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라북도

검색결과 748건 처리시간 0.033초

열대거세미나방에 대한 옥수수의 요방제 수준 및 약제 살포방법에 따른 방제 효과 비교 (Comparison of Spodoptera frugiperda Control Effects for Corn According to the Control Thresholds and Chemical Spraying Methods)

  • 이유경;김현주;최낙중;서보윤;최준열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42-150
    • /
    • 2023
  • 기후온난화가 지속되면서 국내에도 열대거세미나방의 침입 시기가 빨라지고 유입량도 증가하여 작물에 대한 피해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열대거세미나방에 의한 작물의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옥수수 포장에 요방제 수준을 통한 방제시기를 설정하고 사료용 옥수수 포장에서 약제 살포 방법에 따른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옥수수 출사기에 피해율 4% 조건에서도 피해과율은 70%로 높은 피해 양상을 나타내었다. 열대거세미나방 2령 유충의 경제적 피해수준은 주당 0.7마리로 나타났으며, 요방제 수준은 0.6마리로 나타났다. 옥수수 도매 단가를 적용하여 소득을 산출한 결과, 피해율 4% 조건에서도 895,221원/10a 손실액이 났으며, 피해율이 높아질수록 소득 감소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방제하기 위하여 열대거세미나방에 등록된 단제 10종에 대해 살충효과를 검정한 결과, 4종 약제(에마멕틴벤조에이트, 클로란트라닐리프롤, 인독사카브, 스피네토람)에 대해 93.3% 이상의 높은 살충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약효 지속성 검정을 통해 3종 약제(클로란트라닐리프롤, 인독사카브, 스피네토람)에서 높은 잔류 효과로 열대거세미나방의 방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열대거세미나방에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인독사카브 액상수화제, 클로란트라닐리프롤 입상수화제를 대상으로 사료용 옥수수의 출사 전에 관행방제와 항공방제를 각각 7일 간격으로 2회 실시하였다. 그 결과, 1차 방제를 통해 항공방제보다 관행방제에서 인독사카브 액상수화제 46.3%p, 클로란트라닐리프롤 입상수화제 21.7%p의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2차 방제에서도 항공방제보다 관행방제에서 인독사카브 액상수화제 26.7%p, 클로란트라닐리프롤 입상수화제 40.4%p의 높은 방제가가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인력방제 대체 수단을 많이 사용하는 최근 상황에서 방제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관수 개시점에 따른 복숭아 '천중도백도'의 과실 품질 및 생산성 변화 분석 (Analysis of Fruit Quality and Productivity of 'Kawanakajima Hakuto' Peach according to the Different Irrigation Starting Point)

  • 이슬기;조정건;정재훈;이동용;한점화;장시형;류수현;김희태;강상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75-483
    • /
    • 2023
  • 본 연구는 노지 복숭아 과원에서 관수 개시점에 따른 복숭아 '천중도백도'의 수체 생육, 생리 반응 및 과실 품질과 생산성 변화를 분석하여 적정 관수 개시점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 재료는 전라북도 완주군에 위치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내의 노지 복숭아 시험포(35°49'30.4"N, 127°01' 33.2"E)에 재식된 7년생 '천중도백도' [Prunus persica (L.) 'Kawanakajima Hakuto']를 사용하였으며, 2022년 6월부터 9월까지 관수 개시점을 -20, -40, -60, -80kPa로 설정하였다. 주간부 단면적 증가량과 엽면적은 처리 간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나, 신초 길이와 두께는 -80kPa 및 -20kPa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8월에 측정한 광합성률은 -60kPa(17.7μmol·m-2·s-1), -40kPa(15.6μmol·m-2·s-1), -20kPa(14.5μmol·m-2·s-1), -80kPa(14.0μmol·m-2·s-1) 순으로 높았다. 5월과 8월에 측정한 SPAD 값은 -60kPa 및 -40kPa 처리구보다 -80kPa 및 -20kPa 처리구에서 낮았다. 수확기는 -20kPa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3일 빠르게 도달하였다. 과중은 -60kPa(379.1g), -40kPa(344.0g), -80kPa(321.0g), -20kPa(274.9g) 순으로 높았다. 경도는 -20kPa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60kPa 처리구에서 13.3°Bx로 가장 높았다. 상품과 비율은 -60kPa 처리구에서 50.7%로 가장 높았고, -80kPa 처리구에서 23.4%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노지 복숭아 과원에서 관수 개시점을 -60kPa로 설정하는 것이 생산량 및 과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해안지대 순비기나무, 번행초, 갯방풍의 재배한계 및 RAW 264.7 세포와 HL-60세포의 생리활성 (Cultivation Limit of Vitex rotundifolia, Tetragonia tetragonoides and Glehnia littoralis at Coastal Area and Physiological Vitality of RAW 264.7 cell and HL-60 cell)

