리하였고 전류의 궤환은 전류센서인 홀센서를 통해서 A/D 변환기로 처리하였다. 제어기들은 각각 PI 속도제어기 및 PI 전류제어기를 설계하였고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서 속도 및 전류 응답을 확인하였다.

  • PDF

Study of amperometric sensor apply a Rogowski Coil on LTCC (저온소성 다층 세라믹 기판에 로고스키 코일을 적용한 전류센서에 관한 연구)

  • Kim, Eun-Sup;Moon, Hyung-Shin;Kim, Kyung-Min;Park, Sung-Hyun;Shin, Byo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6a
    • /
    • pp.251-252
    • /
    • 2009
  • 전류에 의한 자속변화를 검출하는 로고스키코일은 자성체를 코어로 이용하는 종전의 변류기 (Current Transformer) 와는 달리 공심이거나 비자성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자기적으로 포화되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디지털 적산 전력량계의 전류센서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저온소성 다층 세라믹 기판상에 로고스키코일을 적용한 전자식 전력량계의 정밀 전류측정용 센서 개발에 관한 것이며. 3차원 전자기장 해석 프로그램인 MWS를 하여 기판의 소재와 코일의 패턴의 크기 등을 달리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고 실제 구현된 센서의 측정된 값과 비교해 보았다.

  • PDF

Fault Diagnosis and Tolerant Algorithm of Current Sensors for a High-Power Conversion System (대용량 전력변환 장치의 전류센서 고장진단 및 허용운전 기법)

  • Ko, Young-Jong;Elise, Margo;Lee, Kyo-Beum;Lee, Dong-Choon;Kim, Jang-M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415-416
    • /
    • 2011
  • 본 논문은 계통연계형 전력변환 장치의 폐루프 제어에 이용되는 전류센서의 고장진단 및 허용운전 기법을 제안한다. 전류 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면, 정확한 출력전력제어가 불가능해져 품질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허용운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전체시스템의 운전을 중지해야 한다. 따라서 실시간 고장진단 및 허용운전 기법이 필요하다. 제안한 기법은 측정된 값과 추정 값의 비교를 통해 고장진단을 하고, 고장발생시 정상 센서에서 측정된 전류 값을 이용하여 허용운전을 한다. 10kW급 3병렬 전력 변환 시스템을 모의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AC Current Sensor Using Air Core (공심코어를 사용한 교류전류 센서)

  • Park, Young-Tae;Jung, Jae-Kap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15 no.1
    • /
    • pp.48-52
    • /
    • 2005
  • This paper describes a current sensor for precision current measurement of an electronic watt-hour meter that is going to install in houses in the future. As the current sensor is based on an cored principle (the Rogowski principle) it is not subject to usual limitations of saturation and non-linearity of general current transformers. An advantage of the developed current sensor is that non-linearity error in low current range is improved and the construction can be kept simple using an air core. We present a magnetic field analysis of the sensor using a finite-element solver. We compared the measured values versus the calculated values.

복합센서를 이용한 공구이상검출

  • 이재종;송준엽;박화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10a
    • /
    • pp.239-24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절삭중 공구파손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있는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일환으로 일차로 AE(acoustic emission)센서를 사용하여 mechanism의 특성과 공구파손에 따른 주파수 특성을 해석했고, 차후 연구로서 AE센서가 아닌 가속도센서와 전류센서 및 공작기계의 절삭동력계를 이용한 복합계측시 스템을 구성하여 절삭특성 및 공구파손이 발생할 때의 신호특성을 해석했다.

Fiber-Optic Michelson Interferometric AC Current Sensor (광섬유 마이켈슨 간섭계형 교류 전류센서)

  • Kim, Chang-Won;Park, Dong-Su;Kim, Myung-Gyoo;Lee, Jung-Hee;Kang, Shin-Won;Sohn, Byung-Ki
    •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
    • v.4 no.2
    • /
    • pp.22-28
    • /
    • 1995
  • A Michelson interferometric AC current sensor has been fabricated by using a single mode optical fiber and a cylindrical PZT tube of which a radial dimension varies with applied voltage. The signal processing scheme used in this work, measures the magnitude of AC current regardless of the frequency of the current. An AC current is measured by counting the number of interference fringe during half cycle of the AC current. The number of interference fringes varies linearly with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and the error range is within 5% at the temperature range from $-20^{\circ}C$ to $80^{\circ}C$.

  • PDF

Sensorless Control of Three-Phase PFC Converter Using State Observer (상태관측기를 이용한 3상 PFC 컨버터의 센서리스 제어)

  • Kim, Y.S.;Kim, G.T.;Park, S.J.;Jung, H.J.;Kwon, Y.A.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4a
    • /
    • pp.146-148
    • /
    • 2005
  • 3상 PWM 컨버터는 전원전압과 동일한 위상의 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여 고효율, 고역률을 얻을 수 있으며, 계통전원의 안정화와 유도장애 해소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PWM 컨버터는 전원전압과 동상의 입력전류를 얻기 위해서는 전원전압센서와 전류센서를 필요로 하고 DC 링크단을 제어하기 위해서도 부가적인 하드웨어 구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센서들은 고가이며 신호의 검출시 각종 노이즈와 외란의 영향으로 신뢰성의 저하가 우려되므로 센서의 제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상태관측기를 이용하여 전원전압과 위상각을 추정하는 센서리스 제어를 제안하였으며 3상 PFC 컨버터를 구성하여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전원전압 추정과 단위역률이 잘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Magnetic sensor and current sensor using a Magnetoelectric effect (Magnetoelectric 효과를 이용한 전류 및 자기 센서)

  • Lee, Dong-Gun;Lee, Jeong-H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696-1697
    • /
    • 2011
  • 최근들어 멀티 페로익스(multiferroics)재료를 이용하여 자계(magnetic field)하에서 전기적현상(polarization)을 유기시키는 재료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는 megnetoelectric 효과(ME 효과)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자기 및 전류센서에 응용함을 위해 크게 각광받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자계내에서 자성재료-압전재료의 다층 구조 캔틸레버의 구현을 통해 전기적인 신호로의 변화를 통해 전류 및 자기 센서로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Analysis on the effect of current sensor offset error in Hot-Swap power conversion system (Hot-Swap 전력변환시스템에서 전류센서 옵셋오차의 영향 분석)

  • Noh, Jun-Ho;Lee, Kwang-W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11a
    • /
    • pp.177-17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직렬형 Hot-Swap ESS(Energy Storage System)를 구성하는 전력 변환 시스템에서 전류 센서의 옵셋 오차가 제어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양방향 DC-DC 컨버터와 DC-AC 인버터에서 전류 센서 옵셋 오차의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컴퓨터 모의 시험을 진행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Dark Current Sensor Core for Monitoring the Low-current of Automotive (자동차용 Dark Current 모니터링용 저전류 전류센서 마그네틱 Core 개발)

  • Choi, Jae-Young;Lee, Hee-Sung;Park, Jong-Min;Kim, Sung-Ga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613-616
    • /
    • 2012
  • 자동차 시장에서 늘어나는 전장부품으로 인하여 배터리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차량용 배터리가 암전류로 인하여 방전되는 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암전류로 인한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홀효과를 이용한 저전류 센서 마그네틱 Core를 개발한다. 본 논문은 Maxwell 전자기장 해석 툴을 이용하여 마그네틱 Core의 Airgap 위치와 간격 그리고 두께를 변수로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저전류에서 기존의 홀효과를 이용한 전류 센서보다 높은 자속밀도가 발생하는 최적의 마그네틱 코어를 설계하였고 시제품을 제작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실험결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