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달특성

검색결과 4,349건 처리시간 0.04초

야외 운동복용 직물에서의 수분전달 (Water Vapour Transfer through Fabrics for Outdoor Activities)

  • 오애경;박정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66-66
    • /
    • 2003
  • 야외 운동(outdoor activities)복에 사용되는 소재들은 외부로부터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어야 될 뿐 아니라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의복착용시 쾌적감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몸의 열적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인 수분전달 특성이다. 본 연구는 여러 종류의 야외 운동복용 직물에서의 수분전달 현상을 조사하여 규명하므로써 이 직물들이 실제 의복생활에 응용될 의복계 (clothing system)를 형성하였을 때의 수분전달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는 기초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는 base layer용, mid layer용 직물들이 shell layer로 쓰이는 waterproof breathable 직물보다 수분 전달률이 높았으며, waterproof breathable 직물의 수분 전달률은 microfibre 직물, PTFE-laminated 직물 그리고 polyurethane coated 직물 순 이었다. 또한 polyurethane 직물에서는 back coated 직물이 face-coated 직물보다 수분 전달률이 높았다.

야외 운동복용 직물에서의 수분전달 (Water Vapour Transfer through Fabrics for Outdoor Activities)

  • Oh, Ae-gyeong;Park, Jung-whan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2-196
    • /
    • 2003
  • 야외 운동(outdoor activities)복에 사용되는 소재들은 외부로부터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어야 될 뿐 아니라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의복착용시 쾌적감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몸의 열적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인 수분전달 특성이다. 본 연구는 여러 종류의 야외 운동복용 직물에서의 수분전달 현상을 조사하여 규명하므로써 이 직물들이 실제 의복생활에 응용될 의복계(clothing system)를 형성하였을 때의 수분전달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는 기초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는 base layer용, mid layer용 직물들이 shell layer로 쓰이는 waterproof breathable 직물보다 수분 전달률이 높았으며, waterproof breathable 직물의 수분 전달률은 microfibre 직물, PTFE-laminated 직물 그리고 polyurethane coated 직물 순 이었다. 또한 polyurethane 직물에서는 back coated 직물이 face-coated 직물보다 수분 전달률이 높았다.

부하전압을 고려한 공진형 DC/DC 컨버터의 동작 해석 (Analysis of Resonant DC/DC Converter Operation Considering Load Voltage)

  • 김혁진;정교범;조관열;최재호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9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9-71
    • /
    • 2009
  • 본 논문은 부하전압의 크기에 따라 동작모드가 다르게 구성되는 공진형 DC/DC 컨버터의 동작 특성을 해석한다. 공진형 DC/DC 컨버터는 직류 입력전원에 연결되는 LC 공진회로, 공진회로의 캐패시터 전압이 최대일 때 부하측으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공진형 컨버터로 구성되어있다. 공진형 컨버터는 공진 회로의 캐패시터 전압과 부하전압의 상대적인 크기에 따라서 2개의 동작 모드 특성을 가진다. 공진 캐패시터 전압의 최대값이 부하전압보다 작을 경우, 스위칭 회로는 부스트 인덕터를 이용하여 입력측 에너지를 부하측으로 전달한다. 반대로 큰 경우에는 스위칭 동작없이 공진 캐패시터가 부하측으로 직접 연결되어 입력측 에너지를 부하로 전달한 후, 공진 캐패시터의 잔여 에너지를 부스트 인덕터를 이용하여 부하측으로 전달한다. 공진형 DC/DC 컨버터 회로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고, PSPICE Simulation 및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가공배전용 주상변압기의 뇌과전압 전달특성 실증 (Field Tests on the Transfer of Lightning Overvoltages through Pole Transformer)

  • 류희석;김대경;남기영;이재덕;박상만;정동학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647-649
    • /
    • 2005
  • 가공배전계통의 주상변압기에는 직격뢰나 유도뢰에 의해 고압측이나 저압측으로부터 뇌과전압이 침입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침입단은 물론, 상대단에도 과전압이 나타날 수 있어, 주상변압기 자체와 고압 및 저압계통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주상변압기의 뇌과전압 전달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절연설계와 절연협조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선로와 같은 구성과 규모의 실증 배전선로에서, 주상변압기에 임펄스전압이 침입한 경우의 변압기 양단에 나타나는 과전압에 패한 실증결과의 예를 소개하였다.

