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두부

검색결과 366건 처리시간 0.024초

연하곤란을 초래한 구인두부 신경초종 1례 (A Case of Oropharyngeal Neurilemmoma with Swallowing Difficulty.)

  • 심상열;양오규;백석인;윤강묵;박순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1.1-11
    • /
    • 1981
  • 신경초종은 뇌 및 척수신경의 근부등 비교적 굵은 신경의 신경초로부터 발생하고 단발성이며 피막이 있는 양성 종양이다. 1908년 Verocay가 처음으로 Neurinoma라고 명명한 이래 Peripheral Fibroblastoma(Penfield, 1930) Peripheral Glioma, Neuroma 및 Schwannoma등의여러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으나 1935년 Stout에 의해 Neurilemmoma라고 명명하기에 이르렀다. 이 종양은 1955년 Conley에 의하면 신체의 어느 부위에나 발생하며 두경부에서 약 25% 이상이 나타나고 이비인후과영역에서는 청신경에 가장 많고 다음이 후두, 인두, 구강의 순으로 나타난다. 구인두의 양성 종양은 편평상피 유두종이 가장 많으며 드물게는 지방종, 섬유종, 연골종, 신경초종등이 나타날 수 있다. 구인두 신경초종은 주로 미주신경, 설하신경등 주위신경의 신경초에서 발생되며(Iliadeg and Wutson, 1967, 서서히 성장하므로 종물이 커지기 전에는 종물부 이물감, 압통외에는 특이한 증상이 없다. 저자들은 구인두 측벽에 4cm$\times$4cm$\times$5cm의 거대 종물로 연하곤란을 초래한 신경초종 1례를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 RADIOAUTOGRAPHIC STUDY OF POSTNATAL DEVELOPMENT OF THE TONGUE FOLLOWING 5-FLUOROURACIL ADMINSTRATION IN MICE

  • 장상헌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4권3호
    • /
    • pp.297-305
    • /
    • 1976
  • 신생의 Balb/C strain 백서20두를 사용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실험군에는 5-fluorouracil의 체중 25 mg/kg씩 2회를 복강내주사하였다. 실험군가 대조군에 모두 희생 2시간전에 체중그람당 5μ Ci의 thymidine-H³ (Specific activity는 9.0 Ci/mM 이상)를 복강내 주사하였다. 각군은 5-fluorouracil 최종 주사후 1, 3, 7, 14, 21일 간격으로 희생시키고, 두부를 4% formalin에 고정하였다. 조직을 0.5M EDTA에 탈회하고 parlodion과 paraplast에 이중 매몰을 하여 Parasagittal serial section 을 10μ의 절편을 만든 후 자기방사용표본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5-fluorouracil이 백서설의 기저세포층의 핵산합성 및 단백합성에 미치는 영향은 실험초일인 제 1일부터 억제하기 시작하여 (80.9%) 제3일 76.9%이고, 제 7일이 가장 극심하고 (66.2%) 그후부터는 다소회복되기 시작하여 제14일이 92/3%이고, 제21일인 98.9%로서 서의 대조군수치에 접근하였다. 2. 5-fluorouracil은 설유두중 nallate papillae 성장에 가장 억제적 현상을 보였고, 그 다음이 fungiform papillae, filiform papillae의 순위였다. 3. 5-fluorouracil 이 백서설의 기저세포층의 핵산합성을 억제함을 알 수 있고, 아울러 백서설의 조기정상 발육에 영향을 줌울 알 수 있다.

  • PDF

경미한 경부 통증과 고유수용성 감각 (Proprioception associated with sub-clinical neck pain)

  • 이해정;;;배성수
    • PNF and Movement
    • /
    • 제3권1호
    • /
    • pp.55-66
    • /
    • 2005
  • 목적 : 본 연구는 경미한 경부 통증을 가진 대상자의 경부 운동감각과 경부 통증과 기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자발적으로 참여한 81명의 (나이 18-30세, 평균 23.2) 건강한 대학생으로 구성되었으며, 측정은 경부운동감각과 통증 및 기능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경부운동감각은 편안히 앉은 자세에서, 경부 후인과 좌우 회전의 중간 관절 범위에서 대상자의 두부에 착용하지 않는 기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경부 통증과 기능은 가장 흔히 쓰이는 4가지 설문지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문화적으로 적응하는 과정을 거쳐 사용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을 경부 통증 빈도에 따라 세 집단으로 (통증 없음, 월별, 주별) 구분하였다. 각 집단간에는 4가지 설문지로 조사한 경부통증과 기능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경부운동감각은 통증 빈도가 높을수록 더 민감하게 나타났다 결론 : 경부 운동감각은 편안히 앉은 자세에서 경부 후인과 좌 우회전의 중간 관절범위에서 측정하였으며, 경미한 경부 통증 빈도가 높을수록 경부 운동감각은 더 민감하게 나타났다.

