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배사

Search Result 32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tatus of Oyster Mushroom Houses in Jinju Province (느타리버섯 재배사의 현황 및 재배 개선 연구 - 경남 진주 인근을 중심으로 -)

  • 서원명;윤용철;김웅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2.04a
    • /
    • pp.7-12
    • /
    • 2002
  • 이상에서는 최근 수요의 증가와 고소득 작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국내 버섯 중, 느타리버섯 재배사의 실태를 현지 방문결과를 소개하였다. 이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국내 느타리버섯 재배 농가 중 64%가 부업형이고, 전업농은 36%정도에 불과하다. 재배사 한 동의 규모도 40-70평 정도로 다양할 뿐만 아니라 농가당 재배규모가 적어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중 간이식 재배사가 70%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버섯의 가격이 가장 비싼 여름철에는 재배를 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지역별, 규모별로 환경조절 설비에 대한 적정기준 뿐만 아니라 재배사 관리지침 등도 전무한 상태이고, 오직 재배와 환경조절 설비는 경험에 의존하고 있었다. 재배사를 신축할 경우에도 전문시공업체가 거의 전무한 상태이었다. 앞으로 연중재배 시스템을 도입하여 고품질 버섯을 재배하여 국제경쟁력을 높이려면, 이러한 문제점들이 우선 선결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of the Environment in the Mushroom Production House (버섯재배사 원격 환경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개발)

  • Lee, Sunghyoun;Yu, Byeongkee;Lee, Cha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21-121
    • /
    • 2017
  • 오늘날 시장에 유통되는 버섯은 대부분 환경이 조절되는 시설 내부에서 재배된다. 버섯은 다른 식물과 달리 버섯의 종류, 품종 등에 따라 요구되는 환경이 매우 다르다. 특히 대부분의 버섯은 버섯이 생육되는 공간의 온도, 수분, 이산화탄소, 조도 등의 관리가 필수적이다. 버섯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이들 버섯이 필요로 하는 환경을 버섯의 생육특성에 따라 적합하게 유지해 주어야만 한다. 현재 대부분의 버섯재배사에는 이들 환경을 컨트롤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시스템의 환경 설정은 농업인이 현장에서 버섯의 상태를 확인 한 후 그때그때 경험에 의해 채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환경설정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버섯을 재배하는 기간에는 농업인이 재배사 내부의 환경을 관리하기 위해서 항상 버섯재배사에 머물러야 하고, 재배사의 환경관리 때문에 원거리 또는 장기 출타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람이 버섯재배 현장에서 컨트롤하던 환경관리를 원격에서 컴퓨터 또는 모바일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환경은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배기팬 및 입기팬의 가동 등 버섯재배 환경관리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들 관리 요소는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에 접속하여 버섯재배사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 필요에 따라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컴퓨터에서 볼 수 있는 환경을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볼 수 있고 또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버섯배지를 입상 한 후부터 수확시기까지의 관리 환경을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농민이 버섯배지를 입상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한 제어가 되도록 설정하면 버섯재배사 내부의 환경은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읽어 들여 버섯의 생육단계에 따라 자동으로 내부환경이 제어되도록 하였다. 또한 농업인이 원격에서 버섯재배사 내부 버섯의 생육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재배사 상부에 CCD 카메라를 달아 실시간으로 버섯의 생육상활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면 버섯재배 경험이 없는 농업인도 경험자와 같은 재배관리가 가능하고 원격에서 재배사 내부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 할 수 있기 때문에 농업인이 재배사에 매여 있지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Cultivation Facility Models to Reduce High Temperature Damage in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Using Bed-logs (고온피해 경감을 위한 표고 원목재배사 모델개발)

