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기 자동차 배터리

Search Result 34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Phase modulated dual full-bridge converter for EV high-power on-board battery charger (전기자동차 탑재형 대용량 배터리 충전기를 위한 위상 변조 제어되는 듀얼 풀 브리지 컨버터)

  • Kim, Dong-Han;Kang, Dong-Hun;Jang, Hee-Beom;Lee, Il-O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002-100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전기자동차 탑재형 대용량 배터리 충전기를 위한 위상 변조되면서 제어되는 듀얼 풀 브리지 컨버터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제안되는 위상 변조 듀얼 풀 브리지 컨버터는 기존 대용량 풀 브리지 컨버터에 비해 약 50%이상 도통 손실이 개선되며, 변압기 이차측 정류단 전압스트레스 또한 크게 개선되는 이점을 갖고 있다. 더불어 배터리가 충전되는 전부하 구간에서 일차측 전력반도체스위치의 영전압 스위칭이 보장되며, 출력 필터 인덕터 사이즈 또한 크게 작아지는 장점도 갖고 있다. 논문에서는 제안 회로와 그 분석 결과가 발표되어 지고, 그 가능성은 6.6 kW급 배터리 충전기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확인되어진다.

  • PDF

Analysis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VRFB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Cycle (온도 및 사이클에 따른 VRFB 전기적 특성 분석)

  • Lim, Nam-Gyu;Kim, Daewi;Lee, Seongj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340-34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셀 단위 바나듐 배터리의 220회의 충·방전 사이클 기반으로 획득한 데이터를 통해 장기간 사이클 시험에 따른 바나듐 배터리의 전기적 등가회로 모델에 적용되는 파라미터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온도에 따른 영향성 분석을 위해 상온(25℃), 저온(15℃) 및 고온(35℃)에서 각 10회 충·방전 사이클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에 대한 파라미터 분석 결과도 제시한다. 장시간 사이클 실험에 따른 전기적 특성분석 결과 바나듐 배터리의 핵심 노화인자는 배터리 전기적 모델에서 직렬저항인 Ri 파라미터임을 시험 검증하였다.

  • PDF

One-Dimension Thermal Modeling of NiMH Battery for Thermal Management of Electric Vehicles (전기 자동차용 니켈수소 배터리 1차원 열전달 모델링)

  • Han, Jaeyoung;Park, Jisoo;Yu, Sangseok;Kim, Sung-So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8 no.3
    • /
    • pp.227-234
    • /
    • 2014
  • Fuel consumption rates of electric vehicles strongly depend on their battery performance. Because the battery performance is sensitive to the operating temperature, temperature management of the battery ensures its performance and durability. In particular,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mong modules in the battery pack affects the cooling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cuses on the thermal modeling of a battery pack to observ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mong the modules. The battery model is a prismatic model of 10 NiMH battery modules. The thermal model of the battery consists of heat generation, convective heat transfer through the channel and conduction heat transfer among modules. The heat generation is calculated by the electric resistance heat during the charge/discharge state. The model is used to determine a strategy for proper thermal management in Electric vehicles.

Development of Secondary Battery Module Cooling System Technology for Fast Charging (고속 충전을 위한 이차전지모듈 냉각시스템 기술 개발)

  • Kang, Seok Jun;Kim, Miju;Sung, Donggil;Oh, Miyoung;Bae, Joonsoo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 /
    • v.25 no.3
    • /
    • pp.119-124
    • /
    • 2022
  • Because high power with large size cell is used for the battery pack of hybrid electric vehicles and electric vehicles (HEV and EV), average temperature in a battery cell is the important criteria of the thermal management of the battery pack. Furthermore, fast charging technology is required to reduce battery charging time. Since battery pack performance and lifespan are deteriorated due to the heat of cells and electronic components caused by fast charging, an effective cooling system is required to reduce performance deterioration. In this study, a cooling system and module design applied to a pouch-type for fast charging battery cell are investigated, and the cooling performance that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battery was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the vapor chamber cooling system has better cooling performance, the temperature drop in the module was 5.82 ℃ compared with aluminum cooling plates.

