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9.19.07.234

A Study of Representation of Jong-no and Bon-jung in Modern Boy and Assassination : Focusing on the Post-colonialism  

Chin, Su-Mee (동국대학교 영화영상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representation of post-colonialism focusing on the spaces in Modern Boy and Assassination. These movies represented Bon-jung and Jong-no as a mixed-residence quarter, over the dual city theory, the orthodoxy of geography.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birth of a hybrid subject in post-colonialism. The representation of Bon-jong in Modern Boy was centered around Mitsukoshi Department Rooftop Garden, Namsan Music Center and Myeongdong Cathedral. The representation of Bon-jung in Assassination was centered around Anemone Cafe and Mitsukoshi Department Store. Set in the history of the new building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 Jong-no, Modern Boy used it as a place of struggle. The representation of Jong-no in Assassination was centered around the mansion of Kang In-kuk, a pro-Japanese collaborator. Modern Boy and Assassination showed the post-colonialism that breaks through modern binary oppositions by a 'female' national heroine. describing Bon-jung as both a mixed-residence quarter and the original home of post-colonialism movement, they also showed a different aspect from the existing Kyung-sung representations.
Keywords
Modern Boy; Assassination; Bon-jung; Jong-no; Post-colonialis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806500.html, 2019.5.30.
2 강성률, "일제강점기 배경 영화의 탈식민주의적 독해: 파농으로 <마이 웨이>와 <암살> 분석," 씨네포럼, 제22호, 2015.
3 김현수, '독립운동 재현' 장르영화의 탈식민주의적 분석: <암살>과 <밀정>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4 전우용, "종로와 본정: 식민도시 경성의 두 얼굴," 역사와 현실, 제40권, pp.163-164, 2001.
5 김종근, "식민도시 경성의 이중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문화지리와 도시공간의 표상, 동국대학교출판부, 2011.
6 김종근, "식민도시 경성의 이중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문화지리와 도시공간의 표상, 동국대학교출판부, p.77, 2011.
7 위르겐 하버마스, 이진우 역,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 문예출판사, p.49, 1994.
8 벨 훅스, 윤은진 역, 페미니즘: 주변에서 중심으로, 모티브북, p.71, 2010.
9 임지헌, 사카이 나오키, 오만과 편견, 후마니타스, pp.35-44, 2003.
10 이경원, "탈식민주의 계보와 정체성," 비평과이론, 제5권, 제2호, p.10, 2000.
11 조이담, 구보 씨와 더불어 경성을 가다, 바람구두, pp.124-125, 2009.
12 이경원, "탈식민주의 계보와 정체성," 비평과이론, 제5권, 제2호, p.36, 2000.
13 강성률, "일제강점기 배경 영화의 탈식민주의적 독해: 파농으로 <마이 웨이>와 <암살> 분석," 씨네포럼, 제22호, p.493, 2015.
14 벨 훅스, 윤은진 역, 페미니즘: 주변에서 중심으로, 모티브북, pp.43-44, 2010.
15 윤해동, 식민지의 회색지대, 역사비평사, pp.23-24, 2003.
16 이규목, 김태경, "서울도심경관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논문집, 제26호, p.343, 1992.
17 윤해동, 식민지의 회색지대, 역사비평사, pp.56-65, 2003.
18 김춘식, "식민지도시 '경성'과 '모던서울'의 표상," 문화지리와 도시공간의 표상, 동국대학교출판부, p.120,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