  • Kim, Own-Su;Kim, Seon-Cheol;Lee, Byeong-Seok;Kwon, Hyuk-Woo;Ko, Han-Gyu;Park, Heung-Soo
    • Journal of Mushroom
    • /
    • v.14 no.3
    • /
    • pp.119-126
    • /
    • 2016
  • Five empirical farmhouses were selected to reduce the high temperature damage in oak mushroom cultivation using bed-logs. The cultivation facilitie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those having two blackout curtains or one blackout curtain and outdoor oak mushroom cultivation. The inequality of the indoor condition, oak mushroom hyphae rampant ratio, and fruit body production in each test condition was evaluated. $3^{\circ}C$ was lower in indoor temperature of cultivation facility having two blackout curtains than one blackout curtain. Specifically, the indoor air humidity average of cultivation facilities having one or two blackout curtains was 10% lower than that of outdoor oak mushroom cultivation. This condition is not ideal for oak mushroom cultivation as continuous indoor humidity control is essential for producing good fruit bodies. The Inoculated bed-log surface and oak mushroom hyphae rampant ratio of bed-logs cultivated with two blackout curtains was superior to other tested conditions. The mushroom production ratio observed in facilities with two blackout curtains was 117-204% higher than those cultivated in facilities with only one blackout curtain. Furthermore, the mushroom production ratio increased in based on these findings, we recommended five cultivation facility models to reduce high temperature damage in oak mushroom cultivation using bed-logs.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uricularia polytricha 'Geoni' in a high temperature growth room (고온기 재배시설에 따른 털목이 '건이'의 생육 특성)

  • Kim, Kil-Ja;Kim, Da-Mi;An, Ho-Sub;Choi, Jin Kyung;Kwon, Oh-Do
    • Journal of Mushroom
    • /
    • v.17 no.1
    • /
    • pp.7-11
    • /
    • 2019
  • We assess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Auricularia polytricha 'Geoni' cultivated in a simple greenhouse constructed of polyethylene (PE) without air conditioning (high temperature) and in an air conditioned mushroomhouse. The successful cultivation of A. polytricha 'Geoni' at high temperatures can reduce energy and facility investment costs. The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fungi grown under the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revealed that fruit bodies were larger in the higher temperature condition, but were brighter in the lower temperature condition. Additionally, fruit body physiology was found to be not affected by temperature. In the PE greenhouse, the fresh weight of fruit body was higher in mid-June and early July.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growth period of the mushrooms during a high-temperature period. The findings indicate the potential to cultivate A. polytricha 'Geoni' in a simple PE greenhouse that is not cooled in summer, thus reducing energy costs.

Investigation of the shift trend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greenhouses for oak mushroom cultivation (최근 국내 표고 재배사의 온도, 습도 변화 성향 조사)

  • Kim, Ji Eun;Kim, Jun Young;Ahn, Hong Seok;Kown, Hyuk Woo;Ko, Han Gyu;Kim, Seong Hwan
    • Journal of Mushroom
    • /
    • v.16 no.4
    • /
    • pp.342-346
    • /
    • 2018
  •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49 greenhouses for oak mushroom cultivation were investigated for 5 years to analyze the trends in the change of these parameters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in Korea. The 5-year average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24.7^{\circ}C$ and 60.5%, respectively, in sawdust media-based cultivation houses and $24.4^{\circ}C$ and 60.0%, respectively, in log-bed cultivation houses. The average temperature in the summer was $29.8^{\circ}C$ in 2016, $29.1^{\circ}C$ in 2017, and $33.3^{\circ}C$ in 2018 in the log-bed cultivation houses and $26.8^{\circ}C$ in 2016, $20.4^{\circ}C$ in 2017, and $24.2^{\circ}C$ in 2018 in the sawdust media-based cultivation houses. During the investigation, temperatures over $30^{\circ}C$ were detected in one cultivation house in spring and five such houses in summer. When classifying by cultivation type, temperatures over $30^{\circ}C$ were found in five log-bed cultivation houses and temperatures less than $20^{\circ}C$ were found in four log-bed cultivation houses in fall. This study shows that log-bed cultivation houses for oak mushroom need to be modified to cope with the climate change.

Technical Development of Environment Control Complex of Micro-climatic Factors for Oyster Mushroom Cultivated in Protected Environment (복합 환경제어형 새송이 버섯 시설재배의 기술개발)

  • Suh, Won-Myung;Yoon, Yong-Cheol;Kim, Wo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2.10a
    • /
    • pp.121-124
    • /
    • 2002
  • King Oyster(Pleurotus eryngii)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mushrooms produced on the domestic farms. The quality as well as quantity of King oyster is sensitively affected by micro climate factors such a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CO_2$ concentration, and light intensity. To safely produce high-quality King oysters year round, it is required that the environmental factors be carefully controlled by well designed structures equipped with various facilities and control systems. In this study, we are focusing on carrying out growing experiment to find out reasonable range of each environmental factor together with economic and safe structures influencing on the optimal productivity of king oyster mushroom. The optimal productivity will be evaluated by consider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mushroom production, energy requirements, facility construction and management cost, etc.

