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저해효과

검색결과 3,430건 처리시간 0.029초

인간 표피 멜라닌 세포에서의 단삼 추출물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Whitening Effect of Salvia miltorrhiza Bunge Water Extract in Human Epidermal Melanocyte)

  • 박태순;김동희;손준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4호
    • /
    • pp.333-33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단삼 열수 추출물의 human epidermal melanocye (HEM) 세포에서의 미백활성을 측정하였다. 버섯유래의 tyrosinase 저해능 측정결과 $1,000{\mu}g/mL$의 농도에서 42%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HEM 세포내의 tyrosinase, 멜라닌 생합성 저해능은 $5{\mu}g/mL$에서 26, 25%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단삼 추출물의 미백과 관련된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 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 2 (TRP-2),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의 단백질 및 유전자 양이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또한 그 상위 단계인 cAMP 발현이 $5{\mu}g/mL$ 농도에서 41%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단삼 추출물이 cAMP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이를 통해 tyrosinase 활성뿐만 아니라 TRP-1, TRP-2 그리고 MITF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여 기능성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Synergistic Effect of Bacteriophage and Antibiotic against Antibiotic-Resistant Salmonella Typhimurium

  • Petsong, Kantiya;Vongkamjan, Kitiya;Ahn, Juhee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89-194
    • /
    • 2020
  • 본 연구는 항생제 내성 Salmonella Typhimurium CCARM 8009을 저해하기 위한 phage와 항생제 조합처리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디스크 확산법과 액체배지 희석법에 의해 phage와 항생제의 상승 저해효과를 측정하였고 배양을 통한 항생제 내성 유도를 평가하였다. Phage를 처리한 cefotaxime, chloramphenicol, ciprofloxacin, erythromycin의 디스크의 저해 구역은 각각 13.6%, 19.3%, 12.7%, 78.8%로 증가되었다. Phage와 항생제 조합 처리에 의해 tetracycline, chloramphenicol, ciprofloxacin, erythromycin, streptomycin의 최소생육억제농도는 각각 64, 4, 0.0078, 64, 256 mg/mL으로 감소되었다. Phage와 항생제의 조합 처리는 항생제 내성 S. Typhimurium CCARM 8009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4 log reduction). 본 결과는 phage와 항생제의 조합처리는 항생제 내성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충분히 응용가치가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약용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성과 알코올 탈수소효소 저해성 연구 (Activities of Antioxidation and Alcohol Dehydrogenase Inhibition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 문지숙;김선재;박윤미;황인식;김의형;박정욱;박인배;김상욱;강성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01-206
    • /
    • 2004
  • 32종의 생약재를 메탄올로 추출한 후 진공 건조한 후 각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 및 알코올 대사와 관련된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법으로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정향, 녹차, 목단, 적양은 90% 이상의 소거활성을 보이고, 부위별로 살펴보면 줄기껍질> 잎 > 열매 > 뿌리 순으로 활성이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천초, 적양, 녹차, 지구자목, 팔각향 등이 우수한 소거활성을 보였고, 이 또한 부위별로는 줄기껍질이나 잎에서의 활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여러 생약재 중 줄기껍질이나 잎에 존재하는 페놀성 화합물이나 flavonoids류가 이와 같은 기능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간주된다. ADH 활성 측정은 일반적으로 숙취현상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생약재 13종을 사용하여 알코올 탈수소효소 저해를 측정한 결과 13종의 생약재 모두 90% 이상의 강한 저해효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free radical 소거능이나 아질산염 소거능이 우수한 몇몇 생약재, 즉 녹차, 적양 등은 알코올의 대사와 관련하여 알코올의 대사과정 중 ADH의 활성을 저해하므로써 간 보호 효과와 숙취현상 억제에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해삼 당단백질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식이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Dietary Effect of Glycoprotein from Sea Cucumber(Stichopus japonicus))

  • 류홍수;문정혜;유병진;문수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40-248
    • /
    • 1996
  • 육상생물에 비해 활성물질의 급원으로서 이용율이 낮은 해양생물자원인 해삼(홍삼, 청삼 및 흑삼)에서 당단백질을 추출하여 그 화학성분의 조성을 규명하고 이들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식이효과를 실험하였다. 일반 성분의 함량은 종류에 따라 큰 차이가 없으며, 특히 점질다당체의 주성분인 chondrotin sulfate의 함량이 2.6~3.2%를 함유하고 있다. 동결건조해삼분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의 유화성과 유화안정성은 동결건조해삼분말 보다 각각 56~77%, 33~71%로 증가하였다. 당단백질은 보수력을 측정하기에 곤란할 정도로 증류수에서의 용해도가 높았으며, 동결건조해삼분말의 보수력은 913.4%(홍삼), 673.5%(청삼) 및 870.4%(흑삼)로 나타났다. 점도는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당단백질의 점도가 제일 높았으며 청삼과 흑삼은 유사하였다. 해삼에서 분리한 당단백질의 구성아미노산은 홍삼이 청삼 및 흑삼에 비해서 전체 단백질에 차지하는 구성아미노산의 비율이 높은 편이었으며(홍삼 96%, 청삼 91.6% 및 흑삼 88.2%), 각 당단백질의 Asx와 Glx는 모두 10%이상을 차지하였고, 특히 histidine이 2% 이하의 낮은 결과를 보였다. 동결건조분말에 비해 당단백질의 valine, phenylalanine 및 lysine의 함량은 모두 약 2배 증가하였는데 비해 glycine은 약 60~70%, Arg은 약 40% 감소하였다. 동결조건해삼분말 중 청삼과 여기서 추출한 당단백질을 몇종의 단백질 식품(casein, 분유, 콩단백추출 및 오징어)에 여러 가지 비율로 첨가시켜 소화율의 저해효과를 보았을 때 casein, 분유, 콩단백질추출물의 소화율이 3.5~6%와 4.5~11.4%의 저해효과를 보았으나 오징어 단백질에 대해서는 모두 큰 저해효과가 없었다.

