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도식

Search Result 33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rends in Development of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열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개발 동향)

  • Hong, Jinho;Shim, Sang Eu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1 no.2
    • /
    • pp.115-128
    • /
    • 2010
  • Recently the use heat sink material grows where the polymer filled with thermal conductive fillers effectively dissipates heat generated from electronic components. Therefore the management of he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lifetime of electronic device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rmal conductivity of composites, fillers with excellent thermaly conductive behavior are commonly used. Polymer composites filled with thermally conductive particles have advantages due to their processibility, cheap price, and durability to the corrosion.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thermal interface materials and their model equations for predict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polymer composites, and to introduce the commercial thermal conductive fillers and their applications.

다양한 산성 용액에 따른 AZO (Al doped ZnO) 박막의 식각 변화 연구

  • Jeong, Won-Seok;Nam, Sang-Hun;Jo, Sang-Jin;Yang, Hui-Su;Park, Hyeong-Sik;Lee, Jun-Sin;Bu, Jin-H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240-240
    • /
    • 2011
  • 투명전도성 산화물 박막은 넓은 밴드갭을 가지고 있으며 금속 도핑에 따라서 낮은 저항과 높은 투과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투명전도성 산화물 박막은 광학 디바이스, 유기광전자 디바이스(OLED) 및 태양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투명전도성 산화물 박막중에서도 AZO 박막은 실리콘 태양전지의 전극으로 사용이 되며, 이를 식각하여 다양한 모양을 가지는 박막으로 성장시킬 경우 빛의 산란 및 포집 효과에 의해서 태양전지의 current density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AZO 박막을 RF magnetron sputtering법을 이용하여 유리 기판위에 성장하였다. 또한, 성장된 AZO 박막은 염산, 질산, 황산, 인산, 초산 등의 다양한 산성용액을 이용하여 식각을 하였다. 그 결과 식각률은 식각용액의 농도 및 pH에 따라서 다양한 변화를 보였으며, 식각된 AZO 박막은 실리콘 태양전지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controlled drug release using conductive polymer electrochemically polymerized on multi-electrodes (다중 전극에 전기 중합한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선택적 약물방출 특성)

  • Song, Tae-Eun;Chang, Jong-Hyeon;Son, Ji-Hee;Yang, Sang-Sik;Pak, Ju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11a
    • /
    • pp.278-280
    • /
    • 2004
  • 본 논문의 내용은 다중전극에 전기 중합한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약물을 결합한 후 전압 인가에 의한 선택적인 약물방출을 구현하는 것이다. Glass wafer에 anode와 cathode 전극을 제작하고 4개의 anode 전극면에 각각 전기중합으로 전도성 고분자막을 합성하였다. 양이온성 약물인 lidocaine을 결합할 수 있도록 피롤과 함께 도펀트로써 분자량이 큰 DBS를 사용하였으며 고분자막의 이온출입원리를 이용하여 약물을 결합하고 방출하였다. Cyclic voltammogram로부터 PPy(DBS) Polypyrrole (dodecylbenzene sulfonate) 전극의 산화 환원특성 및 전극면에 PPy(DBS) 막이 생성되기 위한 조건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PPy(DBS)막을 3전극 시스템과 Coulometry를 이용하여 전압을 인가하여 합성하였고, 합성전하량으로 부터 PPy(DBS)막의 두께를 알 수 있었다. Lidocaine의 결합 및 방출 시에도 정전압을 이용하였으며 약물의 방출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UV spectrometer를 사용하였다. 다중전극에 PPy(DBS)막을 1.5um 두께로 합성한 후 lidocaine을 결합시키고 선택적으로 약물을 방출한 결과 각각의 PPy(DBS)막으로부터 $1.4{\sim}1.7mg$의 약물이 방출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Reliability Analysis of Caisson Type Breakwater using Load Surface (하중면을 이용한 케이슨식 방파제의 신뢰성해석)

  • Kim, Dong-Hyaw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1 no.3
    • /
    • pp.209-215
    • /
    • 2009
  • A new load surface method for reliability of caisson type breakwater was proposed. Linear functions for horizontal wave force and uplift force were estimated by using water level and wave height then they were applied to the reliability analysis of breakwater using first order reliability method(FORM). In the numerical example, sliding and overturning failure probability of caisson type breakwater were analyzed by using load surface and they were compared with those by Monte Carlo simulation.