  • PDF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두경부 위치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Cephalometric study on head postur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 황충주;김석현;길재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21-230
    • /
    • 1997
  • 두경부 자세는 생리적 활동의 기능적 요구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두개 안면 골격의 형태학적 발육에 직접 혹은 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안모형태와 설골의 위치,두경부 자세는 서로 매우 높은 상관 관계를 나타내며, 특히 하악골의 전후방 위치가 두경부 자세와 가장 큰 상관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연구에서는 대부분 연구대상을 Natural Head Position(NHP)으로 유도하였으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NHP의 재현성이 매우 높다고 알려져있으나, 교정환자를 위해 통법의 두부방사선 사진을 찍은 경우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선 연구가 적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안모 유형의 성인 여자 환자를 대상으로 수직기 준선을 나타내는 수직선 추를 이용하여 통법에 따라 채득한 치료전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Wits와 ANB을 기준으로 골격성 부정교합군을 I, II, III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별 20명씩 선택하여 두경부 위치와 설골 위치의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상관성 여부를 알아보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개저에 대한 설골의 수직적 위치 비교시 Cl II에 비해 C1 III 에서 설골이 더 하방 위치하였다 2. 경추에 대한 설골의 전후방 위치 비교시 Cl II 에 비해 Cl III 에서 설골이 더 전방 위치 하였다. 3. 하악에 대한 설골의 수직적 위치는 Cl I, II, III 간에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다. 4. 악골의 전후방 관계를 나타내는 A N B, Wits 와 설골의 위치 사이에는 통계학적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없었다. 5. Cl II 에서 나타나는 상대적인 두부 신전 (extension)은 Bjork Sum, ANB와 역상관관계를 나타냈다 6. Cl II 와 Cl III 에서 Post to Ant Facial Height 과 NSL/VER은 순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PDF

측두하악관절 원판 변위와 치열 및 안면부 비대칭의 관계에 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disk displac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and dentofacial asymmetry)

  • 남경수;김태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11-22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환자에서 측두하악관절 원판 변위 (disk displacement of TMJ)가 치열 및 안면부 비대칭과 관련이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2000년 1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환자 중 $18\~38$세(평균 23.3세)인 여성 60명의 측두하악관절 자기공명영상(MRI)을 기초로 하여, 양측 TMJ가 모두 정상인 군 (21명), 우측 TMJ에만 원판 변위가 있는 군 (6명), 좌측 TMJ에만 원판 변위가 있는 군 (9명), 양측 TMJ에 모두 원판 변위가 있는 군 (24명)으로 나누고, 교정치료 전의 후전방 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교정진단모형을 계측하였다. 후전방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분석에는 좌우 Latero-Orbitale(Lo)를 연결한 선분을 수평기준선으로 하고, 이 선분을 수직 이등분하는 직선을 수직기준선으로 하였다. 각 계측항목에 대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후처치로서 다중비교분석(Bonferroni's multiple comparison test)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정진단모형에서 전치돌출도, 우측구치관계, 좌측구치관계가 각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후전방 두부방사선계측사진에서 하악제1대구치와 Ag의 수직적 위치의 좌우 차이가 각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측두하악관절 원판 변위가 편측에 존재하면, 이환측의 하악지 길이가 비이환측에 비해 짧았으며 좌우 Ag의 수직적 높이에도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측두하악관절 원판 변위의 편재와 치열 및 안면부 비대칭의 발현 양상은 관계가 있다고 판단된다.

한국 하천의 동일 서식처에 서식하는 2종의 굴파는 하루살이인 동양하루살이와 사할린하루살이 (하루살이목: 하루살이과) (Two Co-inhabiting Burrowing Mayflies, Ephemera orientalis and E. sachalinensis, in Korean Streams (Ephewmeroptera: Ephemeridae))

  • 황정미;이성진;배연재
    • 생태와환경
    • /
    • 제36권4호통권105호
    • /
    • pp.427-433
    • /
    • 2003
  • 이 논문에서는 한국 하천의 동일한 서식처에 서식하는 2종의 굴파는 하루살이 (하루살이목, 하루살이과)인 동양하루살이와 사할린하루살이(남한 미기록종)에 대하여 성충 및 유충의 차이점을 밝혔다. 사할린하루살이는 성충에 있어서 몸의 크기 (평균체장${\pm}$표준편차 수컷성충 18.44${\pm}$0.70mm, 암컷성충 21.46${\pm}$0.46 mm)가 동양하루살이 (수컷성충 13.92${\pm}$0.04 mm, 암컷성충 15.27${\pm}$0.48 mm)에 비하여 크고, 수컷 생식기, 앞날개 무늬, 6-9배마디 등판의 줄무늬에 있어서 차이가 난다. 성숙 유충에 있어서 사할린하루살이는 동양하루살이에 비하여 다소 깊게 패이고 밖으로 퍼진 형태의 전두부 돌출기를 가진다. 두 종의 체장 분포와 부수적인 생태적 특징을 기록하였다.