  • PDF

Analysis of Actual State of Facilities for Pleurotus eryngii Cultivation - Based on Western Gyeongnam Area - (큰느타리버섯 재배사의 실태분석 - 서부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 Yoon Yong Cheol;Suh Won Myung;Yu Chan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3 no.4
    • /
    • pp.217-225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the basic knowledge about the mushroom cultivation facilities. Classified current status of cultivation facilities in Gyeongnam province was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The structure of Pleurotus eryngii cultivation facilities can be classified into the simple and permanent frame type. The simple frame structures were mostly single-span type, on the other hand, the permanent frame structures were more multi-span than simple structures. And the scale of cultivation facilities was very different regardless of structural type. But as a whole, the length, width and ridge height were prevailing approximately 20.0 m, $6.6\~7.0m$ and $4.6\~5.0m$ range, respectively. The floor area was about $132\~160\;m^2$, and floor was built with concrete to protect mushrooms from various harmful infection. The roof slope of the simple and permanent type showed about $41.5^{\circ}\;and\;18.6\~28.6^{\circ}$, respectively. The width and layer number of growing bed for mushroom cultivation were around $1.2\~1.6m$, 4 layers in common, respectively. Most of year round cultivation facilities were equipped with cooler, heater, humidifier, and ventilating fan. Hot water boiler was the most commonly used heating system, the next was electric heater and then steam boiler. The industrial air conditioner has been widely used for cooling. And humidity was controlled mostly by ultra-wave or centrifuging humidifier. But some farmers has been using nozzle system for auxiliary purpose. More then $90\%$ of the mushroom house had the independent environment control system. The inside temperature was usually controlled by sensor, but humidity and $CO_2$ concentration was controlled by timer for each growing stage. The capacity of medium bottle was generally 850 cc and 1100cc, some farms used 800 cc, 950 co and 1,250 cc. Most of mushroom producted has been usually shipped to both circulating company and joint market.

Current Situations of Domestic Cultivation and Cultivation Management Technology in Momordica charantia L. (여주(Momordica charantia L.)의 국내 재배현황 및 재배관리기술 실태)

  • Chang-Yung Kim;Doo-Weon Lee;Jae-Gyun Gwag;Ho-Cheol K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75-75
    • /
    • 2020
  • 여주(Momordica charantia L.)는 인도 동부와 남중국 등 열대 아시아 지역이 원산지로, 열대 및 아열대를 비롯하여 온대 지역까지 널리 재배되며, 열매를 식용으로 하여 주로 채소로 재배되고 있는데, 쓴맛 때문에 '쓴오이' 라고도 부르지만 당뇨와 고혈압 등 성인병과 장 기능 개선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지는 등 건강기능성 작물로 국내에서도 전국적으로 재배가 되고 있어서, 국내 재배현황과 재배농가의 실태를 조사하여 재배 애로사항 및 발전과제를 도출코져 하였다. 여주의 국내 재배는 2012년 재배면적이 10ha에서 빠르게 증가하여 2017년 606농가 107.9ha로 정점을 이루고, 점차 감소하여 2019년 232농가 59.9ha에서 재배 하였으며, 2019년 재배면적이 많았던 시군은 함양, 강진, 양주, 천안 등 이었다. 여주의 재배작형은 보통재배(육묘후 노지재배) 농가가 가장 많고, 노지재배(직파), 반촉성재배(조숙재배), 촉성재배 형태의 농가가 있는데, 보통재배(육묘후 노지재배)는 3월 하순~4월 상순에 파종 및 육묘한 후 5월상순 노지에 정식하여, 6월 하순부터 가을에 서리가 내리기 전까지 수확한다. 농가의 재배품종은 일본 등 외국도입종의 종자를 종자회사로 부터 구입하여 재배하고 있으며, 재식방법, 시비관리, 줄기유인 등 표준재배법이 정립되지 못하여 농가별로 다양한 방법으로 재배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확은 열매가 완전히 익기전에 생여주 상태에서 수확하고 있으며, 일반 재배농가는 생여주 판매가 10~20%, 건여주 판매가 80~90% 비율이며, 생여주로 100% 건조업체에 판매하기도 하고, 건여주로 100% 건조하여 판매하는 농가도 있다. 국내재배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필요시 되는 기술개발 과제는 용도별 품종육성 및 종자생산 보급, 고품질 여주 생산을 위한 재배관리 기술, 지역별 생산 여주과실의 성분 품질관리 및 건조 가공기술, 여주의 건강기능성 식품 지정 고시 방안 등으로 전문기관에서의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PDF

