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잿빛곰팡이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35초

Botrytis cinerea에 의한 칼란코에 잿빛곰팡이병 (Gray Mold of Kalanchoe (Kalanchoe blossfeldiana)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Korea)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45-148
    • /
    • 2003
  • 2002년 4월 창원시 대산면 농가 육묘장에서 칼란코에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꽃, 꽃자루, 줄기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병반부위에 회색의 곰팡이가 많이 생기고, 심하게 감염된 부위는 결국 말라 죽었다. 분생포자는 무색, 단포자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8~17 ${\times}$ 5~12${\mu}m$였고, 분생자경 위에 분생포자가 아주 많이 형성되었다. 분생자경은 갈색으로 격막이 있고, 폭은 13~34${\mu}m$였다. 균사생장과 균핵형성의 적온은 $20^{\circ}C$였다. 위 특성으로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균은 Botrytis cinerea에 의한 칼란코에 잿빛곰팡이병균으로 동정되었다.

Botrytis cinerea에 의한 백일홍 잿빛곰팡이병 (Gray Mold of Zinnia elegans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Korea)

  • 권진혁;손경애;정선기;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337-340
    • /
    • 2004
  • 2003년 4월 경남농업기술원 유리온실과 농가 육묘장에서 Botrytis cinerea에 의한 백일홍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과 줄기에 발생하여 병든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병반부위에 회색의 곰팡이가 많이 생기고, 심할 경우 감염된 부위는 결국 말라 죽는다. 분생포자는 무색, 단포자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5${\sim}$16${\times}$4${\sim}$8 ${\mu}m$였고, 분생자경 위에 분생포자가 아주 많이 형성되었다. 분생포자경은 갈색으로 격막이 있고, 폭은 12${\sim}$28 ${\mu}m$였다. 균핵의 모양은 납작하거나 부정형이고 색깔은 검은색이었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20^{\circ}C$였다.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균은 Botrytis cinerea Persoon: Fries에 의한 백일홍 잿빛곰팡이병으로 동정되었다.

Botrytis cinerea에 의한 매실나무 잿빛곰팡이병 발생 (Occurrence of Gray Mold on Prunus mume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Korea)

  • 권진혁;김원일;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216-219
    • /
    • 2007
  •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경남농업기술원 과수포장에서 Botryitis cinerea에 의한 매실나무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과실이 담갈색을 띄며 약간 함몰되면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대형으로 나타난다. 심하게 감염될 경우 부패되어지고 병반부위에 회색의 곰팡이가 많이 형성된다. 분생포자는 무색, 단포자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6{\sim}17{\times}4{\sim}10{\mu}m$였고, 분생포자경 위에 분생포자가 많이 형성되었다. 분생포자경은 갈색으로 격막이 있고, 폭은 $15{\sim}30{\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20^{\circ}C$였다.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Botrytis cinerea Persoon: Fries에 의한 매실나무 잿빛곰팡이병으로 동정되었다.

Botrytis cinerea에 의한 스타티스 잿빛곰팡이병 (Gray Mold of Statice (Limonium shinuatum)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Korea)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0권2호
    • /
    • pp.117-120
    • /
    • 2004
  • 2003년 4월 경남 함양군 서상면 고냉지 비닐하우스에서 Botrytis cinerea에 의한 스타티스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꽃, 잎, 줄기에 발생하여 병든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병반부위에 회색의 곰팡이가 많이 생기고, 심할 경우 감염된 부위는 결국 말라죽는다. 분생포자는 무색, 단포자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8∼20${\times}$6∼14 $\mu\textrm{m}$였고, 분생자경 위에 분생포자가 아주 많이 형성되었다. 분생자경은 갈색으로 격막이 있고, 폭은 14∼34 $\mu\textrm{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2$0^{\circ}C$였다.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균은 Botrytis cinerea Persoon: Fries에 의한 스타티스 잿빛곰팡이병으로 동정되었다.

Botrytis cinerea에 의한 나도풍란 잿빛곰팡이병 발생 (Occurrence of Gray Mold on Aerides japonicum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Korea)

  • 권진혁;지형진;윤재길
    • 식물병연구
    • /
    • 제12권3호
    • /
    • pp.287-289
    • /
    • 2006
  •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 동안 경남 고성군과 통영시 나도풍란 재배 농가에서 Botrytis cinerea에 의한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자루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부패되며 심하게 감염될 경우 시들어 말라 죽고 병반부위에 회색의 곰팡이가 많이 형성된다. 분생포자는 무색으로 단포자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6{\sim}21{\times}4{\sim}13{\mu}m$였고, 분생포자경 위에 분생포자가 많이 형성되었다. 분생포자경은 갈색으로 격막이 있고, 폭은 $15{\sim}34{\mu}m$였다. 병의 원인 규명은 Koch의 가설에 따라 수행하였다.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Botrytis cinerea Persoon: Fries로 동정 되었으며 본 병해는 국내에 보고된 바 없는 나도풍란 잿빛곰팡이병으로 진단되었다.

