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저해

검색결과 8,392건 처리시간 0.038초

Streptomyces 속 균주가 생성하는 Trypsin Inhibitor (제2보) 저해물질의 생물학적 작용상 (Trypsin Inhibitor from Streptomyces sp. (Part 2) Biological Activities or the Inhibitor)

  • Yi, Dong-Heui;Seu, Jung-Hw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83-288
    • /
    • 1982
  • Streptomyces속 균이 생산하는 trypsin inhibitor의 trypsin에 대한 반응성을 조사해 본 결과 본 저해물질은 crystalline trypsin (20.000 unit, hog pancreas)에 대하여 1/8량에서 약 50%의 저해률을 나타내었으며 trypsin에 대한 저해양상은 mixed noncompetitive-competitive inhibition type이었으며 enzyme-inhibitor complex를 빨리 형성하는데 반응액중 isoleucine이 공존하면 활성이 증가되였으며 Ag$_{+}$ Hg$_{++}$등의 금속ion은 강하게 본 저해물질의 작용을 억제하였다. 저해률은 사용한 기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나서 albumin을 사용하였을 때는 casein이나 hemoglobin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저해률이 높았다. 그러고 혈액의 응고에 대해서도 저해작용을 나타내었다.

  • PDF

$N^1$-Alkylnicotinamide Chloride 유도체에 의한 탈수소 효소의 불활성화에 관한 연구 (Inactivation Study of Pyridine-Linked Dehydrogenases by $N^1$-Alkylnicotinamide Chlorides)

  • 김수자;이현재
    • 대한화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06-416
    • /
    • 1976
  • Pyridine관여 탈수소 효소는 $N^1$-alkylnicotinamide chloride 유도체에 의하여 저해 작용을 받고 있는 바 저해제이 농도 변화에 따른 효소 저해작용이 가역 또는 비가역 불활성화 반응에 기인하는지의 여부를 밝혀 보기 위하여 토끼 근육으로 부터 유리한 L-${\alpha}$-glycerophosphate dehydrogenase를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이 효소의 저해작용은 상용한 저해제 유도체의 농도가 희박했을 경우 가역적인 효소저해 반응을 보여주고 있으나 저해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비가역적인 효소 불활성화로서 나타남을 알았으며 이러한 비가역 불활성화 반응은 저해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micelle 구조의 미세분자와의 결합에 의한 효소의 변성에 기인할 것이라고 결론을 얻었다.

  • PDF

계피(Cinnamomum cassia Presl) 추출물과 cinnamaldehyde의 alcohol dehydrogenase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cinnamon (Cinnamomum cassia Presl) extract and cinnamaldehyde on alcohol dehydrogenase)

  • 도재호;인만진;김동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3호
    • /
    • pp.183-187
    • /
    • 2022
  • 계피(Cinnamomum cassia Presl)의 열수 추출물은 alcohol dehydrogenase (ADH)의 활성을 저해하였고 IC50값은 45.6 ㎍/mL이었다. 계피 추출물의 ADH 저해 성분은 산과 열에 비교적 안정하였으나 휘발성을 가진 물질로 나타났다. 계피에서 ADH 저해 물질의 추출을 위한 최적 온도와 시간은 각각 80 ℃와 2시간이었다. 계피의 정유 성분 중 cinnamaldehyde가 ADH 저해의 주된 물질이었다. Cinnamaldehyde는 기질인 에탄올에 대해 ADH 활성의 경쟁적 저해제로 여겨진다. 따라서 계피 열수 추출물과 cinnamaldehyde는 ADH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숙취해소 천연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용매별 감잎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s of the Solvent Fractions from Persimmon Leaves on Xanthine Oxidise Activity)