  • 김지훈;박선순;송창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4-50
    • /
    • 2008
  • 한약재 및 식용으로 사용되는 순비기나무, 번행초, 갯방풍의 재배 한계지역과 생리활성 성분의 효능은 다음과 같다. 1. 순비기나무, 갯방풍의 서해안 북방한계지역은 태안반도이며, 동해안 북방한계지역은 강원도 지역으로 확인되었고, 번행초의 서해안 북방한계지역은 전라남도이고 동해안 북방한계지역은 경상북도 울릉군 지역이었다. 2. 자생지가 해안 200 m 이내 모래점토와 점토흙이 혼합된 지역에서 직사광선은 받는 우점식생이 없는 것을 볼 때 재배 지역은 해안지역과 인접한 지역은 재배 가능지역으로 판단된다. 3. 생리활성효능을 RAW 264.7 세포와 HL-60 세포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유효한 항염효능은 확인하지 못하였고, 항암활성을 검정한 결과 순비기나무, 번행초는 억제활성이 없었고, 갯방풍은 $100{\mu}g/m{\ell}$에서 60%, $200{\mu}g/m{\ell}$에서 72%의 증식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원색도감(原色圖鑑) 발간(發刊)을 위한 한국산(韓國産) 자낭균류(子囊菌類)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Taxonomical Studies on Korean Fungi of Ascomycetes for the Publication of Colored Illustrations)

  • 이용보;이지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01-110
    • /
    • 1982
  • 본연구(本硏究)는 원색(原色) 한국산(韓國産) 버섯도감발간사업(圖鑑發刊事業)을 위하여 1981년(年) 7월(月) 1일(日)부터 1982년(年) 6월(月) 30일(日)까지 1년간(間) 경기도(京畿道) 광육임업시험장(光陸林業試驗場)을 주(主)로 하고, 경기도(京畿道), 용문산(龍門山), 강원도(江原道) 치악산(雉岳山), 충청북도(忠淸北道) 용이산(俗離山), 경상남도(慶尙南道) 지이산(智異山), 전라남도(全羅南道) 무등산(無等山), 제주도(濟州道) 한라산(漢拏山) 등지(等地)에서 신선(新鮮)한 자낭균류(子囊菌類)를 채집(採集) 촬영(撮影)하여 원색(原色)슬라이드와 건조표본(乾燥標本)을 작성(作成)하고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를 완성(完成)하였다. 조사(調査)된 결과(結果)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밝혀진 총고등균류수(總高等菌類數)인 620여종중(餘種中) 흔히 볼 수 있는 균류(菌類)와 한국미기록(韓國未記錄) 자낭균류(子囊菌類) 101종(種)의 원색(原色) 슬라이드와 분류상(分類上)의 검색표(檢索表)를 완성(完成)하였다. 이들은 10목(目) 19과(科) 50속(屬) 101종(種)에 속(屬)하고, 또 이들의 세계적(世界的) 분포(分布)가 밝혀졌다. 그들 중 Peziza vesiculosa 큰 주발버섯, Rhizina inflata 땅해파리, Gelasinospora longispora, Sordaria fimicola, Cantharomyces exiguus, Dichomyces biformis, D. furcifer, D. homalotae, D. hybridus, D. vulgatus, Dioicomyces anthici, Enathromyces indicus, Laboulbenia borealis, L. brachconychi, L. cristata, L. exigua, L. fusciculata, K. filifera, L. flagellata, L. rougetii, L. tachys, L. vulgaris, L. yoshidai, Rickia ancylopi, R. papuana 그리고 R. peyerimhoffii의 26종(種)은 한국산(韓國産) 미기록종(未記錄種)이며, 그 보통명(普通名)과 기재(記載)를 하였다. 본론문(本論文)에서는 예정(豫定)대로 101종(種)의 자낭균류중(子囊菌類中) 원색도판(原色圖版) 1면(面)만을 게재(揭載)하였다.

