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단 방향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초

중장년층의 활동적 노화 정책 및 사업 연구: 서울특별시50플러스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active aging policies and programs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at The Seoul50Plus Foundation)

  • 주용국;신민주
    • 한국노년학
    • /
    • 제40권2호
    • /
    • pp.269-289
    • /
    • 2020
  • 본 논문의 목적은 중장년층의 활동적 노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첫째, 서울특별시50플러스 정책 및 사업사례를 분석하고, 둘째,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활동적 노화와 평생학습을 추진하기 위한 정책 및 사업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은 단일 사례연구를 활용하였으며, 사례의 분석틀은 정책 및 사업의 배경-환경, 이념-목표, 주체-대상, 과정-영역의 4가지로 접근하였다. 분석 자료는 서울특별시50플러스 정책 및 사업 관련 연구보고서와 관련 연구 자료, 재단 실무자의 간담회 발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책 및 사업의 배경·환경에서는 고령사회로의 환경 변화 대응은 정책의 필수적 요소로 나타났다. 정책이념-목표에서는 '새로운 인생비전 창조'의 이념과 활동적 노화를 위한 일자리창출, 사회적 참여, 인생설계 측면의 3가지 측면의 정체성 접근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주체-대상측면에서는 정책의 실행 주체는 서울50플러스재단, 50플러스캠퍼스, 50플러스센터의 체계적인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나 대상은 50+세대(50~64세)로만 제한되어 있고, 희망자만 참여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과정-영역 분석에서는 중장년층의 특성에 맞추어 교육지원, 일·창업 지원, 상담정보 제공, 신노년문화 창조 활동 등의 프로그램이 연계적으로 부가가치를 높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향후 제언으로는 정책 및 사업은 중장년층의 특성에 맞추고, 지역의 산업과 대학 등과 연계하여 추진하며, 대상자의 확대가 필요하고, 사업 간 가치를 높이기 위한 연계가 필요하다.

소방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소방정책론 정립방안 (Fire Service Policy Theory for Establishing Fire Science)

  • 류상일;이재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421-432
    • /
    • 2010
  • 한국의 소방학 관련 학과는 전국에 80여개가 운영되고 있지만, 교육과학기술부가 인정하는 학문분류체계표상의 분과 학문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고, 한국연구재단의 학문 연구 분야별 분류표에도 등재되어 있지 못하다. 이에 최근 소방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여 소방학 전반에 걸친 학문적 발전 및 성숙과 소방정책의 발전을 도모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소방정책에 대한 기존 선행 연구 및 이론서의 부족으로 인해 소방정책론 정립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행정학, 경찰행정학, 정치학 등 인접학문의 논의를 기초로 소방정책의 특수성을 감안한 소방정책론 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화재진압, 화재예방, 구조 및 구급 정책에 국한하지 않고, 최근 소방정책 분야의 패러다임 변화를 적극 반영하여, 대국민 안전예방정책, 소방보험정책 등을 포함하는 소방정책론이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소방정책론의 바람직한 정립 방향을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소방학에서의 소방정책론 정립의 필요성과 소방정책론 구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바람직한 소방정책론 구성의 방향을 총론 및 각론으로 구분하며, 소방정책론 정립을 통하여 향후 한국소방정책의 발전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강-임진강 합류부 환경·생태보전을 위한 남북협력 방향: 이동성 생물종 보전을 중심으로 (The Direction of Inter-Korean Cooperation on Ecological Conservation along the Han and Imjin Rivers Confluence: Focusing on Conservation of Migratory Species)

  • 최현아;한동욱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5-160
    • /
    • 2022
  • 남북 공유하천 논의는 기존 수자원 분야 협력에서 생태보전협력 방향으로 논의 확대가 필요하다. 한강-임진강 공유하천 합류부 수계의 경우 기후 위기 대응 측면에서 하구 생태계의 온전성이 보전되어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남북대화를 위한 의제로서 남북 서식지를 공유하는 이동성 생물종의 보호를 중심으로 남북 생태보전 협력이 진행되어야 한다. 특히, 한강-임진강 합류부는 법정보호종인 재두루미, 큰기러기, 개리, 저어새, 수달, 삵 등이 서식하고 있으며, 서식지 보전 측면에서의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임진강 공유하천 합류부 생태보전을 위한 북한과의 협력을 위해 환경·생태협력 여건을 분석 후 향후 진행 가능한 협력사업을 제시하였다. 이때, 현시점을 준비 단계로 보고 남북관계 변화에 따라 향후 남북 간 직접 교류가 가능한 상황을 고려한 단계별 생태보전협력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북한과의 협력은 공유하천 생태계 모니터링 결과를 공유하는 과학교류, 대중인식 증진 활동의 결과를 교류하는 작업이 수반될 때 실제 협력사업으로 진행할 수 있 것으로 판단된다.