  • PDF

다차원 스펙트럼 해석법을 이용한 엔진소음의 전달특성 규명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of Transfer Characteristics of Engine Noise by Multi-Dimensional Spectral Analysis)

  • 김동규;송재은;백문열;오재응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40-49
    • /
    • 1996
  • With the advance of the standard of living, the demand on automobile goes beyond the simple transportion equipment, therefore the interior noise reduction has been the important factor for improvement of the ride quality. Idling noise is a major vehicle characteristic determining occupant comfort. In the present research two approaches for noise source identification based on theory for multi-input system have been investigated. The concept of the frequency response function and the multi-dimensional spectral analysis were used to estimated the spectra of the noise source.

  • PDF

전달 행렬 분석에 의한 신호변수 추정 기법 연구 (Signal Parameter Estimation via Transfer Matrix Analysis)

  • 조운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82-87
    • /
    • 1998
  • 여러 음원들에 의해 형성된 파동장내에서 각 신호음의 주파수 특성과 시간 지연 (time delay)을 추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 알고리즘의 관련 수식은 두 개의 상호 간섭하는 신호가 입사하고 여기에 주변 환경에 의한 랜덤 잡음이 첨가된다고 가정하여 유도되었으며 두 개 이상의 신호음이 있는 상황에 대해 확장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 시간 지연이 일정한 수신 신호 영역에 등간격으로 놓여진 수신기로부터 각 센서에 수신된 신호의 스펙트럼은 M개의 센서에 대해 K개의 음원 스펙트럼과 K개의 조정 벡터(steering vector) 의 선형 조합(linear combination)으로 주파수에서 모델된다. 각 음원의 주파수 특성과 음원 으로 들어오는 신호의 입사각을 결정하기 위하여 본 알고리즘은 전달 행렬(transfer matrix) 을 계산하고 그 전달 행렬의 고유값(eigenvalue)과 고유벡터(eigenvector)를 분석한다. 이 고 유값들은 복소수이며 그 크기는 진폭 변환 계수를 결정한다. 위상은 수신기의 간격으로부터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기울기를 갖는 주파수의 선형 함수이다. 전달 행렬에의 입력 자료들 은 동일 간격 소자간의 cross-power spectra이다.

  • PDF

FDNR을 사용한 전달함수의 실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lization of Transfer Functions Using FDNR's)

  • 이태원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1-42
    • /
    • 1975
  • 접지-비접지 FDNR자을 구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였으며 이것과 admittance변환함수가 s3에 비례하는 CGIC를 교대로 사용하면 분모 분자의 저차항부터 3개항씩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개방전압전달함수합성방법을 제시하였다. 종전의 두 개항씩을 구분하여 나가는 방식과는 달리 3개항을 구분하여 나가므로 임의의 고차의 전달함수실현이 용이하여진다. 실지로 여파특성을 가지는 5차의 전달함수를 이 방법으로 실현하고 그 특성을 검토함으로써 본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PDF

지능형 전력망을 위한 정보 보안 (Information Security for Smart Grid)

  • 권기풍;서승우
    • 전기의세계
    • /
    • 제58권8호
    • /
    • pp.51-60
    • /
    • 2009
  • 지능형 전력망은 통신 기술을 통해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 하고 안정성을 높이는 차세대 전력망으로서 그 내부에는 다양한 통신 환경과 특성이 존재한다. 지능형 전력망에서는 일반 수용가의 부하특성이나 전기 사용량 등 비실시간 정보뿐만 아니라 전력망의 안정적이고 지능적인 운영을 위한 다양한 감시제어 데이터와 같은 실시간 정보가 함께 전달된다. 이러한 정보들은 전달 과정에서 누출, 번조가 되지 않고 원하는 사용자에게 원히는 시간과 장소에 정상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높은 수준의 정보 보안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그러나 최근, 감시제어 정보 전달은 보통 인터넷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보다 고품질을 요구하기 때문에, 통신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보안 서비스를 지능형 전력망에 적용하기에는 제약이 따른다. 본 논문은 지능형 전력망의 주요 통신 환경별 요구사항을 살펴보고,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면서 높은 수준의 정보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어떠한 보안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는지 알아본다.