  • PDF

남해안 일부 지방산 반지락의 Parvatrema속 흡충 피낭유충 감염상 (Infection status of Tapes philippinarum collected from southern coastal areas of Korea with Parvatrema spp. (Digenea: Gymnophallidae) metacercariae)

  • 손운목;채종일;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4호
    • /
    • pp.273-278
    • /
    • 1996
  • 우리 나라 남해안 일부 지방산 반지락에서 Panpctremc속 흡충의 피낭유충 감염상을 조사하였다. 1990년 9월에 경상남도 5개 지역과 전라남도 8개 지역을 직접 방문하여 현지산 반지락을 구입하여 인공소화법으로 조사한 결과 총 300개의 반지락 중 233개(77.7%)에서 1-273개(평균 54개)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다. 검출한 피낭유충은 V형의 배설낭. 구홉반의 측돌기, 복홉반과 떨어져서 맹장 사이 정중면에 위치한 생식공 등의 형태학적 특징을 토대로 Pqwokemo속으로 동정하였다 경남 사천군 용현면산. 전남 고흥군 도화면산. 장홍군 안량면산, 강진군 칠량면산 반지 락은 1000% 감염되어 있었으며 감염량은 각각 평균 71. 31. 80 및 42개이었다. 경남 남해군 고현면산. 의창군 구산면산 및 전남 고흥군 도화면산 반지락은 조사한 97.5-90.0%가 평균 117개, 28 개 및 76개의 피낭유충에 감염되어 있었다. 경남 남해군 설천면산 전남 여천군 화양면산. 승주군 별량면산 남해군 북평면산 반지락은 조사한 55.0-80.0%가 평균 6-25개의 피낭유충에 감염되어 있었다. 경남 고성군 삼산면산 및 전남 여천군 돌산읍산 반지락에서는 피낭유충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우리 나라 남해안 일부 지방산 반지락에 Pawatremn속 흩충의 피낭유충이고 도로 감염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안정화 처리된 폐광산 토양의 생태기능상태 평가를 위한 효소활성도 및 비소호흡유전자의 적용 (Application of Enzymatic Activity and Arsenic Respiratory Gene Quantification to Evaluate the Ecological Functional State of Stabilized Soils Nearby Closed Mines)