인장시험(引張試驗)에 의한 보강토(補强土)의 거동결정(擧動決定) (Soil-Reinforcement Interaction Determined by Extension Test)

  • 김운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33-40
    • /
    • 1988
  • 흙과 보강재 사이의 거동을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hollow cylinder type의 샘플 내에 보강재를 인장방향으로 삽입하여 주위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 가운데 축력(軸力)을 감소시키는 소위 삼축인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장특성(引張特性)(extensibility)이 상이(相異)한 3종류의 보강재를 사용한 결과 파괴변형율(failure strain), 최대강도후의 응력강소(loss of post-peak strength), 변형모양(deformation mode) 등이 보강재에 따라 각각 독특하였고, 파괴의 양상은 breakage 또는 pull-out 이 발생하였으며, 보강재단(補强材端)의 고정여부에 따라 보강효과가 영향을 받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보강토해석 및 설계시 흙 및 보강재 자체의 강도(强度)와 더불어 보강재의 인장특성(引張特性)과 경계조건(境界條件)이 매우 중요한 고려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스마트공장에 관한 체계적 문헌 분석: 국내 학술 경향 연구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Smart Factory Research: Identifying Research Trends in Korean Academia)

  • 김기범;이정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59-7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공장에 대한 국내학술연구의 경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체계적 문헌 연구방법으로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와 등재후보지를 검색하여 144개의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 후 분석하였으며, 비블리오메트릭 분석법으로 VOSviewer를 활용한 동시 출현 단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스마트공장 연구는 자동화, 지능화, 빅데이터 기술 분야와 운영시스템, 개념화 연구, 해외 사례 및 정책의 6개의 분야로 나누어 진행되고 있는 것을 찾아내었다. 사물인터넷은 스마트공장의 핵심기술이자 핵심어로 거의 모든 연구들에서 다루어지고 있었으며, 서비스화에 관한 연구는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어서 앞으로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보안기술 연구는 타 분야와 연계성이 부족하여 향후 상호 연계한 융합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개별 연구의 위상을 정립하고 연구분야를 찾아내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유아과학교육에 관한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in Scie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손원경;박진희;전주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5-114
    • /
    • 2010
  • 현대사회는 과학, 기술, 사회가 밀접하게 연결된 세계로 체계적인 과학교육을 통하여 형성된 과학적 소양(scientific literacy)을 갖춘 인간상을 요구하고 있다. 유아과학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유아교육분야에서도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시점에 본 연구는 유아과학교육의 중요성을 토대로 유아과학교육관련 연구의 주제가 현재까지 어떻게 진행되어 왔으며, 방법론상의 특정은 무엇인지 살펴봄으로써 지금까지 이루어진 유아과학교육 관련 연구를 재인식하고 유아과학교육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추후 연구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동향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유아 관련 학술지 중 한국학술진흥재단에 등재된 여섯 개의 학술지에 실린 유아과학교육과 관련된 논문들이다. 논문들은 연구내용, 연구유형, 연구대상, 자료수집방법, 자료분석방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01년 이후부터 유아과학교육 관련 연구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연구주제는 발달영역에 관한 것이 가장 많았다. 또한 연구유형별로는 양적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대상으로는 유아가 가장 많았다.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검사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차이분석이 가장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과학교육 영역에 있어,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에서 보다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

한국형 그랜트 지원방식 도입에 따른 선정평가 효율화를 위한 정량적 가이드라인 수립에 관한 연구 (Establishing the Supplementary Quantitative Guidelines for Successful Establishment of NRF Grant Funding Mechanism on Basic Research)

  • 서옥이;박귀순;신숙경;이성종;이원근;이윤희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424-443
    • /
    • 2013
  •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창의적 도전적 연구를 적극 장려하고자 2012년 기초연구사업 중점 추진방향으로 '한국형 그랜트' 지원 방식을 도입하였으며, 이에 따라 연구자가 추후 과제 신청시 기존 연구수행 성과를 집중적으로 평가 받게 되었다. 이에, 선정평가에서 과제관리 및 종료평가에 이르는 전주기적 성과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주기적 성과관리 시스템의 첫 단계로 분야별 연구실적의 정량적 가이드라인를 제시하여 연구역량평가의 보조적 수단으로 사용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상위그룹 간 비교 시에는 순위보정영향력지수(Ranked Normalized Impact Factor, rnIF), 하위그룹 간 비교 시에는 영향력지수(Impact Factor, IF) 또는 rnIF를 정량가이드라인으로 제안하였다. SCI급 논문 수는 동일 분류 내 위상비교 또는 동일 위상내 분류별 비교 등에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 PDF