A Case Study for Evaluating Groundwater Condition in RMR and Q Rock Mass Classification on Bard Rock Tunnel (RMR 및 Q 분류시 지하수 조건 평가방법에 관한 사례 연구)

  • 이대혁;이철욱;김호영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3 no.5
    • /
    • pp.353-361
    • /
    • 2003
  • For RMR and Q rock mass classification at the design and construction stage, evaluation of groundwater condition is usually based upon the experience due to the restriction of available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f Taejon LNG Pilot Cavern which acquire joint water pressure, inflow rate of ground water and hydraulic conductivity model, estimates from numerical analysis and analytical solutions were compared to verify each evaluation method. As the result, the Raymer(2001) approach was found to be efficient for estimating inflow rate and corresponding value.

Characteristics of Conducting Polymer-based Urea Sensors with Planar Pt Electrode on Silicon Substrate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요소 측정용 반도체 바이오센서의 특성)

  • Park, Sung-Ho;Jin, Joon-Hyung;Min, Nam-Ki;Hong, Suk-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c
    • /
    • pp.1454-1456
    • /
    • 2001
  • 신장병 진단에 중요한 요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요소 센서를 반도체 위에 개발이 연구의 목적이다. 센서의 감도 측정은 선형 전위 주사법(Linear sweep voltammtry)을 이용하였다. 선형 전위 주사법은 가역적이든 비가역적이든 관계없이 cottrell 식에 의한 전류와 농도의 직선관계로부터 감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저 농도에서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기존 전위차 측정형 바이오 센서(Potentiometric biosensor)에서 규명할 수 없는 감도 문제를 선형 전위 주사법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센서전극은 p-type 실리콘 웨이퍼 위에 전극을 제작했다. 그 위에 cyclic voltammetry 법을 사용하여 전도성 고분자를 전기 중합 하였고, 그위에 다시 chronoamperometry법을 사용하여 우레아제를 고정화 하여 작업전극으로 제작하였다. 센서의 감도는 phosphate buffer 용액(pH7.4)속에서 온도 35$^{\circ}C$를 유지하며 측정하였다.

  • PDF

EPNP Solver를 이용한 나노포어의 이온전류와 이온전도도 계산

  • Byeon, Min-Hyeon;Hwang, Hyeon-Seok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5.03a
    • /
    • pp.83-9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Poisson-Nernst-Plank (PNP) 식의 해를 구할 수 있는 Edison web-based Poisson-Nernst-Plank (EPNP) Solver를 이용하여 나노포어의 이온선택성 및 박막의 유전율, 그리고 이온 농도가 이온 전류와 이온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계산 결과로부터 나노포어의 이온선택성에 의해 양이온이 이온전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며, top buffer와 bottom buffer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이온 전도도 (ion conductance)가 비선형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top buffer와 bottom buffer 간에 농도 차가 있을 때는 농도 차와 나노포어의 이온선택성에 의해 형성되는 Nernst 전위의 영향으로 I-V 곡선이 비대칭적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나노포어의 상대 유전율을 증가시킬 때 I-V 곡선에서의 양이온 전류는 감소했지만 음이온의 전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나노포어 내에 배열된 쌍극자에 의한 영향과 전하를 가진 입자가 유전경계 (dielectric boundary)에 접근하면서 형성되는 상전하에 의한 영향이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Flow Signal Characteristics of Small Scale Electromagnetic Flowmeter in Low Conductivity Fluid Measurement (저전도율 유체 측정에서 소형 전자기유량계의 신호 특성)