  • PDF

안개 제거 알고리즘의 patch 특성을 이용한 안개 량 측정 (Fog degree measurement based on patch property of defogging algorithm)

  • 이근민;김원하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5-126
    • /
    • 2014
  • 안개 제거 알고리즘은 single image에서 대기값(Airlight)와 대기의 빛 전달량(Transmission)을 추정하여 안개로 인한 빛의 산란에 의해 생긴 Contrast 감소 및 채도의 왜곡과 같은 영상 왜곡을 보정해줌으로써 안개 영상에서 안개를 효과적으로 제거해준다. 하지만 기존의 안개 제거 알고리즘은 안개 영상에 특화되었기 때문에 안개가 없는 영상에 알고리즘을 시행 할 경우 색상과 명암에 왜곡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앞서 안개 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안개 제거 알고리즘에 제거 정도 가중치나 알고리즘 수행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기존 안개 제거 알고리즘들이 영상의 patch를 사용하여 빛 전달량(Transmission)을 추정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빛 전달량을 구함과 동시에 안개 량을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안개량을 측정하기 위해 각 patch의 pixel 분포 특성과 patch의 빛 전달량(Transmission)을 구하기 위한 특정 값과 실제 pixel의 명암(Intensity)을 비교하여 안개 량을 측정한다.

  • PDF

InGaZnO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한 광조사 및 게이트 바이어스 스트레스에 대한 열화 현상 분석

  • 김병준;전재홍;최희환;서종현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5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77-177
    • /
    • 2013
  • 디스플레이 화소 스위치 소자로 수소화된 비정질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를 금속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금속 산화물 중에서 박막 트랜지스터의 활성층으로 응용이 가능한 가장 대표적인 물질은 인듐(In), 갈륨(Ga), 아연(Zn), 산소(O) 화합물인 InGaZnO이다. InGaZnO TFT의 전기적 특성은 비정질 실리콘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이 되었지만, 소자의 신뢰성은 아직까지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아있다. 본 연구에서는 InGaZnO TFT를 제작하여 게이트 바이어스와 빛을 소자에 동시에 인가했을 때 발생하는 소자의 열화현상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채널 폭과 길이를 갖는 InGaZnO TFT를 제작하고 동시에 활성층의 구조를 두가지로 제작하였다. 첫번째는 활성층의 폭이 소오스/드레인 전극 폭보다 넓은 구조(active wide, AW)이고 두번째는 활성층의 폭이 소오스/드레인 전극 폭보다 좁은 구조(active narrow, AN) 구조이다. 이들 소자에 대해 +20 V의 게이트 바이어스와 빛을 동시에 인가하여 10000초 후의 소자 특성을 초기 특성과 비교하였을 때는 열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20 V의 게이트 바이어스와 빛을 동시에 인가하여 10000초 후의 소자 특성을 초기 특성과 비교하면 전달특성 곡선이 음의 게이트 전압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문턱전압이하의 동작 영역에서 전달특성 곡선의 hump가 발생하였다. 이 hump 특성은 AW 구조의 소자와 AN 구조의 소자에서 나타나는 정도가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열화 현상의 원인으로 음의 게이트 바이어스와 빛이 동시에 인가될 경우 InGaZnO 박막 내에는 활성층 내에 캐리어 밀도를 증가시키는 donor type의 defect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활성층의 테두리 영역에서는 이러한 defect의 발생이 더 많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활성층의 테두리 영역이 소오스/드레인 전극과 직접 연결이 되는 AN 구조에서는 hump의 발생정도가 AW 구조보다 더 심하게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