  • 박재은;이병태;이상우;김순오;손아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265-276
    • /
    • 2017
  • 폐광산은 방치된 광미 등으로 인하여 주변환경에 복합적인 중금속 오염을 야기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석회석 등의 안정화제와 복토를 이용한 안정화 공법을 기반으로 토양개량사업이 시행 중이다. 복원된 토양의 상부에서는 작물의 재배로 인해 중금속이 고정된 안정화 층이 지화학적 변화를 겪게 되며 이에 따른 중금속의 용출 및 이동이 가능하므로 토양개량사업을 마친 토양에 대한 질 평가 등의 사후 관리는 반드시 필요하다. 토양의 질 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이화학적 분석 또는 생물학적인 분석을 개별적으로 하기보다는 이들을 결합한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토양의 생태기능상태(ecological functional state)를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시료로 경상북도 봉화군 풍정 광산, 전라남도 광양시 점동 광산, 충청남도 서산시 서성 광산 인근 안정화 처리 토양과 안정화 처리가 되지 않은 오염, 비오염 토양을 선정하였다.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인 pH, CEC, LOI와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였고, 미생물 효소활성도와 비소환원유전자를 정량하였다. 다변량 통계분석을 바탕으로 모든 데이터를 분석하여 토양 생태기능상태를 평가하였다. 안정화 심도 토양과 상부복토, 하부오염토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안정화 심도 토양에서 중금속의 농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그리고 풍정광산에서는 안정화 처리 심도 토양이 하부오염토와 유사한 특성을, 점동, 서성 광산에서는 안정화 심도 토양이 상부복토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점동, 서성 광산 주변 상부복토의 생태기능상태가 좋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원색도감(原色圖鑑) 발간(發刊)을 위한 한국산(韓國産) 고등균류(高等菌類)의 분류학적(分類學約) 연구(硏究) (Taxonomical Studies on Korean Higher Fungi for the Publication of Colored Illustrations)

  • 이지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7-91
    • /
    • 1981
  • 본연구(本硏究)는 원색(原色) 한국산(韓國産) 버섯도감발행사업(圖鑑發行事業)을 위하여 1980年 9月 1일부터 1981년(年년) 8월(月) 31일(日)까지 1년간(年間) 경기도 광양(京畿遵 光陸)을 주(主)로 하고 경기도(京畿道) 용문산(龍門山), 강원도(江原道) 치악산(稚岳山), 충청북도(忠淸北道) 속리산(俗離山), 경상남도(慶尙南道) 지리산(智異山), 전라남도(全羅南道) 무등산(無等山), 제주도(濟州道) 한라산(漢拏山), 등지(等地)에서 신선(新鮮)한 고등균류(高等菌類)를 채집(採集) 촬영(撮影)하여 원색(原色)슬라이드와와 건조표본(乾燥標本)을 작성(作成)하고 분류(分類)하였다. 조사(調査)된 결과(結果)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밝혀진 총고등균류수(總高等菌類數) 620여종중(餘種中) 흔히 볼 수 있는 균류(菌類) 151종(種)의 원색(原色)슬라이드와 분류상(分類上)의 검색표(檢索表)를 완성(完成)하였다. 이들은 2강(綱), 37과(科), 89속(屬), 149종(種), 1변종(變種), 1품종(品種)에 속(屬)하고 또 이들의 세계적분포(世界的分布)가 밝혀졌다. 그들중 Aleuria aurantia (Fr.) Fuckel, 자등색 들주발버섯, Patella scutellata (St. Amans) Lambotte, 분홍작은 접시버섯, Calocora viscosa Fr., 등황색끈적 싸리버섯, Hygrocybe turunda (Fr.) Karst., 조면 무명버섯, Suillus pictus (Peck) Smith et Thiers, 붉은 비단 그물 버섯, Marasmius purpureostriatus Hongo, 자주 색줄 낙엽버섯, Pleurocybella porrigens (Fr.) Sing., 넓은 옆버섯, Lepiota bresadoiae Schulzer, 과립갓버섯, Russula aurata Fr., 금무당 버섯, Lactarius hygrophoroides Berk. et Br., 넓은 갓 젖버섯, Thelephora multipartita Fr., 많은가지 사마귀버섯, Inonotus mikadoi (Lloyd) Imaz, 황갈색시루뻔버섯, Antrodia mollis (Sommerf.) Karst, 구멍 주름버섯, Ganoderma neo-japonicum Imaz. 일본 불노초, Tyromyces lacteus (Fr.) Murr. 젖색 개떡버섯 등(等) 15종(種)은 한국산말기녹종(韓國産末記錄種)이며, 그 보통명(普通名)과 기재(記載)가 붙혀졌다. 본논문(本論文)에서는 예정(豫定)대로 151종(種)의 균류중(菌類中) 원색도감(原色圖鑑) 1면(面)만을 게재(揭載)하였다.