Botrytis cinerea에 의한 배초향 잿빛곰팡이병 (Gray Mold of Agastache rugosa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Korea)

  • 권진혁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9-61
    • /
    • 2006
  • 2003년부터 2005년까지 3년동안 경남 진주시 장재동 배초향 재배 농가포장에서 잿빛곰팡이병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과 줄기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감염된 병반부위에 회색의 곰팡이가 많이 생긴다. 분생포자는 무색, 단포자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4{\sim}20{\times}4{\sim}13\;{\mu}m$였다. 분생포자경은 갈색으로 격막이 있고 나무가지 모양이며, 폭은 $4{\sim}28\;{\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20^{\circ}C$였다. 병원성 검정은 코흐의 가설에 따라 수행하여 병원성을 확인하였다.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Botrytis cinerea에 의한 배초향 잿빛곰팡이병으로 동정되었다.

Botrytis cinerea에 의한 잠두 잿빛곰팡이병 (Gray Mold of Broad Bean (Vicia faba) Caused by Botrytis cinerea)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9권1호
    • /
    • pp.21-24
    • /
    • 2003
  • 2002년 5월 경남 남해군 창선면 잠두재배 농가 포장에서 B. cinerea에 의한 잠두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에 발생하여 병든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썩으며 병반부위에 회색의 곰팡이가 많이 생기고 심할 경우 말라죽었다. 분생포자는 무색, 단포자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6~22$\times$4~16 $\mu\textrm{m}$였다. 분생자경 위에 분생포자가 아주 많이 형성되었다. 분생자경은 갈색으로 격막이 있고 폭은 15-37 $\mu\textrm{m}$였다. 감자한천배지(PDA) 에서 균사생육 적온은 2$0^{\circ}C$였으며, 균핵형성도 2$0^{\circ}C$에서 가장 많았다. 병원균은 Botrytis cinerea로 동정하였으며 잠두 잿빛곰팡이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Botrytis cinerea에 의한 멜론 잿빛곰팡이병 (Gray Mold Rot on Fruit of Cucumis melo var. reticulatus Caused by Botrytis cinerea)

  • 권진혁;강수웅;손경애;배동원;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4호통권91호
    • /
    • pp.280-282
    • /
    • 1999
  • 1999년 5월 경남 남해군 비닐하우스 내에 재배중인 네트멜론(품종: VIP)의 성숙기 과일에서 잿빛곰팡이병이 발견되었다. 병정은 멜론 과일의 꽃자리 부분 또는 옆면이 부패되고 그 위에 잿빛곰팡이가 아주 많이 형성되고 과육이 부패되었다. 병원균의 분생포자의 크기는 $8.8{\sim}21.2{\times}6.5{\sim}13.1\;{\mu}m$이고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무색내지 담황색이다. 분생자병의 폭은 $4.3{\sim}11.4\;{\mu}m$이고 무색이고 윗부분에 분생포자가 아주 많이 형성되었다.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균은 Botrytis cenerea로 동정되었고, 분생포자 현탁액을 과일에 인공접종한 결과 포장에서 발병한 과일에서의 병징과 동일한 병징이 형성되었다. 균사생육적온은 $15^{\circ}C$에서 $25^{\circ}C$였다. 조사한 포장에서 발병과율은 2.2%정도였다. 재배기간 중 시설내의 비교적 낮은 온도와 높은 습도는 잿빛곰팡이병의 발생을 야기시킨 중요한 요인이 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 병을 국내에서 처음 보고한다.

  • PDF

Rhamnolipid B에 의한 토마토 잿빛곰팡이병과 역병의 억제효과 (Suppression Effect of Gray Mold and Late Blight on Tomato Plants by Rhamnolipid B)

  • 안지예;박명수;김슬기;최경자;장경수;최용호;최재을;김인선;김진철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222-229
    • /
    • 2009
  • 기계유가 심하게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생물계면활성제를 생산하고 항균활성과 살충활성을 보이는 Pseudomonas sp. SG3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 길항세균은 시험한 8개의 식물병원곰팡이 모두에 대하여 균사생육저해활성을 보였다. 또한 in vivo assay에서는 SG3 액체 배양액 처리시 벼도열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밀 붉은녹병, 보리 흰가루병 및 고추 탄저병에 강한 항균 효과를 보였다. 액체배양액으로부터 ethyl acetate 추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및 preparative HPLC 등을 통하여 한 개의 항균물질을 분리하였다. 질량분석과 핵자기공명분석을 통해 분리한 물질의 구조를 동정한 결과 rhamnolipid B로 동정되었다. Rhamnolipid B는 토마토 잿빛곰팡이병과 토마토 역병에 높은 방제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토마토 잿빛곰팡이병균인 B. cinerea의 균사 생장과 토마토 역병균인 P. infestans의 유주자 발아 및 균사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Rhamnolipid B를 생산하는 Pseudomonas sp. SG3는 토마토에서 발생하는 식물병을 방제하는 새로운 생물방제제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