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적정성 검토

Search Result 99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Economized Grounding System Design Based Upon Case Study (사례연구를 통한 경제적 접지설계 검토)

  • Kim, Yang-Soo;Shim, Yong-Sik;Choi, Dai-Won;Kim, Tae-Hoon;Lee, Jung-E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4b
    • /
    • pp.31-3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접지설계 환경의 적정성 여부를 검토하여 ANSI/IEEE Std.80-2000을 보완한 새로운 접지시스템 설계방법을 이용하여 접지설계를 검토하였으며, ANSI/IEEE Std. 80-2000 Annex B의 사례연구를 통해 기존방식과 비교 검토하여 신뢰성과 경제성을 검증하였다.

  • PDF

육/해상 풍력실증연구단지조성 기획 연구

  • Jang, Mun-Seo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253-264
    • /
    • 2005
  • 풍력발전시스템은 제품에 대한 실증이 반드시 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국내실정에 적합한 풍력발전시스템의 개발과 보급을 위해서도 실증연구는 선행조건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국제 규격에 합당한 풍력발전 성능평가와 현장 실증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실증단지를 국내에 조성하는 것이 매우 시급한 실정으로, 기초적인 자원분석과 주변환경평가 등을 거치면서 기본적인 실증단지 후보지들을 비교하여 최종 후보지로 선정된 전북 새만금지역, 병곡 영해 평야지구, 제주 동부해안지역 월정지구, 서부 해안지역 월령지구에 대하여 부지의 IEC 규격 적합성 검토, 인프라구축에 대한 적정성 검토, 주변 발전단지 조성가능성 및 발전사업에 대한 연계성 검토, 육해상 실증단지 구축 동일지 역 가능성 검토, 교육과 홍보에 대한 접근성 및 공사에 대한 접근성 검토, 부지 확장 및 향후 실증단지 운영과 관련하여 지자체와의 연계성 검토를 하였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Neural Network on Determining The Optimal Stand Management Regimes (임분의 적정 시업체계분석을 위한 Neural Network 기법의 적용성 검토)

  • Chung, Joo Sang;Roise, Joseph P.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4 no.1
    • /
    • pp.63-70
    • /
    • 1995
  • This paper discusses applications of neural network to stand stocking control problems. The scop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neural network model for finding optimal stand management regimes and examining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for field application. Performance was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raining examples and structural aspects of neural network. Research on network performance was based on extensive optimization studies for pure longleaf pine(Pinus palustris) stands. For experimental purposes. an existing nonlinear even-aged stand optimization model with a whole-stand growth and yield simulator was used to generate data samples required for the performance analysis.

  • PDF

Weir Relocation for Scenery Improvement of Geum River (금강의 경관 향상을 위한 보의 위치변화)

  • Jeong, Sang-Man;Shin, Kwang-Seob;Park, Seok-Chae;Lee, Joo-Heon;Han, Kyu-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39-1243
    • /
    • 2007
  • 현재 우리나라에는 기능을 상실하고 노후화된 보가 경제적인 문제 등으로 인하여 철거되거나 적정한 위치로 이동되지 않고 그대로 방치되어 있다. 이러한 다수의 보는 상 하류간 단절을 가져와 하천 경관을 나쁘게 하고 국부적인 세굴로 인하여 하상을 불규칙하게 만든다. 본 연구에서는 공주시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공산성이 위치하고 있는 금강의 중류를 대상구간으로 설정하였으며, 해당 구간에는 2003년에 설치된 돌보를 기준으로 하류부에 불량한 경관이 발생하고 있다. 공산성 앞의 하천 구간은 공주대교 아래에 설치된 돌보로 인하여 보의 상류는 충분한 유량으로 인해 하천경관이 좋은 반면, 하류는 경관을 위한 유지유량이 부족하여 아름다운 하천 경관을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경관 향상을 위한 유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의 철거나 위치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주대교 아래에 설치된 보의 위치를 공산성 하류로 이동시키는 대안을 선정하여 그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보 위치변화의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한 2차원 해석 모형으로는 하천의 흐름특성 및 하상변동을 모의할 수 있는 SMS(Surface Water Modeling System ver.8.1)의 RMA2와 SED2D를 이용하였다. 2차원 해석 결과 보를 공산성 하류로 이동시켰을 때 유량의 증가와 하상복원으로 인하여 수위가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구간에서의 모의 결과 보의 위치변화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공산성에서 바라보는 금강의 경관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roblems of Applying Design for Safety and Adequacy of Risk Factor Derived at Design Phase (설계단계 설계 안전성 검토 적용의 문제점과 도출 위험요인의 적정성)

  • Kim, Jin-Dong;Kim, Gwang-H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9 no.6
    • /
    • pp.549-555
    • /
    • 2019
  • While efforts to reduce safety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ve been made in a variety of ways, so far they have had minimal effectiveness. For this reason, since 2016 Design for Safety (DfS) has been implemented as an attempt to eliminate the root cause of safety accidents by introducing the consideration of safety at the design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adequacy and problems of Design for Safety and to contribute to reducing safety accidents by establishing this system correctly. A questionnaire survey of related engineers and analysis of the Design for Safety report showed that the awareness of Design for Safety among engineers was low, while some of the risk factors derived from the design for safety were less relevant to the design. As such, efforts should be made to reduce the risk factors in the actual design stage so that it can contribute more to the reduction of safety accidents.