  • 문숙희;이민경;채기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0-125
    • /
    • 2001
  • 시중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고 즐겨 마시는 차로 이용이 되고 있는 감잎을 시료로 택하여 메탄올로 추출한 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등으로 각각 분획하여 xanthine oxidase에 대한 저해 효과를 살펴보았다.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시료 2.0mg/ml 첨가 시 78%의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반응시간에 따른 저해효과를 살펴본 결과 반응시간 1분에 가장 급속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시간이 증가할수록 효소 저해율의 증가는 완만하였다. 한편 각 용매별 획분에서도 마찬가지로 농도가 증가할수록 xanthine oxidase에 대한 저해효과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획분에서는 2.0mg/ml 첨가시 87%의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어 xanthine oxidase에 대해 저해 효과가 가장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각 용매별 획분에 대하여 반응 시간별로 잔존하는 xanthine oxidase의 활성도는 에틸아세테이트 획분과 헥산 획분에서 가장 낮은 반면 물 획분에서 가장 높았으며, 각 획분 모두 반응시간 1분 안에 xanthine oxidase의 활성도가 급격히 감소되었고 그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는 다소 완만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 PDF

매실의 항미생물 활성 연구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runus mume)

  • 임재웅;이규봉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42-451
    • /
    • 1999
  • 본 연구는 매실을 천연 항균물질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색하였다. 먼저 매실을 물과 methanol로 추출한 extracts를 paper disc법으로 항균활성을 확인한 후 MeOH extract를 용매별로 분획한 각각의 fractions으로 paper disc법과 그 결과를 토대로 활성이 높은 fractions을 비탁법을 이용하여 농도별로 액체 배지상에서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변패균인 M leteus는 매실의 EtOAc 획분과 BuOH 획분에 의해서 저해되었고 또한 $H_2O$ 획분과 CHCㅣ$_3$ 획분도 저해활성을 보였다. 한편 저해농도 시템에서는 BuOH 획분 100ppm 첨가 시 전혀 생육을 하지 못했다. 매실의 EtOAc 획분과 BuOH 획분은 B. cereus, B. subtilis와 S. epidrimidis에 대해서 강한 저해 활성을 보였다. 저해농도 시험에서는 B. cereus는 BuOH 획분 100ppm, cB. subtilis는 EtOAc 획분 100ppm, S. epidrimidis는 EtOAc 획분 100ppm에서 생육을 하지 못했다. G(-)세균은 매실성분에 의해서 저해를 받지만 G(+)세균에 비하여 저항성이 켰다. E. coli는 EtOAc 획분 500ppm에서 미약한 生育을 하였으며 S. typhimurium는 EtOAc 획분, BuOH 획분 모두 1,000ppm에서 생육을 전혀 하지 못했으며 P. vulgaris는 BuOH 획분 100ppm, V. parahaemolyticus는 BuOH 획분, EtOAc 획분 100ppm에서 전혀 생육을 하지 못하는 결과를 얻었다. 한편, 효모중 S. cerevisiae IF01950은 EtOAc 획분 500ppm에서 50%의 저해를 받았으며 S. cerevisiae ATCC4105는 1,000ppm의 EtOAc fr. 에서 50%의 저해를 하였다. 항곰팡이 실험에서는 A. niger에서만이 아주 미약한 저해를 보였다.

  • PDF

매실의 항미생물 활성 연구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runus Mume)

  • 임재웅;이규봉
    • 한국조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리학회 2001년도 하계정기학술세미나
    • /
    • pp.29-41
    • /
    • 2001
  • 본 연구는 매실을 천연 항균물질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색하였다. 먼저 매실을 물과 methanol로 추출 한 extracts를 paper disc법으로 항균활성을 확인한 후 MeOH extract를 용매별로 분획한 각각의 fractions으로 paper disc법과 그 결과를 토대로 활성이 높은 fractions을 비탁법을 이용하여 농도별로 액체 배지 상에서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변패균인 M. leteus는 매실의 EtOAc 획분과 BuOH 획분에 의해서 저해 되었고 또한 $H_2O$ 획분과 CHCl$_3$ 획분도 저해활성을 보였다. 한편 저해농도 시험에서는 BuOH 획분 100ppm 첨가 시 전혀 생육을 하지 못했다. 매실의 EtOAc 획분과 BuOH 획분은 B. cereus, B. subtilis와 S. epidrimidis에 대해서 강한 저해 활성을 보였다. 저해농도 시험에서는 B. cereus는 BuOH 획분 100ppm, B. subtilis는 EtOAc 획분 100ppm, S. epidrimidis는 EtOAc 획분 100ppm에서생육을 하지 못했다. G(-)세균은 매실성분에 의해서 저해를 받지만 G(+)세균에 비하여 저항성이 컸다. E. coli는 EtOAc 획분 500ppm에서 미약한 생육을 하엿으며 S. typhimurium는EtOAC 획분, BuOH 획분 모두 1,000ppm에서 생육을 전혀 하지 못했으며 P. vulgaris는 BuOH 획분 100ppm, V. parahaemolyticus는 BuOH 획분, EtOAc 획분 100ppm에서 전혀 생육을 하지 못하는 결과를 얻었다 한편, 효모중 S. cerevisiae IF1950은 EtOAc 획분 500ppm에서 50%의 저해를 받았으며 S. cerevisiae ATCC4105는 1,000pm의 EtOAc fr. 에서 50%의 저해를 하였다. 항곰팡이 실험에서는 A. niger에서만이 아주 미약한 저해를 보였다.

