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전력 소비

Search Result 512, Processing Time 0.058 seconds

Automata-based Context Generation Model for the Determination of Indoor/Outdoor for Low-Power Consumption (저전력 소모를 위한 오토마타 기반의 실내/외 판단 컨텍스트 생성 모델)

  • Choi, Yong-hun;Choi, Ki-yong;Lee, J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482-485
    • /
    • 2013
  • 스마트폰에서 컨텍스트 생성에 관한 연구들과 저전력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 중이지만 컨텍스트 생성시에 사용되는 전력 소비 때문에 어플리케이션 개발 시에 컨텍스트를 이용하기가 어렵다. 컨텍스트를 생성하는 연구에서는 컨텍스트 생성 시에 필요한 전력에 대한 연구와 필요 이상의 전력 소비 발생에 관해서는 언급한 바가 적고 진행되어온 저전력 연구는 대부분 디스플레이와 AP 프로세서에 치우쳐 있어 저전력 컨텍스트 생성에 적용하기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컨텍스트 생성 시에 필요한 전력에 대한 측정과 컨텍스트 생성 시에 불필요한 전력 낭비가 일어나는지, 그리고 컨텍스트 생성 시 과다한 전력 소비가 일어났을 경우 효율성에 대해서 생각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컨텍스트 생성시에 전력 소비가 얼마나 일어나는지 측정하고, 컨텍스트 생성에 있어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일어나는지 측정한다. 이를 토대로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일어나는 부분에 적용할 저전력 기법을 제안한다.

Low Power CAD (저전력 CAD)

  • Park, Yeong-Su;Park, In-Ha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2 no.5 s.47
    • /
    • pp.95-106
    • /
    • 1997
  • 집적회로 설계에서 소비 전력은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중요한 설계 사양으로 전력 소비를 낮추기 위한 저전력 설계 기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저전력 설계 기술은 소비 전력에 대한 정확한 예측 기술과 예측된 결과를 이용한 최적화 기술로 나뉘어 진다. 이들 기술은 논리 수준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현재, 효과적인 예측과 최적화가 가능한 행위 및 아키텍처 수준의 상위 수준에서 저전력 설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저전력 설계를 위한 최적화 기술, CAD 환경, 그리고 툴에 대하여 살펴보고 상위수준합성 시스템인 HYPER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한다

A Method of Providing Virtualized Services for Set-Top Box with Low Power Mode (저전력 셋톱박스를 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방법)

  • Kwon, Eunjung;Jung, EuiSuk;Lee, Hyun-Woo;Lee,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412-413
    • /
    • 2016
  • 최근 그린IT가 주요 사업으로 급부상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전력 저감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멀티미디어서비스 발전에 따라 '국내 셋톱박스가 2,000만대 이상 보급되었으나 미사용 대기시간에도 상당한 양의 전력을 소비하여 국가 전력 수급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방송 서비스 사업자는 방송 콘텐츠의 활용성 증대, H/W교체 주기 연장 및 소비전력 저감 등의 이점으로 인하여 저전력 모드를 지원하는 셋톱박스에 가상화 서비스 제공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또한 모색하고 있다. 본 논문은 셋톱박스의 발전 방향이 하이브리드화, 고기능/복합화 함으로써 소비전력이 더욱 증가하고 있으므로 셋톱박스의 소비전력 저감을 보장하고,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고려사항과 에너지 효율성을 보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 Power­aware Retransmission Mechanism in Wireless TCP Networks (무선 TCP 환경에서 재전송 제어를 통한 저전력 전송기법)

  • 김태현;차호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367-369
    • /
    • 2003
  • 본 논문은 무선환경에서 TC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저전력 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TCP 프로토플은 재전송, 그리고 혼잡제어 등의 기능을 통해 효율적이고 신뢰성있는 통신을 지원한다. 이러한 특성은 망상태가 악화될 경우 이동기기에서 과다한 재전송 및 혼잡제어를 일으켜 이동기기의 전력소비를 증가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재전송 제어를 통해 이를 해결하고 제시된 기법이 기존의 프로토콜보다 전력 소비면에서 효율적임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밝힌다.

  • PDF

Low-Power Walking Compensation Method for Biped Robot Based on Consumption Energy Analysis (소비 에너지 분석을 통한 이족로봇의 저전력 보행 보정 기법)

  • Lee, Chang-Seok;Na, Doo-Young;Kim, Yong-T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0 no.6
    • /
    • pp.793-798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low-power walking compensation method for biped robot based on consumption energy analysis. Firstly, basic walking motions that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of robot movements are implemented based on consumption energy analysis according to robot axes. We define knee bent motion as a basic walking motion. It can improve energy consumption and motion stability by lowering center of gravity of the biped robot. We analyze consumption energy of left and right leg of the robot using motor currents and propose a compensation method of walking motions to reduce unbalance of consumption energy between left leg and right leg. It can also improve energy consumption and walking stability of the robot. The proposed low-power compensation method based on consumption energy analysis is verified by walking experiments of a small biped robot with an embedded system.

