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진동

Search Result 48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echnology for Initial Design and Analysis of Vehicle Pillar Structures for Vibration (저진동 차체의 필라 설계 및 최적화 기법)

  • 임홍재;이상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10a
    • /
    • pp.99-104
    • /
    • 1994
  • 초기설계뿐만 아니라 차량개발단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차체구조의 설계변경을 검토할 수 있고 최적화 할 수 있는 차체의 필라구조설계기술의 확립은 저진동 차체설계시 필수적이다. 특히 차량개발기간동안에 언제나 나타날 수 있는 진동문제를 빠른 시간 내에 해결하기 위해서는 차체 구조물의 어떤 부위의 어떤 설계변수를 적절히 변경하여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저진동 차체의 초기 설계에 적용해 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변형 에너지법, 설계민감도해석법, 최적화설계법 등에 대하여 소개하고 각 방법들의 사용시 유의할 점을 밝혀 보았다. 이런 방법들은 새로운 소프트웨어의 도입이 없어도 현재 국내 자동차회사에서 차체의 응력해석 및 진동해석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그대로 이용하여 설계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 PDF

Analysis of Noise Characteristics of a Hair Dryer (헤어드라이기의 소음특성해석)

  • 우재학;박정석;박득용;오상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04a
    • /
    • pp.11-15
    • /
    • 1994
  • 헤어드라이기, 자동차용 진공청소기, 면도기, 쥬서/믹서기등과 같은 소형 가 전제품은 사용시, 제품과 소비자사이의 거리가 짧아 진동/소음에 관한 인식이 대형 가전제품에 비해 크다. 과거에는 가전제품의 경우, 기본성능 및 각 회사만이 갖고 있는 독자적인 성능과 디자인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소음/진동에 관한 문제는 제품이 제작된 후에 필요에 따라 고려되었기 때문에 주어진 조건하에서 저진동/저소음을 위한 대책에는 한계가 있었다. 근래에는 진동/소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제품의 설계단계부터 저진동/저소음 제품을 설계하기 위한 노력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추세의 한 예로서 헤어드라이기에 대해 결정된 디자인 및 성능이 크게 변경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진동/소음이 적은 구조를 설계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헤어드라이기의 소음원 및 특성을 간단히 규명한 뒤, 벨마우스(bellmouth) 이용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소음저감법을 소음원에 대해 적용하였다. 헤어드라이기의 경우 소음원이 몸체에 삽입되는 순간 특정 주파수대역에서 소음이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헤어드라이기의 몸체에 대한 음향학적 특성을 수치해석 및 실험을 통해 파악함으로써 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몇가지의 변경된 구조에 대해 소음에 관련된 현상을 고찰해 봄으로써 저소음을 위한 헤어드라이기의 설계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Low Vibration Design of Paddle Type Composite Rotor Blade for Helicopter (Paddle형 복합재료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 저진동 설계 기술 연구)

  • Kim, Deok Gwan;Ju, Jin;Lee, Myeong Gyu;Hong, Dan B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1 no.4
    • /
    • pp.99-104
    • /
    • 2003
  • This paper described the general dynamic point for rotor design and the design procedure of low vibration blade. Generally, rotor rotating natural frequencies are determined to minimize hub loads, blade vibration and to suppress ground resonance at rotor design stage. First, through rotor frequency diagram, natural frequencies must be far away from resonance point and rotating loads generated from blade can be transformed to non-rotating load to predict fuselage vibration. Vibration level was predicted at each forward flight condition by calculating cockpit's vertical acceleration transferred from non-rotating hub load assuming a fuselage as a rigid body. This design method is applied to design current Next-generation Rotor System Blade(NRSB) and will be applied to New Rotor which will be developed Further.

A Study on the Noise and Vibration Characteristics during Construction of Screw Concrete Pile for Reduction of Noise and Vibration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스크류콘크리트말뚝의 시공 중 소음과 진동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Dongchul;Choi, Yongkyu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4 no.9
    • /
    • pp.21-30
    • /
    • 2013
  • Because the noise and vibration regulations in domestic areas are being tightened more and more, a more environmentfriendly method than the current low-noise & low-vibration methods is needed.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crew concrete piles for reduction of noise and vibration were explained, and during pilot tests the noise and vibration were measured. The measured vibration value is satisfied with the vibration regulations at 7.5m distance from the source. The measured noise value is exceeded over about 2dB(A) at the 15.0m distance from the source but these values are about 5~20dB(A) less than the measured values of the current low-noise & low-vibration method.