군 우주기상 지원을 위한 기반 연구

  • 최호성;조경석;김연한;이재진;곽영실;황정아;최성환;조일현;박영득;오수연;조정원;이봉우;김봄시내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9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8권2호
    • /
    • pp.25.5-26
    • /
    • 2009
  • 인류의 활동 무대가 우주공간으로 확대됨으로써 우주기상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조치가 요구됨에 따라 우주기상에 대한 감시 및 예 경보 업무가 필요해 졌다. 미국은 이미 우주기상 감시와 예보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해양대기청(NOAA), 미 공군(USAF), 항공우주국(NASA), 내무부(DOI), 에너지부(DOE), 과학재단(NSF)이 연합하여 1996년 국가우주기상 프로그램(National Space Weather Program)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특히 정부연구 기관인 NOAA 산하 우주기상예보센터(Space Weather Prediction Center; SWPC)와 미 공군 기상국(AFWA)은 우주기상 자료 생산, 수집, 자료 센터 운용, 연구 지원 및 예 경보 업무를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관련 자료 및 정보의 교환 등 매우 밀접하게 상호협력하고 있다. 최근 정부는 과학기술 7대 중점투자 분야별 중점육성후보기술로서 우주감시체계개발기술을 포함한 국가과학기술기본계획(577전략)을 수립 발표하였으며, 대한민국 공군은 향후 우주군 창설을 목표로 우주전력 기반체계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국방부는 2012년 전시작전통제권 환수에 대비한 독자적인 작전지휘능력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며, 미래의 한국군 독자적 네트웍 중심 전장(NCW: Network Central Warfare)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미 공군의 "우주기상작전센터"와 같은 우주기상 예 경보 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군의 독자적 우주작전능력 확보를 위한 우주기상 예 경보 체계 구축 방향을 제시하고자 사전기반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내용으로 우주기상에 대한 개요 및 우주기상의 변화에 따른 국내외 영향을 조사하고 국내외 우주기상 예 경보 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미공군의 우주기상 활용 상태를 점검하여 한국 공군을 위한 우주기상 예 경보 체계 구축 및 인력과 기술 확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한국장애인복지학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과 고찰: 장애인복지학의 이론적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Analysis and Implications on Recent Research Articles' Trends in Korean Academy Literature)

  • 김경미;김미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3호
    • /
    • pp.269-294
    • /
    • 2006
  • 이 연구는 장애인복지학의 이론적 패러다임에 따라 한국장애인복지학의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즉, 장애인복지학의 기술적 이론적 분석을 통해 한국장애인복지학의 변화를 점검하고 향후 지향해야 할 방향성에 대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첫째, 사회복지학이 주 전공인 학회 중 학술진흥재단 등재지나 등재후보지로 등록된 학술지 9종을 대상으로 1979년부터 2005년에 이르기까지 연구동향에 관한 기술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장애의 복합성에 기초한 사분모델을 이용하여 한국장애인복지학의 이론적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이 두 가지를 제언한다. 첫째, 장애 현장의 다양한 이슈와 장애당사자의 욕구 반영, 장애종별 특수성과 장애인복지학 고유의 역사성 등 다양한 주제에 관한 장애 연구가 활성화되어 한국장애인복지학의 이론구축(theory-building)을 해야 한다. 둘째, 한국의 장애인복지학의 이론적 연구동향은 개인적-관념론이 우세하나 사회적-유물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이론적 경향성은 최근 장애인복지 현장 및 학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적 모델 및 자립생활 모델에 대한 논의와 맞물리는 것으로 이에 대한 좀 더 밀도 있는 학계 및 현장의 성찰이 필요하다.

  • PDF

건강증진 연구의 방향과 과제: 한국건강증진재단 연구과제(2005-2011년)를 중심으로 (Directions for and Challenges in Health Promotion Research: Focusing on Research Funded by the Korean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05-2011)

  • 김광기;제갈정;함승우;안지영;박정은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5-28
    • /
    • 2012
  • Objective: This paper aims to describe health promotion (HP) research according to HP activities, strategies, target population, and settings, and to explore challenges for HP to reflect principles and values. Methods: A content analysis was employed for all research reports funded by the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from 2005 to 2011.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HP activities and strategies as mentioned in the Ottawa Charter, and by target population and setting. Challenges for HP research were explored by priority actions suggested by the International Union for Health Promotion and Education. Results: The total number of research was 384. The most popular topic was on HP actions for reorienting health services, followed by developing personal skills, creating supportive environments, building healthy public policy, and strengthening community actions. Research focusing on enabling strategies was most dominant among the HP strategies, while both advocating and mediating strategies were unlikely to be studied. An even distribution was found across target populations. The most popular setting was communities, followed by workplaces and schools. Conclusion: HP research tends to be anchored on bio-medical, individualized, and behavioral perspectives. A discussion was made to overcome this tendency by employing HP in social sciences theory and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