  • PDF

무농약·유기재배 사과원에서 교미교란제를 이용한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의 방제 (Management of Grapholita molesta and Carposina sasakii Using Mating Disruption in Non-Chemical or Organic Apple Orchards)

  • 이선영;최경희;도윤수;이순원;윤창만;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03-110
    • /
    • 2014
  •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의 방제를 위해 교미교란제 MD-IKR (Isomate-KR)과 MD-CR (Confuser-R)의 효과를 무농약 유기재배 사과원에서 평가하였고 관행방제 사과원과 비교하였다. 2011년 칠곡지역의 복숭아순나방에 대한 두 종의 교미교란제에 대한 교미저해율은 99.8%였고, 상대적으로 청송지역의 교미저해율이 각각 99.8과 92.8%로 칠곡지역과 차이가 있었다. 2012년 칠곡지역의 교미저해율은 각각 92.4와 96.7%였다. 청송지역에서 교미저해율은 99.6%로 가장 높은 교미저해율을 보였다. 2011년 2012년의 복숭아심식나방에 대한 교미저해율은 두 교미교란제 모두 100%로 높게 나타났다. 두 교미교란제는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이 방제효과에 대하여 무방제구 대비 방제효과가 월등하였고, 관행방제와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 없이 방제효과가 대등하였다. 두 종의 교미교란제와 관행재배구의 새순과 과실피해율은 무방제구 대비 유의성있는 방제효과를 보였다. 두 종의 교미교란제 간에는 효력의 차이가 없어 MD-IKR이 MD-CR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추출복합발효물(MP119)이 성기능에 미치는 영향 및 카드뮴 독성에 대한 효과 (Effect of Phyto-Extract Fermented Mixture (MP119) on the Sexual Functions and on the Toxicities of Cadmium)

  • 장영선;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724-1731
    • /
    • 2009
  • 마카, 홍삼, 남가새 추출물을 일정한 무게 비율로 혼합하여 발효시켜 얻어진 식물추출복합발효물(MP119)이 성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과 PDE(phosphodiesterase)에 대한 저해효과를 통해 혈액순환부진 개선 및 cGMP 농도에 의한 발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MP119의 AC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IC_{50}$값이 241.3${\pm}$35.5 ppm, PD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IC_{50}$값이 372.2${\pm}$33.8 ppm으로 나타나 혈관확장으로 인한 혈류량 증가 및 cGMP농도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MP119는 마우스 정소세포인 TM3 cell에 유의성 있는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TM3 cell에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 세포배양액으로부터 대조군과 비교하여 최대 20.11% 증가한 testosterone 농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HUVEC에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 NO생산량이 MP119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웅성마우스에 MP119를 7일간 경구투여 후 생식장기의 무게와 정자수를 측정하고, MP119를 경구투여한 후 염화카드뮴을 투여하여 생식장기의 무게와 정자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쥐로부터 혈청을 분리하여 혈청 내 testosterone과 cGMP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MP119의 투여를 통해 생식장기의 무게 변화 없이 정자수 증가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더불어 혈청 내 testosterone 및 cGMP의 농도 역시 증가하였다. MP119를 투여한 후 염화카드뮴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역시 정자수 및 혈청 내 testosterone, cGMP 농도 증가를 나타내었으므로 결과적으로 MP119가 염화카드뮴의 독성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LPS로 유도된 염증 상태 내에서 MAPKs 세포신호 전달체계를 저해하는 올방개의 항염증 효과 (Eleocharis kuroguwai Ohwi Ameliorates LPS-mediated Inflammation by Suppressing MAPKs Signaling)