Analysis and Evaluation on the Location of Public Service Facilit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case of Kumchon Gu - Office in Seoul (GIS 기법을 이용한 공공 시설 입지분석 및 타당성 검토)

  • 장훈;허준;김민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381-387
    • /
    • 2004
  • 도시주민들은 경제, 문화생활 및 의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보다 다양하고 양질의 공공서비스를 요구하게 되었다. 주민들의 이러한 요구는 공공서비스 시설의 입지문제와 직결되는 것으로 도시의 입지결정 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 중의 하나는 공공서비스를 보다 저렴하고 편리하게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게 제공함으로써 이용주민들의 복지를 극대화 시켜야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기본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공공시설의 위치결정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접근성 이론과 GIS 공간분석 기법을 접목하여 입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연도별 최적입지를 산출하고, 각 구청의 연도별 최적 입지점의 지도화를 통해 그들의 이동 추이를 추적하며 각 구청의 연도별 최적값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연도별 현구청의 입지 혹은 이전할 입지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서 입지분석을 위한 이론적 검토로서 공공서비스 시설의 입지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구청사의 입지 적정성을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평가할 수 있는 계량적인 입지분석 방법을 검토 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근거를 실제 공공시설적용을 위하여 금천구를 선정하였고, 구청의 도시현황을 분석하고, 도로망, 인구추정을 통하여 관련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정성적, 정량적 분석 및 효율성과 형평성을 고려하여 구청사 위치의 적정성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 PDF

Application for the Selection Criteria of Apppropriate Probability Distribution (적정 확률분포형 선정기준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Kim, Soo-Young;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9-173
    • /
    • 2006
  • 일반적으로 확률수문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수문자료에 대해 빈도해석을 실시한 후 확률수문량을 산정하게 된다. 재현기간이 커질수록 확률분포형에 따라 확률수문량의 값은 많은 차이를 나타내므로 적정 확률분포형의 선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적정 확률분포형의 선정은 객관적인 기준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나, 적정 확률분포형의 선정에 있어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실무에서 확률수문량을 산정할 때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정 확률분포형의 선정기준으로 제시되어 있는 검정통계량을 이용한 방법의 적용성을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Gumbel, GEV 분포형과 Weibull, Generalized logistic 분포형을 선택하고 각각의 분포형에 대해 자료의 크기별 모의를 통해 자료를 발생시킨 후 빈도해석을 수행하고, 적합도 검정 단계에서 산출되는 검정통계량을 비교하여 적정 확률분포형을 선정하여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자료 발생에 이용된 분포형과는 관계없이 자료수가 작을수록 2변수 gamma, 자료수가 많을수록 5변수 Wakeby가 제일 많이 선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umbel, GEV, generalized logistic 분포형의 경우는 대체로 자료의 수가 많아질수록 선정되는 빈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udy on Appropriateness of a Remote Facility for Discharge Measurement in Small Stream by 3-Dimensional Flow Analysis (3차원 흐름해석을 통한 소하천 원격유량측정시설의 적정성 연구)

  • Kim, Jong-Chan;Hong, Kee-Hoon;Ko, Jae-Min;Kim, Chi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457-461
    • /
    • 2010
  • 소하천에서의 효율적인 유량측정 수행을 위해서 K-water(한국수자원공사) 충청지역본부에서는 금강유역의 보청천 지류인 곰쟁이천에 원격유량측정시설 개념의 위어(weir)를 이용한 고정단면 시설물을 2006년도에 설치하였으며,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시설물 직하류에서 도섭을 통한 유량측정을 실시하였고 3차원 흐름해석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소하천 원격유량측정시설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총 55회의 유량측정 성과를 이용하여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을 산정하였으며, FLOW-3D를 이용하여 3차원 흐름해석을 실시하였다. Francis 유량산정 공식인 Q=$1.84bH^{3/2}$을 통해 계산되는 수위별 유량, 유량측정 성과에 의한 수위-유량 관계곡선식, 그리고 FLOW-3D로부터 계산된 수위별 유량을 비교하였으며, 실측유량과 계산된 유량의 차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이러한 비교 검토를 통해 소유량 구간에 대해서는 원격유량측정시설의 적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갈수시 미소유량이 흐르는 소하천에 위치한 지점에 대해서는 인력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도섭을 통한 직접 유량측정 수행보다는 검증된 유량측정시설(위어, 파샬플룸 등)을 통한 유량측정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IS 송수신 정보의 활용도 조사에 관한 연구

  • Choe, Un-Gyu;Kim, Bu-Yeong;Jeong, Cha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8-50
    • /
    • 2013
  • 해상에서의 선박충돌사고 예방에 대한 연구가 IMO를 중심으로 꾸준히 지속되어 왔다. 이러한 항해장비 중에서 AIS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AIS 장비를 통하여 전송되는 정보에는 정적 정보와 동적 정보 및 항해 관련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정적 정보에는 MMSI, 선명, 호출부호, IMO번호, 선박길이 및 선폭, 선종 등 선박이 이동해도 변하지 않는 정보로 구성되고, 동적 정보에는 선박의 위치, 시간, 대지침로, 대지속력, 선수방위, 항행상태, ROT(Rate of Turn) 등 선박이 이동함에 따라 변화하는 정보로 구성된다. 그리고 항해 관련 정보에는 흘수, 위험화물, 목적지, ETA 등이 해당된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들에 대한 활용도의 우선순위 및 정보의 적정성 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조사된 것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AIS 장비의 실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AIS 송수신 정보들에 대한 활용도의 우선순위 및 정보의 적정성 등에 대해 검토해보고 필요시 개선 필요성을 제시하며 아울러 AIS 장비의 개선점도 검토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