  • PDF

미나리발효액이 장내 유해세균 및 유익균의 In Vitro 생육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 of Fermented Dropwort on Intestinal Bacteria and Enzymes In Vitro)

  • 이경애;김무성;조홍범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58-361
    • /
    • 2008
  • 미나리(Oenanthe stolonifera) 발효액이 장내 병원성 미생물과 유익균의 생육, 그리고 장내 세균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 에서 조사하였다. 고상 배지 (Agar plate) 에서의 clear zone 형성에 의한 생육저해를 측정한 결과, Vibro, Salmonella 등의 유해 미생물에 대해서 강한 생육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Bifidobacterium longum 에 대해서는 생육저해 효과가 크지 않았다. 액체배지에서의 최소저해농도(MIC) 측정에서도 고장배지에서와 같은 경향을 보여 상대적으로 B. longum 에 대한 생육저해가 가장 적었다. 발효 기간에 따른 영향을 보면 발효 기간이 길수록 적은 양으로도 유해한 균들의 생육을 잘 저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내 세균 효소인 ${\beta}$-glucuronidase와 tryptophanase의 활성에 대해 미나리 발효액은 발효하지 않은 액에 비해 저해효과가 컸으며 발효기간이 길수록 저해효과도 증가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서 미나리 발효액은 유해세균에 대한 생육저해능이 크고 상대적으로 유익균인 B. longum에 대한 저해는 적어, 음용 시 정장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토마토 뿌리조직에서 분리한 마이크로솜의 $Ca^{2+}$ 흡수 특성 (Characterization of Microsomal $Ca^{2+}$ Uptake in Tomato Root Tissues)

  • 조광현;김영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116-122
    • /
    • 1999
  • 식물세포의 세포질 $Ca^{2+}$ 이동과 관련된 $Ca^{2+}$ 수송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토마토 뿌리조직으로부터 마이크로솜을 분리하고, $^{45}Ca^{2+}$ 흡수 실험을 수행하였다. 반응용액에 P-type ATPase의 선택적 저해제인 1 mM vanadate와 액포막 $H^+-ATPase$의 선택적 저해제인 50 mM $NO_3^-$를 첨가하였을 때, $^{45}Ca^{2+}$ 흡수는 각각 20%와 33%가 저해되었고, 두 가지 저해제를 동시에 첨가하였을 때, 약 47%가 저해되었다. 이러한 저해효과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protonophore인 gramicidin을 처리하여 막을 경계로 형성된 $H^{+}$의 농도기울기를 감소시켰을 때, $^{45}Ca^{2+}$ 흡수는 30% 가량 저해되어, 토마토 뿌리조직 마이크로솜에 $Ca^{2+}/H^+$ antiporter가 존재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Gramicidin의 저해효과는 vanadate에 의한 $^{45}Ca^{2+}$ 흡수 저해 이후에도 대조실험과 같은 정도로 얻어져 vanadate의 저해효과와는 무관한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NO_3^-$를 처리하여 $^{45}Ca^{2+}$ 흡수를 저해시킨 후, gramicidin에 의한 추가저해는 거의 관측되지 않았다. 한편, 동물조직 ER/SR-type $Ca^{2+}-ATPase$의 선택적 저해제인 thapsigargin은 마이크로솜 $^{45}Ca^{2+}$ 흡수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10\;{\mu}M$ 농도에서 최대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Thapsigargin에 의한 저해효과는 $NO_3^-$를 사용하여 액포막 $H^{+}-ATPase$ 활성을 저해하였을 때와 gramicidin을 사용하였을 때,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 vanadate의 효과와는 무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vanadate가 직접적으로 $Ca^{2+}-ATPase$를 저해하며, $NO_3^-$와 thapsigargin은 액포막에 위치한 $H^{+}-ATPase$의 활성을 저해하여 간접적으로 $Ca^{2+}/H^+$ antiporter를 저해함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토마토 뿌리조직에 $Ca^{2+}$ 이동을 유발하는 주요 효소로서 $Ca^{2+}-ATPase$와 액포막 $Ca^{2+}/H^+$ antiporter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 PDF