  • Lim, Ki Won;Jung, Sung So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40 no.9
    • /
    • pp.613-620
    • /
    • 2016
  • In order to scrutinize the fluid conductivity effects on the electromagnetic flowmeter(EMF) characteristics, a small scale EMF was designed and fabricated. The measuring tube has a $3mm{\times}4mm$ rectangular cross-section, 9 mm length, and a $2mm{\times}3mm$ plate electrode and a ${\Phi}1.5mm$ point electrode. The design parameters, such as the magnetizing frequency and the number of coil turns, and the diameter were optimized. The EMF was tested with a gravimetric calibrator and showed good linearity in the range of 0 to $1.17{\times}10^{-5}m^3/s$. The fluid conductivity was varied between 3 and $11{\mu}S/cm$, and the magnitude of the flow signal was proportional to the fluid conductivity and the wetted area of the electrode. The design information and the test results provide flow measurement techniques for very low flowrate.

Analysis of Two-Span Structures Constructed by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ILM 공법에 의해 시공된 2경간 구조물의 해석)

  • Kim, Sung Hoon;Kim, Bu Kyu;Choi, Jun Hye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8 no.1
    • /
    • pp.35-42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the structural analysis of two-span structures constructed by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to traverse the existing facilities. The structure with a relatively short launching span can not be secure the structural stability caused by excessive deflection and overturning prior to reaching the maximum strength, because the length of the other span is different or the rear structure is not continuous. In order to estimate the stability of the construction stages of deflection and the overturning, the structural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parameters of the analysis is launching span ratio of the launching nose and the upper structure, weight ratio and so on. From the analysis result, the effects of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and a deflection formula of the launching nose and the condition of the overturning of structure were proposed.

$B_2H_6$량에 따른 p-layer의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 Jo, Jae-Hyeon;Yun, Gi-Chan;An, Si-Hyeon;Park, Hyeong-Sik;Jang, Gyeong-Su;Lee, Jun-S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228-228
    • /
    • 2010
  • pin-형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에서 p-층은 창물질로서 전기 전도도가 크고, 빛 흡수가 작어야 한다. p층의 두께가 얇으면 i층에서 충분한 내부전위를 얻을 수 없어 개방전압이 작아진다. 반대로 p-층 두께가 두꺼워지면 p-층 자체에서 빛 흡수가 증가하고, 높은 불순물 농도(> $10^{20}/cm^3$)에 의한 표면재결합이 문제가 되어 변환효율이 감소한다. 밴드갭이 큰 물질로 창층을 만들면 짧은 파장의 입사광이 직접 i-층을 비추므로 단락전류와 곡선인자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비정질 실리콘 증착과 박막 특성 분석을 위하여, $5cm{\times}5cm$ 크기의 eagle 2000 glass(유리)와 p형 실리콘 wafer가 사용되었다. 투과도, 흡수도, Raman, 암전도도 와 광전도도 특성 측정에 유리 기판에 증착된 박막을, 두께 측정, FTIR 측정에는 실리콘 기판에 증착된 박막이 각각 사용되었다. p형 비정질 실리콘 증착에는 $SiH_4$, $H_2$, $B_2H_6$ 가스를 사용하였고, 플라즈마 형성에는 13.56MHz의 RF 소스가 사용하였다.p층은 $SiH_4$ 가스와 $H_2$ 가스비가 1:5인 조건에서 $B_2H_6$을 도핑하여 형성하였다. $B_2H_6$가스량을 변화시키며 형성하였으며, $B_2H_6$가스량이 증가함에 따라 암전도도가 증가하였으나, 광학적 밴드갭이 감소하였다. $H_2/SiH_4$ 가스 비가 0.001일 때 밴드갭은 1.76으로 i층보다 높게 형성되었으며, 암전도도는 $10^{-7}$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