전기차 폐배터리를 재사용한 가정용 전력저장장치의 에너지 균등화 비용 추정: 가정용 태양광 시스템과 연계 시

  • Hong, Yong-Jun
    •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 /
    • v.3 no.2
    • /
    • pp.55-62
    • /
    • 2017
  • 전기차 보급의 확대에 따라 배터리의 사용연한 도래 시 폐배터리의 누적규모도 전기차 판매량에 비례하여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 별 규제로 인해 배터리의 재활용(Recycle) 의무가 있는 자동차 제조사를 중심으로 폐배터리를 재사용(Battery Second Use: B2U)한 ESS(Energy Storage System) 제품을 출시하거나 이를 활용한 실증 과제를 운영 중에 있다. 전기차 배터리의 성능 보증 수준은 통상 초기용량의 80%로, 보증이 완료된 폐배터리를 낮은 가격으로 매입하여 ESS로 활용할 경우 초기용량의 60%까지 사용 후 폐기할 수 있다. 따라서 B2U 제품은 신규 배터리 셀을 사용하는 ESS 제품 대비 가격은 저렴하나, 20년 이상 사용하는 태양광 시스템과 연계 시 4~6회 교체가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고에서는 가정용 태양광 시스템에 신규 배터리를 사용한 가정용 ESS 제품과 B2U ESS 제품 연계 시 에너지 균등화 비용(Levelized Cost of Energy: LCOE)을 비교하여 B2U 제품의 경제적 타당성을 추정한다.

  • PDF

The parallel operation of LDC module for electric vehicle (전기자동차용 LDC 모듈의 병렬 운전)

  • Park, Hyun-Seok;Kang, Sun-Doo;Eom, Tae-Ho;Won, Chung-Yue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11a
    • /
    • pp.175-176
    • /
    • 2017
  • 본 논문은 전기자동차용 고전압 배터리에서 차량용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분산형 LDC 모듈의 병렬 운전에 대해 기술한다. 제안하는 LDC 모듈은 각각의 고전압 배터리 모듈마다 적용되며, 소용량의 PCB 타입으로 제작되었다. 이는 전기자동차에서 요구하는 배터리 용량에 따라 다병렬로 구성할 수 있는 용이함을 가진다. 실험을 통해 분산형 LDC 모듈의 병렬 운전을 확인하고, 부하량에 따른 효율을 검증하였다.

  • PDF

DC-to-DC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to step a low battery voltage up (낮은 배터리 전압의 승압을 위한 전기자동차용 DC-to-DC 컨버터)

  • Kim, Sun Pil;Kang, Feel-s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451-45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낮은 배터리 전압을 효율적으로 승압하여 전기자동차 구동용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DC-link 전압을 확보하기 위한 승압형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컨버터는 배터리와 출력 콘덴서가 직렬 결합되어 출력전압을 형성하는 구조로서 배터리 셀의 적층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구조적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출력전압 전력반도체 소자 수를 최소화하여 전기적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제안하는 컨버터의 이론적 분석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

Major trend of research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전기차용 배터리의 연구동향)

  • Kim, Cha-Nyeon;Lee, Heung-J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617-618
    • /
    • 2015
  • 최근 지구온난화, 배기가스 배출에 의한 대기오염, 화석에너지 고갈에 따라 대체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세계 각 국가들이 해당 분야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그 핵심 과제의 하나는 전기자동차이며 최근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점점 고조되고 있고 전기차의 실 구매도 많아짐에 따라 전기차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배터리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기차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밀도, 높은 전력 밀도, 긴 수명과 친환경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안전성, 지속성, 획일성, 가격 등에 대하여 배터리의 사용에 한계가 있다. 여기에서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비롯한 배터리의 주요 연구 테마들에 관한 현재까지 연구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High Efficiency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of Electric Vehicle.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방전용 양방향 DC-DC 컨버터의 고효율화)

  • Kwon, Chang-Keun;Jung, Jae-Hun;Nho, Eui-Cheol;Kim, In-Dong;Kim, Heung-Geun;Chun, Tae-W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07a
    • /
    • pp.17-1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V2G 기능이 있는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방전용 양방향 DC-DC 컨버터에 대해 다룬다. 상용 전원 220 V는 PWM 인버터에 의해 직류 400 V로 변환되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전압은 176 V~252 V 이다. 배터리 충방전용 DC-DC 컨버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1-모듈 1-폴로 구성된 경우와 1-모듈 3-폴로 구성된 경우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Bidirectional Battery Charger for EV (EV용 양방향 배터리 충전기)

  • Park, Seung Hee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11a
    • /
    • pp.93-94
    • /
    • 2013
  • 최근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이지는 가운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충전기술 또한 대두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충전 기능 만을 고려한 단방향 충전시스템에서 방전 기능을 추가한 양방향 충전시스템에 대하여 서술한다. 양방향 시스템은 차량의 배터리를 저장매체로 활용하여 계통과 배터리간의 전력을 양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주차된 차량등의 배터리의 잉여전력을 계통으로 전송 할 수 있다. 용량은 가정용으로써 3.3kW 탑재형 단상 양방향 충/방전기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결과를 도출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