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 Title/Summary/Keyword: 재현연구

Search Result 6,514, Processing Time 0.06 seconds

An inverse filter design for multi-channel sound field reproduction system (다채널 음장 재현시스템에서의 역필터의 설계에 관한 고찰)

  • Park Byoung-Uk;Kim Hack-Y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41-244
    • /
    • 2001
  • 다채널 음장 재현 시스템에서 공간 전달 특성을 제거하는 역필터의 설계가 불가결하다. 주파수영역에서 최소 Norm해를 이용한 설계 방법은 시간 영역 설계방법과 비교하여 볼 때, 적은 계산량과 메모리량으로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역필터를 필요로 하게 되고 FIR 필터로 설계 가능하다는 보장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파수 영역 처리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으로 다 채널 음장 재현시스템을 위한 안정한 역필터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Current State of the Art and Prospect of User Centric- Realistic Audio Technologies (사용자 맞춤형 실감 음향 기술의 현황과 전망)

  • Kim, Jeong-Hun;Gwon, Gi-Su;Gang, Tae-Gyun;Kim, Nam-Su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9 no.1
    • /
    • pp.10-21
    • /
    • 2014
  • 3D 산업의 발달과 함께 음원을 통해 현장에서 느낄 수 있는 입체감을 재현하는 실감 음향 기술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정확한 실감 음향을 구현하기 위해서 헤드폰과 스피커 시스템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스피커를 이용하는 실감 음향 연구는 초다채널 스피커를 이용하여 물리적 음장 재현을 목표로 하는 방법과 소채널 스피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특성을 적용한 인지적 음장 재현을 목표로 하는 방법으로 나뉜다. 헤드폰과 스피커를 이용한 기존 연구들이 사용하는 기술들에 대해서 알아보고, 기존 기술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분석해본다. 이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실감 음향 기술의 구현을 위한 연구 방향과 새롭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들에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Pedestrian Accident Reconstruction Models: Comparison and Improvement (보행자-차량 충돌사고 재현모형 비교분석 및 개선 연구)

  • Jo, Jeong-Il;O, Cheol;Kim, Nam-Il;Jang, Myeong-S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5 no.4
    • /
    • pp.69-77
    • /
    • 2007
  • This study presents comparison results for pedestrian accident reconstruction models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ision speed and horizontal distance that a body travels while falling and sliding. A set of 49 reliable pedestrian accident cases are applied to compare the existing reconstruction models. In addition, the authors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et of parameters associated with the effects of the frontal shape of a vehicle on the horizontal distance a pedestrian travels while falling and sliding.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length of the bumper is the most dominant factor to affect the horizontal distance of pedestrian travel after collision. Further analyses utilizing more accident data need to conducted to develop a more accurate and reliable reconstruction model.

A Study on the Harbor Tranquility of Multi-directional Irregular Waves Condition (다방향 불규칙규파랑의 정온도에 관한 연구)

  • Park, Chul Ho;Shim, Kyu Tae;Shin, Bum Shick;Kim, Kyu 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89-89
    • /
    • 2015
  • 항만 및 어항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양한 해안구조물은 파랑의 천수효과, 굴절, 회절, 부분반사, 해저마찰, 쇄파의 영향 등을 고려해야하며 파고 및 파향 등의 해양특성의 검토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실제의 해양파가 방향스펙트럼을 갖는 다방향 불규칙파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기존의 해안구조물의 내파설계 또는 천해역의 파랑변형 검토에 있어서도 실제 해양파에 보다 가까운 다방향 불규칙파를 이용한 수리모형실험에 의해 파랑현상을 정도 높게 재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해양파를 정도 높게 재현할 수 있는 다방향 불규칙파 조파장치를 사용하여 구조물 전면해역에서의 파랑스펙트럼을 재현하고, 심해에서 발달된 파랑이 천해로 진행될 때 지형에 의해 발생되는 천수변형과 구조물 주위에서 나타나는 파랑변형의 현상을 고려하여 항내로 유입되는 파랑의 분포 특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다방향 불규칙파로 인한 항내 파고분포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동일 파랑에 대한 규칙파 및 불규칙파랑을 조파하여 그 결과를 상호 비교하였다. 아울러, 정온수역유지를 위한 월파현상을 수리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3차원 수리모형실험 수행하여 월파현상이 항내정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 해석하여 항만 시설물 계획시 안정한 정박 및 이용에 대한 가능한 정온유지여부를 검토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a large-scale climate ensemble simulation database for estimating the extreme rainfall (확률강우량 산정을 위한 대규모 기후 앙상블 모의자료의 적용)