Low-Power Bus Driven Floorplan for Segmented Bus Design (버스 분할 설계를 위한 저전력 버스 기반 평면계획)

  • Yoo, Jae-Min;Rim, Chong-Su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3 no.10 s.352
    • /
    • pp.134-139
    • /
    • 2006
  •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Low-Power Bus Driven Floorplan(BDF) in which the bus power consumption is minimized by using a new cost function. The previously reported BDF has used the cost function which minimizes only the chid and the bus area. However, such a cost function may not consider the bus power consumption determined by the topology of a bus in case of the segmented bus design. In this paper, we formulate a new cost function which. reflects the communication frequency and the real distance between blocks in a bus to model the bus power consumption. For the Low-Power BDF with the new cost func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bus power consumption cost is reduced by 11.43% on the average.

Measurement-based System-Level Power Consumption Analysis (측정 기반 시스템 수준의 전력 소모 분석)

  • Hong, Dae-Young;Kim, Je-Woong;Lim, S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b
    • /
    • pp.451-454
    • /
    • 2007
  • 오늘날 많은 임베디드 시스템이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한다. 이처럼 제한적인 배터리 용량 때문에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는 개발 시에 전력소비를 고려하여 디자인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 저전력 디자인과 소프트웨어 소비전력 분석 및 분석에 대한 연구가 두드러지게 진행되고 있다. 측정 기반 전력 소모 분석 기법의 대표적인 부류인 명령어 수준 전력 분석 기법이 CPU와 메모리의 전력 소비만을 고려하는 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전체의 소비 전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벤트 방식의 전력 소모 분석 기법을 제안한다. 사용자는 소비전력을 모니터링하고 싶은 코드 구간에 대해 이벤트로 지정하고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는 동안 소비되는 전력을 DAQ 장비로부터 측정한 후 결과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의 수행시간, 소비전력량, 전력소비 병목현상, 커널 이벤트의 발생 빈도 및 횟수 등을 파악하여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계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 PDF

Low Power Scheduling Based On Device Characteristics (디바이스 특성을 고려한 저전력 스케줄링)

  • Yang, Hea-Beck;Ha, R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121-123
    • /
    • 2003
  • 현재 사용되는 PDA, 핸드폰 등의 이동기기는 보다 좋은 성능과 향상된 기능에 대한 시장의 지속적인 요구로 고성능을 요구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점차 추가되고 있다. 이에 고성능 프로세서의 탑재가 일반화 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전력 소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시스템 전력 사용량의 증가 문제를 해결하고자 DVS기법, DPM기법 둥이 제시되었으나 모바일 기기에 저전력 프로세서의 탑재가 일반화 되면서 전체 에너지 소비측면에서 디바이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증대되어 기존 스케줄링 기법은 하나의 시스템 요소만을 위한 최적화 방법을 제시할 뿐 전체 시스템의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시키지는 못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동기기에서 프로세서의 속도를 결정하는 과정과 스케줄러가 태스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에 있어 단위 시간당 디바이스의 에너지 소비가 프로세서의 단위 시간당 에너지 소비보다 큰 현실을 반영하여, 태스크의 실행 중 필요한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량을 기준으로 스케줄러가 프로세서 최적화 정책과 디바이스 최적화 정책 중 올바른 스케줄링 정책을 선택하여 프로세서의 속도를 결정하고 실행순서를 조절함으로써 시스템의 가용시간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 PDF

Multi Dimming Control of LED BLU for low power HD LCD TV (저전력 대형 LCD TV를 위한 LED BLU 다분할 디밍 제어 기술)

  • Jeon, Ki-Man;Jung, Hye-Dong;Park, Dong-Kyun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8.06a
    • /
    • pp.1155-1156
    • /
    • 2008
  • 현재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대형 LCD TV 분야는 전체 소비전력의 약 70%이상이 백라이트에 의한 소비이므로, 대형 LCD TV의 전력 절감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백라이트 설계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라이트의 효율적인 전력 소비를 위해 다채널 영상 분할 LED백라이트 밝기 제어를 통한 저전력 BLU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실험을 한 결과 60%이상의 전력 절감효과를 측정하여 연구의 유효함을 입증하였다.

  • PDF

Low Power and Low Area Degign of Coeff_token block for CAVLC decoder of H.264/AVC (H.264/AVC의 CAVLC 디코더를 위한 Coeff_Token 블록의 저면적 저전력 설계)

  • Jeong, Dae-Jin;Yi,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b
    • /
    • pp.464-468
    • /
    • 2008
  • 본 논문은, H,264/AVC 비디오 코덱의 저전력용 CAVLC 디코더를 위한 coeff_token 회로의 면적을 최적화 한 설계를 제시한다. CAVLC 디코더의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 coeff_token 회로에서의 메모리 참조 빈도수를 줄이는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저전력용으로 개발된 coeff_token 회로 중 가장 전력 소비가 낮은 방식의 메모리 구조와 수식 계산 회로를 변형시켜서 전력 소비를 같은 수준으로 유지하면서도 면적을 더욱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결과를 삼성 0.18 um 공정을 대상으로 합성한 결과 기존 방식에 비해서 1.1% 면적이 줄어드는 성과를 거두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