마늘의 가공 조리방법에 따른 Lipoxygenase활성도 저해효과 -마늘 추출액이 Lipoxygenase 활성도 저해에 미치는 영향- (Inhibition of Lipoxygenase Activity by the Extract of Various Processed Garlic - Inhibitory Effect of Garlic Extracts on Soybean Lipoxygenase Activity -)

  • Kim, Mee-Ree;Mo, Eun-Kyung;Kim, Seong-Hee;Sok, Dai-Eun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80-285
    • /
    • 1993
  • 동물체내에서 천식, 염증, 혈소판 응고 등에 관련된 매개체를 생성시키는 효소인 lipoxygenase작용기 전과 유사한 대두 lipoxygenase (Type IV)를 사용하여 생마늘의 수용액, 에탄올, 클로로포름 추출분획에 의한 lipoxygenase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효소를 클로로포름 추출 분획과 10분 preincuba-tion시킨 후의 효소 저해 양상은 비가역적 저해(1$_{50}$값, 55mg/$m\ell$)이었으며, 수용액 추출 분획의 경우는 주로 가역적 저해 양상(1$_{50}$값, 65mg/$m\ell$)을 나타내었다. 한편, diallyldisulfide와 dimethyldisulfide의 1$_{50}$값은 각각 1.3mM, 18mM 이었으며 이들은 가역적, 비가역적 저해 현상을 모두 나타내었다. 합성품 alliin은 비교적 높은 농도(10mM농도에서 22%저해)에서 저해하였으며, alliin의 분해산물은 비가역적 저해 양상을 나타낸 반면에, S-ethylcysteine sulfoxide는 효소를 거의 저해하지 않았다. 따라서 다진 마늘 속에는 가역적 저해제가 주로 함유되어 있고, 소량(25~30%)의 비가역적 저해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사료되었다.

  • PDF

음이온에 의한 토마토 뿌리조직 마이크로솜 $H^+-ATPase$ 활성 저해 (Inhibition of Microsomal $H^+\;-\;ATPase$ Prepared from Tomato Roots by Various Anions)

  • 신대섭;김영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67-72
    • /
    • 2001
  • 식물 뿌리세포의 원형질막 및 액포막에 위치하는 $H^+-ATPase$들은 세포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H^+-ATPase$의 생리활성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토마토 뿌리조직으로부터 마이크로솜을 분리하고, $H^+-ATPase$의 활성에 미치는 음이온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다양한 종류의 음이온들이 $H^+-ATPase$의 활성을 저해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중 특히 효소의 저해정도가 다른 citrate와 인산을 선택하여 작용특성을 조사하였다. Citrate에 의한 ATPase활성저해는 3 mM 이상에서 나타났고, 20 mM citrate는 활성을 50-60% 저해하였다. 그러나, citrate의 저해효과는 $Mg^{2+}$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감소하여, citrate에 의해 저해된 ATPase 활성은 $Mg^{2+}$에 의해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7 mM $Mg^{2+}$을 첨가하였을 때, citrate에 의한 활성저해는 관측되지 않았고 ATPase활성은 대조활성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citrate는 Mg^{2+}을 chelation함으로써$H^+-ATPase$의 활성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인산에 의한 ATPase활성저해는 3 mM 이상의 농도에서 나타났고, 30 mM 인산은 ATPase의 활성을 50% 저해하였다. 인산에 의해서 저해된 ATPase의 활성은 $Mg^{2+}$니 농도증가에 의해 회복되지 않아, 인산에 의한 저해효과는 $Mg^{2+}$과 무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