  • PDF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동향 (Occurrence Trends of SU-Herbicide Resistant Weeds in Paddy Fields in Korea)

  • 이인용;원태진;서영호;김은정;윤여택;조승현;권오도;김상국;정완규;박태선;김창석;이정란;문병철;박재읍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3호
    • /
    • pp.318-321
    • /
    • 2013
  •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면적은 국립농업과학원과 전국 8개도 농업기술원 공동으로 2011년과 2012년에 조사하였다. 8개도 3,200지점에서 논흙을 채취하여 피라조설퓨론에틸 피리미노박메틸입제를 30 kg $ha^{-1}$ 처리하여 설포닐우레아(SU)계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발생면적을 추산하였다. 전국 벼 재배면적(유기 및 친환경농업 벼 재배면적 제외)의 22.1%인 176,870 ha에서 SU계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가 발생되었다. 발생비율을 보면, 전라남도가 논 면적의 44.3%로 제일 많이 발생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충청남도로 30.5%, 충청북도 27.8%, 강원도 24.5% 순이었다.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중 발생면적이 가장 넓은 초종은 물달개비로서 전체 32.2%(57,018 ha)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올챙이고랭이, 밭뚝외풀 순이었다.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인권감수성 변화에 관한 횡단적 비교 (Cross-sectional comparison on human rights sensitivity changes in nursing students and non-nursing students)

  • 김성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355-362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1학년과 4학년 간 인권감수성 수준의 횡단적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와 충청북도, 충청남도 소재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93명과 일반대학생 85명, 총 178명을 대상으로, 문용린의 대학생용 인권감수성 도구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chi-square test, ANC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 모두 1학년과 4학년 간 인권감수성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1학년과 4학년 간 에피소드 별 인권감수성 수준 차이 간호대학생은 정신질환자 사생활권(t=-2.94, p=.004)과 환경권(t=2.16, p=.034) 에피소드에서 1학년과 4학년 간의 인권감수성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대학생에서는 장애우 신체의 자유권(t=2.41, p=.018) 에피소드에서만 1학년과 4학년 간의 인권감수성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간호윤리 관련 교육과정에 인권감수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원자력발전소 화재에 대한 관할 지역 소방관의 위험인식: 측정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Risk Perception of the Firefighters Responsible for Nuclear Power Plants: Construct Validity)

  • 최해연;이상규;최종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5호
    • /
    • pp.94-102
    • /
    • 2019
  • 원전의 안전관리에서 화재 대응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화재 대응 인력의 심리적 상태와 역량을 체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원전 관할 지역 소방관들의 위험인식 구성개념을 규명하고, 이를 측정하는 측정도구를 개발 및 타당화 하였다. 원전 관할 소방관을 대상으로 실시된 인터뷰 분석과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원전 화재에 대한 위험인식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들에 대한 타당화 연구에는 전라남도, 경상북도 및 부산 소재 원전 관할 소방서 및 119안전센터 5곳에서 참가자를 모집하여 총 180명의 소방관들이 참가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원전 화재의 재난적 결과 및 두려움을 반영하는 '두려움', 원전에서의 화재 및 방사능 누출에 대한 대응 절차와 지침의 부족을 반영하는 '매뉴얼', 원전 화재에 대응할 소방 인력 및 안전장치의 부족을 나타내는 '대응자원', 원전 소방활동을 위한 관계 기관과의 공조와 신뢰를 나타내는 '신뢰', 방사능 및 원전 소방 활동에 대한 지식을 의미하는 '지식'의 5개 요인 구조가 추출되었다. 최종 선별된 15개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원전 관할 소방관들의 위험인식의 구성적 특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