Current Situations of Domestic Cultivation and Cultivation Management Technology in Passion Fruit (Passiflora edulis Sims) (아열대 작물 백향과(Passiflora edulis Sims)의 국내 재배현황 및 재배관리기술 실태)

  • Chang-Yung Kim;Doo-Weon Lee;Dea-Min Oh;Ho-Cheol K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39-39
    • /
    • 2021
  •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과거에는 재배되지 않았던 아열대 작물의 국내재배가 확대되고 있다. 백향과(Passiflora edulis Sims)는 브라질 남부지역이 원산지인 아열대작물로 국내에서도 전국적으로 재배가 되고 있어서, 국내 재배현황과 재배농가의 관리기술 실태를 조사하여 재배 애로사항 및 발전과제를 도출코져 하였다. 백향과의 국내 재배는 2010년부터 시작되어 2017년에는 201농가 54.7ha로 정점을 이루고, 점차 감소하여 2019년에는 156농가 36.5ha에서 재배되고 있다. 재배농가가 많았던 지역은 남원, 담양, 화순, 김천, 고창 등 이었다. 백향과의 재배체계는 대부분의 농가가 비닐하우스 시설에서 겨울철 난방에 의한 다년 재배로 1년 2회 수확하고 있으며, 극히 일부농가는 1년 재배체계로 매년 묘목을 다시 심는 형태이다. 백향과의 국내 육성품종은 없으며, 외국에서 도입한 자색종 또는 교잡종을 주로 재배하고 있다. 현재 국립종자원에 '일반종', '타이농1하오', '황금' 3품종이 생산/수입 판매 신고되어 있다. 초기에 도입한 접목묘를 재배하면서 국내에서 삽목묘를 육성하여 많은 농가가 재배하고 있다. 백향과는 덩굴성이기 때문에 지주를 설치하여 재배하는데 재식거리, 수형, 가지유인 등을 농가별로 다양한 방법으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개화기에 인공수분 작업이 필요하고, 수확은 과일이 성숙하여 저절로 낙과하면 주어서 수확한 과일은 주로 생과로 판매하는데 전화 및 인터넷 주문에 의한 직거래가 가장 많고, 일부 마트 및 로컬푸드에 판매하고 있다. 국내재배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필요시 되는 기술개발 과제는 적응 품종육성 및 무병묘 생산 보급, 고품질 백향과 생산을 위한 재배관리 기술, 시설재배 환경관리 기술, 소비 증대를 위한 가공 이용 기술 개발 등으로 전문기관에서의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PDF

Analysis of Environmental Design Data for Growing Pleurotus ervngii (큰 느타리버섯 재배사의 환경설계용 자료 분석)

  • Yoon, Yong-Cheol;Suh, Won-Myung;Lee, In-Bok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4 no.2
    • /
    • pp.95-105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le up using effect and requirement of energy for environmental design data of Pleurotus eryngii growing houses. Heating and cooling Degree-Hour (D-H)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for. some Pleurotus eryngii growing houses of sandwich-panel (permanent) o. arch-roofed(simple) type structures modified and suggested through field survey and analysis. Also thermal resistance (R-value) was calculated for the heat insulating and covering materials of the permanent and simple-type, which were made of polyurethane or polystyrene panel and $7\~8$ layers heat conservation cover wall. The variations of heating and cooling D-H simulated for Jinju area was nearly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setting inside temperatures. The variations of cooling D-H was much more sensitive than those of heating D-H.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the variations of required energy in accordance with setting temperature or actual temperature maintained inside of the cultivation house could be estimated and also the estimated results of heating and cooling D-H could be effectively used far the verification of environmental simulation as well as for the calculation of required energy amounts. When the cultivation floor areas are all equal, panel type houses to be constructed by various combinations of materials were found to by far more effective than simple type pipe house in the aspect of energy conservation maintenance except some additional cost invested initially. And also the energy effectiveness of multi-span house compared to single span together with the prediction of energy requirement depending on the level insulated for the wall and roof area could be estimated. Additionally, structural as well as environmental optimizations are expected to be possible by calculating periodical and/or seasonal energy requirements for those various combinations of insulation level and different climate conditions,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