  • Kim, Youngkyu;Son, M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33-333
    • /
    • 2022
  • 본 연구는 저빈도·고강도의 확률강우량 산정을 위해, 대규모 기후 앙상블 모의실험 기반으로 생성된 d4PDF(Data for Policy Decision Making for Future Change)를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d4PDF 를 이용하여 산정된 확률강우량과 관측자료 및 빈도해석을 통해서 산정된 확률강우량을 비교함으로써 빈도해석의 적용에 따라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용담댐에 위치한 금산, 임실, 전주, 장수 관측소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d4PDF 자료는 총 50 개의 앙상블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앙상블은 60 년 동안의 기상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한 지점에서 3,000 개의 연 최대 일 강우량을 수집 및 활용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와 같은 d4PDF 의 특징을 토대로 본 연구는 빈도해석 방법을 적용하지 않고, 3000 개의 연 최대 일 강수량을 비모수적 접근법(Non-parametric approach)에 따라 규모별로 나열하여, 10 년부터 1000 년의 재현기간을 갖는 확률강우량을 산정했다. 그 후, 관측 자료와 Gumbel 및 GEV(General extreme value) 분포를 토대로 산정된 확률강우량과의 편차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재현기간과 관측 기간의 차이가 증가할수록 이 편차가 증가하였으며, 이 결과는 짧은 관측 기간과 빈도해석의 적용은 재현기간이 증가할수록 신뢰하기 어려운 확률강우량을 제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d4PDF 는 대규모 표본을 이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불확실성을 최소화시켜 합리적인 저빈도·고강도의 확률강우량을 제시하였다.

  • PDF

Probabilistic Analysis of Independent Storm Events: 2. Return Periods of Storm Events (독립호우사상의 확률론적 해석 : 2. 호우사상의 재현기간)

  • Yoo, Chul-Sang;Park, Min-K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2
    • /
    • pp.137-146
    • /
    • 2011
  • In this study, annual maximum storm events are evaluated by applying the bivariate extremal distribution. Rainfall quantiles of probabilistic storm event are calculated using OR case joint return period, AND case joint return period and interval conditional joint return period. The difference between each of three joint return periods was explained by the quadrant which shows probability calculation concept in the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Rainfall quantiles under AND case joint return periods are similar to rainfall depths in the univariate frequency analysis. The probabilistic storm events overcome the primary limitation of conventional univariate frequency analysis. The application of these storm event analysis provides a simple, statistically efficient means of characterizing frequency of extreme storm event.

A Study of Representation of Jong-no and Bon-jung in Modern Boy and Assassination : Focusing on the Post-colonialism (<모던보이>와 <암살>의 본정과 종로 재현 연구 -탈식민주의를 중심으로-)

  • Chin, Su-M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7
    • /
    • pp.234-245
    • /
    • 2019
  •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representation of post-colonialism focusing on the spaces in Modern Boy and Assassination. These movies represented Bon-jung and Jong-no as a mixed-residence quarter, over the dual city theory, the orthodoxy of geography.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birth of a hybrid subject in post-colonialism. The representation of Bon-jong in Modern Boy was centered around Mitsukoshi Department Rooftop Garden, Namsan Music Center and Myeongdong Cathedral. The representation of Bon-jung in Assassination was centered around Anemone Cafe and Mitsukoshi Department Store. Set in the history of the new building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 Jong-no, Modern Boy used it as a place of struggle. The representation of Jong-no in Assassination was centered around the mansion of Kang In-kuk, a pro-Japanese collaborator. Modern Boy and Assassination showed the post-colonialism that breaks through modern binary oppositions by a 'female' national heroine. describing Bon-jung as both a mixed-residence quarter and the original home of post-colonialism movement, they also showed a different aspect from the existing Kyung-sung representations.

Application of a large-scale climate ensemble simulation data to evaluate the scale of extreme rainfall: The case of 2018 Hiroshima extreme-scale rainfall event (극한 호우의 규모 평가를 위한 대규모 기후 앙상블 자료의 적용: 2018년 히로시마 극한 호우의 사례)