  • 김강훈;배은영;임현구;김미희;오태석;이승웅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76-482
    • /
    • 2020
  • 벼 농사에서 마릅으로 불리는 올방개는 문제의 잡초 종류 중 하나로서 제초 작용의 대상이다. 하지만, 올방개는 임상적으로 황달, 해열 및 통경을 위한 전통 의학에 쓰여왔다. 올방개는 오랫동안 임상적으로 사용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분자생물학 기반의 생물학적 효과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때문에, 본 연구진은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 내에서 올방개 추출물 처리에 의한 NO 생산량을 스크리닝 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조사했다. 가장 효과적인 항염증 fraction을 찾기 위해, 본 연구진은 HP20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5 종류의 EtOH sub-fraction을 동정하였다; 20%, 40%, 60%, 80%, 및 100% EtOH. 동정한 sub-fraction 중에서, 60%와 80% 성분에서 가장 유의성 있는 NO 생산의 저해를 나타냈으며, 세포독성 효과도 나타내지 않는 결과를 나타냈다. 추가적으로 80% sub-fraction은 유의성 있는 iNOS 저해와 전염증성 매개체의 mRNA; IL-6, TNF-α, 그리고 IL-1β를 저해하였으며, 이 결과는 MAPKs 세포신호전달과 관련 있는 JNK 및 ERK 단백질의 인산화 저해가 원인임을 밝혔다. 본 연구진의 결과는 올방개 추출물 80% sub-fraction EtOH가 항염증 활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성분 임을 밝혔으며, 이는 MAPKs 세포신호전달의 과 발현에 의한 염증성 질병의 치료제 후보 성분 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선학초 용매 분획물의 항노화 효과 (Anti-aging Effects of Solvent Fraction from Agrimonia pilosa L. Extracts)

  • 윤지영;이수연;전혜지;이진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1호
    • /
    • pp.35-39
    • /
    • 2012
  • 선학초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을 항산화 및 주름개선의 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생리활성을 검증하였다. 항산화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선학초 열수추출물(AW)과 에탄올추출물(AE) 모두 ethyl acetate층 1,000 ppm에서 각각 96.2, 92.3%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SOD 유사활성능을 측정한 결과 AW의 ethyl acetate층에서 61.8%의 활성을 AE의 $n$-butyl alcohol 층에서 58.0%의 높은 활성을 각각 나타내었다. 또한 xanthine oxidase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AW와 AE에서 모두 ethyl acetate층 1,000 ppm일 때, 각각 84.9, 92.5%의 가장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주름개선 효능 확인을 위해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이 또한 AW와 AE 모두에서 ethyl acetate층이 각각 55.2, 70.1%의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AW의 ethyl acetate층이 90.6%로 가장 높은 저해율을, AE는 88.6%로 $n$-butyl alcohol 층이 가장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선학초의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이 in vitro상에서 항산화 및 주름개선의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lowers of Angelica gigas Nakai)

  • 박유화;임상현;김희연;박민희;이광재;김경희;김영국;안영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1079-108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꽃 부위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암세포 억제 효과, 항당뇨 활성, 항비만 활성, 항염 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항산화 활성 검정을 위해 참당귀 꽃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DPPH radical scavenging을 측정한 결과 $IC_{50}$ 값이 각각 3,535, 105.0 ${\mu}g/mL$로 나타났으며, 대조구로 쓰인 ascorbic acid는 12.7 ${\mu}g/mL$을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48.43${\pm}$0.18 mg/g)이 물 추출물(39.03${\pm}$0.69 mg/g)보다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에탄올 추출물(67.02${\pm}$4.38 mg/g)이 물 추출물(50.32${\pm}$1.24 mg/g)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항당뇨 활성을 위해 ${\alpha}$-glucosidase와 ${\alpha}$-amyl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참당귀 꽃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acarbose 대비 약 34.45%의 낮은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alpha}$-amylase 활성 저해 효과는 에탄올 추출물이 acarbose 대비 23.62%의 낮은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Pancreatic lip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참당귀 꽃 물 추출물은 16.76%의 낮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암 및 항염 활성 측정 결과 모두 활성이 없거나 낮은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 참당귀 꽃 추출물은 항산화 관련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치자 열매 추출물의 Tyrosinase 효소활성 저해 및 Melanogenesis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Gardenia Fruit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 곽정훈;김용해;장해룡;박철우;한영환
    • KSBB Journal
    • /
    • 제19권6호
    • /
    • pp.437-440
    • /
    • 2004
  • 치자 열매 추출물로부터 미백제 개발을 위해 항산화, 항균, 항암 등 생리활성을 가지는 치자로부터 tyrosinase 효소활성 저해와 B16F10 melanoma cell을 이용한 melanogenesis 억제 효과를 실험하였다. Tyrosine을 기질로 사용하여 ethanol,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용매 및 증류수 추출물에 대한 tyrosinase 효소 저해활성을 실험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 ($81.5{\pm}1.6\%$)이 증류수 추출물 ($62.7{\pm}0.4\%$)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의 tyrosinase 효소활성 저해율은 다른 유기용매 분획물보다 현저히 우수한 $99.7{\pm}0.1\%$나타내었으며, 현재 tyrosinase 저해제로 개발된 arbutin ($97.8{\pm}1.2\%$)과 유사한 저해활성을 보였다. B16F10 melanoma cell을 이용한 melanogenesis 억제 효과에서도 에탄올 추출물이 증류수 추출물보다 우수한 억제활성을 보여 주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을 사용하였을 경우, melanogenesis 억제 효과가 다른 분획물보다 현저히 우수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는 치자 추출물의 미백원료로서 사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