라벤더향이 수면장애가 있는 여자 성인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avandula angustifolia Aroma on Electroencephalograms in Female Adults with Sleep Disorders)

  • 정한나;최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2-199
    • /
    • 2012
  • 본 연구는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향이 뇌기능에 미치는 효능을 객관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함에 의의를 두고 뇌파 변화를 살펴보았다. 신체적으로 건강한 20대 여자 성인(28명)을 대상으로 검증된 수면장애 조사를 통하여 수면질을 조사하여 수면에 문제를 가진 대상자를 선별하고 라벤더 향기요법을 실행하여 뇌파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뇌파 전극은 10-20 국제법에 의하여 전부두(F3, F4), 측두부(T3, T4), 후두부(O1, O2), 두정부(P3, P4)에 부착하였다. 향기요법을 시행하기 전 3분, 시행 중 3분, 그리고 시행 후 3분씩 나누어서 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라벤더향은 수면질이 좋은 사람(15명)에서 후두부와 두정부에서 알파파를 감소시키고, 전두부에서는 세타파와 후두부에서 베타파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수면질이 나쁜 사람(13명)에서는 대뇌 모든 영역에서 수면 입면파인 세타파만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나타났다. 따라서 라벤더향은 수면질이 나쁜 사람에게 수면을 유도하는 긍정적인 뇌기능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직확장술을 이용한 두경부 연조직 재건 (THE USE OF TISSUE EXPANSION IN SOFT TISSUE RECONSTRUCTION OF THE HEAD AND NECK)

  • 정종철;박준아;김영운;정숭룡;이종호;류선열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6권3호
    • /
    • pp.231-238
    • /
    • 1994
  • 저자들은 1예의 전두부 연조직 결손과 2예의 경부와 안면에 형성된 다발성의 반혼구축 환자에서 조직확장술올 이용하여 양호한 두경부의 연조직 재건을 얻을 수 있었다. 다양한 연조직의 결손이나 변형에서 적절한 증례를 선택하여 올바르게 적용할 경우 조직 확장술은 유용한 재건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배추중(中) Metaldehyde의 잔류량평가 (Evaluation of Metaldehyde Residues on Chinese Cabbage)

  • 이재영;김성문;한대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7-52
    • /
    • 1990
  • 달팽이류등 연체동물을 방제하기 위하여 배추에 사용한 metaldehyde 입제(6%)를 0.3kg AI/10a 수준으로 처리한 후 잎과 뿌리에 이행한 metaldehyde의 잔류량을 측정하였다. 처리는 관행, 수확전 7, 15, 30일로 하였다. 잎은 안쪽부분과 바깥쪽부분으로 나누어 분석 하였으며 뿌리에 대한 잔류량도 아울러 실시 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추내에 존재하고 있는 free acetaldehyde의 양은 0.04-0.18ppm 이었다. 2. 배추잎과 뿌리에 대한 metaldehyde의 잔류량은 처리횟수가 증가할 수록 그리고 수확전 처리일수가 짧을 수록 증가함을 보여 주었다. 3. 잎에서의 metaldehyde 잔류범위는 0.11-1.4ppm 이었다. 4. 배추잎을 두부분으로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바깥쪽부분(outer part) 보다는 안쪽부분(innerpart)에서 0.01-0.6ppm 정도로 잔류량이 다소 많았다. 5. 뿌리의 metaldehyde 잔류범위는 0.04-0.63ppm이었으며, 잎에 비해서는 낮은 경향이었다.

  • PDF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정자의 미세구조 (Sperm Ultrastructure of Bombina orientalis)

  • 이정훈;권중균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4호
    • /
    • pp.42-54
    • /
    • 2005
  • 본 연구는 무당개구리과 (Discoglossidae)의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정자의 형태적 특징을 광학현미경과 주사 및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정자두부는 전 후방의 끝이 뾰족하고 다소 유연성을 갖는 초생달 혹은 버들 잎 모양의 특이한 구조를 취하고 있었다. 핵은 전 후방이 가늘고, 중앙 부분은 굵은 원뿔형이었다. 염색질은 완전하게 농축되어 있지 않고, 마치 널빤지를 겹쳐 놓은 듯한 지붕모양과 같은 형태로 불규칙하게 배열되어져 있었다. 핵 내에는 불규칙한 형태의 nuclear lacunae들이 흩어져 있었다. 정자경부와 중편부는 발달 되어 있지 않았다. 편모는 9+2 구조의 axoneme, axial rod 그리고 undulating membrane을 가지고 있었다. 미토콘드리아들은 핵의 상단부를 둘러싸고 있는 protoplasmic bead내에만 국한되어 존재하고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핵의 전방부에서 중앙 부위로 주행하는 nuclear rod는 섬유성 다발로 구성되었으며, 마치 사람의 속눈썹 모양과 같은 형태를 취하며, 핵의 2/3까지 뻗쳐져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