  • Kim, Youngkyu;Son, M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90-290
    • /
    • 2022
  • 본 연구는 대규모 기후 앙상블 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산정된 극한 강우량을 최근 발생한 극한 호우사상의 규모 평가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8 년 히로시마 호우사상은 지속시간 24 시간에서 재현기간 1,000 년에 상응하는 극한 규모를 나타냈기 때문에 짧은 기간동안 수집된 관측자료만으로 규모를 평가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를 평가하고자 대규모 기후 앙상블 모의결과 기반의 d4PDF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자료는 3,000 개의 연 최대 강우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통계적 모형 및 가정 없이 비모수적으로 10 년부터 1,000 년의 재현기간을 나타내는 지속시간 24 시간의 확률강우량을 산정했다. 산정된 d4PDF 의 확률강우량은 관측강우량의 확률강우량과 비교하였으며, 관측기간에 가까운 50 년의 재현기간에서는 두 확률강우량의 차이가 3.53%였지만 관측기간 (33 년)과 재현기간 (100 년 이상)의 차이가 증가할수록 오차가 10% 이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이는 장기간 재현기간에서 관측강우량의 확률강우량은 불확실성을 내포하는 것을 의미한다. d4PDF 의 확률강우량에 대해서 2018 년 히로시마 호우사상은 300 년에 가까운 재현기간을 나타냈다. 미래 기후조건에서의 d4PDF 자료를 이용해 확률강우량을산정했으며, 현재 기후조건대비 미래 기후조건에서 10 년부터 1000 년의 재현기간을 나타내는 확률강우량은 모두 20% 이상으로 증가했다. 미래 기후조건의 확률강우량에 대해 2018 년 히로시마 호우사상은 100 년에 가까운 재현기간을 나타냈으며, 이는 미래 기후조건에서 히로시마 호우사상의 발생 확률이 0.33% (현재 기후)에서 1% (미래 기후)로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대규모 기후 앙상블 모의결과 기반의 d4PDF 는 현재 기후조건과 미래 기후조건하에서 극한 규모의 호우사상의 정량적인 평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PDF

The Rainfall Quantile Change Analysis of the Different Duration and Return Period in Seoul (서울지역의 지속시간 및 재현기간별 확률강우량의 경년변화 분석)

  • Ahn, Sang-Hyun;Park, In-Chan;Cho, W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64-76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빈번히 발생하는 단시간 집중호우양상의 변화와 자료기간의 누적에 따른 지속시간 및 재현기간별로 확률강우량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지점으로는 서울지점을 선정하였다. 강우자료는 기상청 산하의 강우관측소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확률강우량 산정을 위한 강우지속시간은 10분,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 120분, 180분, 360분, 720분, 1440분을 지속시간으로 선정하였고 재현기간은 5년, 10년, 15년, 20년, 25년, 30년, 50년, 80년, 100년, 200년으로 수공구조물 설계시 많이 고려되어지는 재현기간을 선정하였다. 먼저 최근의 강우양상의 변화와 확률강우량의 경년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지점의 강우자료에 대한 장기 변동성을 분석하였고, 연강우량과 지속시간별 연 최대 강우량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확률강우량의 경년변화 양상을 지속시간 및 재현기간별로 분석하였다. 연강우량과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량의 상관성 분석은 상호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확률강우량의 경년변화 분석 방법은 기본자료기간을 20년으로 산정하여 매해 강우자료를 추가하면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경년변화를 살펴보았다. 확률강우량의 산정은 국립방재연구소와 연세대학교가 공동으로 제작한 FARD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최근 강우량이 증가 추세에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연강우량과 지속시간별 연 최대 강우량의 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확률강우량의 분석결과에서는 자료의 누적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지속시간 및 재현기간에 따라 차이가 상이하며, 변동폭은 20% 내외로 나타났다. 토양수분 계산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WEP 모형의 토양수분 해석능력에 대한 시험적용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토양 및 지표하 매개변수 정보가 충분히 갖추어지고, 토양수분 관측결과 있는 대상유역에 대한 적용이 요구된다.-Moment 방법에 의해 추정된 매개변수를 사용한 Power 분포를 적용하였으며 이들 분포의 적합도를 PPCC Test를 사용하여 평가해봄으로써 낙동강 유역에서의 저수시의 유출량 추정에 대한 Power 분포의 적용성을 판단해 보았다.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수문요소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역의 물순환 과정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으로 추정되었다.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

  • PDF

A comparative study of guiding methods for natural head posture in cephalometrics (두부방사선규격사진 촬영 시 유도방법에 따른 자연두부자세의 차이 및 재현성에 관한 연구)

  • Song, Jin-Myoung;Lee, Ki-Heon;Hwang, Hyeon-Shik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5 no.5 s.112
    • /
    • pp.341-35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gree of vortical head rotation and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natural Head posture (NHP) according to two guiding methods, the head posture aligner (HPA) method and the solf balance posture (SBP)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30 adults. On the first day. lateral and frontal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obtained through the two guiding methods. One mouth later. lateral and frontal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obtained again through both guiding methods. The degrees of vertical head rotation of both guiding methods were compared and the reproducibility was evaluated for each guiding method. A comparison of the degrees of vortical head rotation for the two methods revealed that the vertical head posture was lower in the SBP method than in the HPA method by an average of 2.79. All measurements obtained using the HPA and SBP methods with a time interval of one north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ierence in lateral and frortal cephalometric radiograph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SBP method may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the HPA method in case the HPA method can not be appl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