저진동 차체 초기설계 및 해석기술 동향

  • 임홍재
    • Journal of KSNVE
    • /
    • v.3 no.1
    • /
    • pp.22-27
    • /
    • 1993
  • 이제까지 저진동 차체 설계에 관한 해석 및 설계기술에 대한 동향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앞에서도 밝혔듯이 최근들어 차동차의 차체를 최적화 설계기법을 이용 하여 수많은 경우의 수에 대한 설계개선을 시도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해졌다. 이와같은 최적화기법을 사용하여 설계과정이 전산화된다면 시험을 통해서만 가능하던 일련의 설계과정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해결함으로써 설계에 소요되는 시간 을 파격적으로 단축시키고 아울러 더 좋은 설계를 만들어 낼 기회를 그만큼 더 증대 시킬 것이다. 요즈음 선진국의 자동차업계에서는 초기 차체 설계과정의 속도가 더 빨라지고 설계에 소요되는 시간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자동차 설계가 점점 더 복잡하여져서 엔지니어가 설계를 최적화하기 위헤서는 어떤 단계가 필요한지를 알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이제는 설계를 평가하는데 걸리는 시간보다는 설계 과정을 통제 및 관리하여 그 설계를 어떻게 잘 개선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엔지니어 의 능력을 평가하는 데 더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 여기에서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최근 들어와서 플라스틱, 알루미늄, 복합재 등 여러가지의 신소재들을 차체의 재료 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검토되고 있거나 이미 실용화 단계에 와 있는 것도 있다. 이러한 신소재를 사용하여 저진동 차체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제작 및 가공기술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앞에서 서술한 해석 및 설계기술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것은 두 말할 나위가 없겠다.

  • PDF

A Study on Vibration Analysis and Estimation of Vibration Damping of Tricone-Bits Drilling Machine (Tricone-Bits 천공장비의 진동 분석 및 진동 거리감쇠 추정에 관한 연구)

  • Cho, Seongkyu;Seo, Sung Chul;Park, Hyung K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4
    • /
    • pp.493-499
    • /
    • 2023
  •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machinery, low-vibration construction machine such as Tricone-Bits, which can drill both soil and rock layers and minimize vibration, is being used frequently. However,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prediction of vibration values for earth augers and pile drivers, the reality is that studies on the effects of vibration on low-vibration drilling equipment are lacking. In this paper, ground vibration values for Tricone-Bits were measured, and a vibration distance damping formula was proposed using this. In addition, after predicting the vibration of the earth auger and pile driver using the previously proposed vibration distance damping formula, the degree of vibration damping for the Tricone-Bits was evalua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it. As a result, the Tricone-Bits showed a vibration reduction effect of 97% and 93% compared to these machine and It will help with management and prediction of the ground vibration effects evaluation on the low-vibration equipment such as Tricone-Bits.

최근의 선박진동에 대한 소고

  • 박진화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2 no.4
    • /
    • pp.48-51
    • /
    • 1995
  • 본 고에서는 실제 선박의 진동 양상을 근간으로 하여 최근의 초대형 유조선 및 콘테이너 운반 선의 선박진동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고찰하여 보았다. 최근의 선박 진동 양상은 선박의 대형화와 고출력 및 고효율기관이 선박에 적용됨에 따라 프로펠러보다는 주기관에 의한 진동이 많이 발생 되므로 주기관으로 발생되는 종 기진력 및 선체에의 전달 메카니즘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선박 진동은 현재의 추진기관 시스템이 선박에 적용되는 한 피할 수 없는 문제 이고 또한 최근에 거주성 및 작업성 향상을 위한 저진동 선박에 대한 요구도 점차 높아지고 있 으므로 진동 관계자들은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 PDF

A Study on the Reduction of Vibration in Gear Driving System by Tooth Modification (치형수정에 따른 기어구동계의 진동저감에 관한 연구)

  • 신용호;류성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241-246
    • /
    • 1998
  • 기어는 동력을 전달, 전환하고 있는 기계요소로 회전비의 선택이 자유롭고 확실한 전달비를 가지고 있어 기계회전계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산업이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기계회 전계는 고속, 고부하, 정밀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기어구동계도 신뢰도, 정숙성, 효율향상, 내구성 등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진동과 소음의 발생으로 인해 기어구동계의 많은 성능을 저하시키고 있어 저진동, 저소음 기어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중략)

  • PDF

버스에어컨용 냉매압축기의 진보

  • 이원용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1 no.11
    • /
    • pp.29-30
    • /
    • 2002
  • 현재 버스 에어컨용 압축기의 주류는 왕복동 크랭크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저진동, 저소음, 장착성 등이 고객의 요구에 일치되었다고 할수 있지만, 버스실내의 쾌적성에 대한 만족 기준은 갈수록 향상되어 압축기의 능력 향상과 동시에 진동, 소음의 저감이 요구되고 자동차 업계에서는 연비 개선이 최대 관심사로 부각되어지고 특히, 소형화, 경량화가 강력히 진행될 수 밖에 없는 현실이 도래되고 있다. 따라서 압축기 ON-OFF가 연비 및 진동 소음에 크게 영향을 미침에 따라 이의 개선을 위한 W형 6실린더 압축기 탑재가 증가되는 추세라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