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현장

Search Result 68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f improvement for Incident Command Systems in Korea (우리나라 재난현장지휘체계 개선방향)

  • We, Kum-Sook;Jeong, An-Young;Eum, Se-J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cietal Security
    • /
    • v.4 no.1
    • /
    • pp.39-47
    • /
    • 2011
  • According to the current basic law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tandard Incident Command System is limited to Emergency Rescue Function, and Incident Commanders are only Fire Fighting Agenci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suggestions to improve general-purpose of Standard ICS for various incidents. Also, there are some suggestions for Emergency Operation Centers as a coordinator and supporter of mobilizing response resources in all large scale disaster.

  • PDF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 (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Lee, In-Soo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1 no.1
    • /
    • pp.289-316
    • /
    • 2000
  •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중 재난 준비를 위한 주민 교육 프로그램은 없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 모여있는 학교의 경우도 정규 보건교육 시간이 없기 때문에 생명구조나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기회가 없으면서 국민의 재난 준비의 기반확대가 되고 있지 못하다. 5. 병원은 재난 관리 위원회를 군성하여 병원의 진료권역 내에 있는 여러 자원을 감안한 포괄적인 재난관리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병원은 명목상의 재난 관리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다. 6. 재난관리 준비도를 평가할 때 병원응급실 치료 팀의 인력과 장비 등은 비교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병원의 재난 관리 계획은 전혀 훈련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재난 관리의 준비를 위해서는 현장의 응급의료체계, 재난 대응 계획, 이의 훈련을 통한 주민교육이 선행되어야만 개선될 수 있다. 즉 민방위 훈련 모델이 아닌 응급의료 서비스 모델에 입각한 장기적 노력과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대응 준비와 이의 활성화 전략 개발, 훈련과 연습. 교육에 노력을 부여해야 한다. 7. 현장의 1차 응급처치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역할이 없다. 한국에서는 응급구조사 1급과 2급에 대한 교육과 규정을 1995년 이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미국이 정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과정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습실이나 현장에서의 실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덧붙여 승인된 응급구조사 교육 기관의 강사는 강사로서의 자격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실습강사는 대체적으로 1주일의 1/2은 응급 구조차를 탑승하여 현장 활동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실습은 시나리오 유형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 구조사가 현장 기술 인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 시켜야하며, 졸업생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8. 간호사의 경우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받게 됨에 따라, 이를 위한 표준 교육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병원 전 처치와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현 자격 부여 프로그램 내용을 고려하여 정규자격 간호사가 현장 1차 치료자(first responder)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간호학 교과과정을 부분 보완해야한다.

  • PDF

The Integration of Smart Disaster Site Support System and Prototype Simulation for Effective Disaster Response (효율적 재난대응을 위한 스마트 재난현장지원시스템 통합방안 및 프로토타입 시뮬레이션)

  • Park, Hyunchul;Park, Seona;Lee, Jinsoo;Pyeon, Muwo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6
    • /
    • pp.831-839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ickly collect and analyze information generated in real-time at disaster sites to propose an integrated plan for an on-site support system that can support accurate disaster site situation identification and decision-making, and to review field applicability through prototype simulation. Accordingly, information collection, sharing, and convergence technologies that can be used at disaster sites were reviewed, and a plan for integrating a smart disaster site support system that can create an efficient flow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entire stage of disaster management was presented.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operating the system with a prototype manufactured based on the integration plan, simulation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torm and flood disaster scenario, and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functions in the system were implemented normally and displayed on the GIS situation boar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efficient and active disaster response will be possible in a rapidly changing disaster environment.

Problems and Improvement of Field Action Operation manual (공공기관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작성 문제점 및 개선방안)

  • Song, Min-Su;Lee, Jae-Hoo;Kim, Jung-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64-266
    • /
    • 2017
  • 정부(행정안전부)에서는 국가적인 재난관리체계를 갖추기 위해 재난관리책임기관을 대상으로 "공공기관 재난관리 평가"를 통해 재난관리체계를 갖추도록 유도하고 있고, 국가적으로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에 대한 표준화를 제시하여 해당 지자체들이 지역특성을 반영하여 재난유형별 행동매뉴얼과 이를 통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지자체와는 그 특성에 차이가 있는 공공기관이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을 작성함에 있어 아직 정부의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않아 단순 양식과 작성방법만을 개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공공기관의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을 작성함에 있어 발생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공공기관의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작성을 위해 연계성과 통일성을 확보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ire-Fighting Officer for Strengthening Capabilities of Disaster Response System (재난현장 대응체계 역량강화를 위한 소방공무원 의식조사 연구)

  • Woo, Jaebong;Shin, Hojoon;Baek, Minh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3
    • /
    • pp.276-281
    • /
    • 2013
  • This thesis grasped problem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disaster response system repeated during the disaster according to the changes of social environment and suggested current status of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developmental measure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awareness of fire-fighting officer. On disaster site, close cooperation system of disaster safety measure headquarter and urgent rescue controlling association must be formed and range and time of the action must be accurately improved so as not to cause duplication of rights for orders. Also,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must be established so as to strengthen disaster site reaction capability and manpower and equipment for it must be increased. Finally, detailed measures for improving initial reaction capability during the disaster, such as tactic development, reaction plan establishment, etc, are requested.

Utilization of Drone LiDAR for Field Investigation of Facility Collapse Accident (붕괴사고 현장조사를 위한 드론 LiDAR 활용)

  • Yonghan Jung ;Eontaek Lim ;Jaewook Suk;Seul Koo;Seongsam Kim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5_2
    • /
    • pp.849-858
    • /
    • 2023
  • Investigating disaster sites such as earthquakes and landslides involves significant risks due to potential secondary disasters like facility collapse. In situations where direct access is challenging, there is a need to develop methods for safely acquiring high-precision 3D disaster information using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equipped drone survey systems.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of using drone LiDAR in disaster scenarios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collapse accident at Jeongja Bridge in Bundang-gu, Seongnam City, in April 2023. High-density point clouds for the accident bridge were collected, and the bridge's 3D terrain information was reconstructed and compared to the measurement performance of 10 ground control points. The results showed horizontal and vertical root mean square error values of 0.032 m and 0.055 m, respectively. Additionally, when compared to a point cloud generated using ground LiDAR for the same target area, a vertical difference of approximately 0.08 m was observed, but overall shapes showed minimal discrepancies. Moreover, in terms of overall data acquisition and processing time, drone LiDAR was found to be more efficient than ground LiDAR. Therefore, the use of drone LiDAR in disaster sites with significant risks allows for safe and rapid onsite investigations.

A Design of Prototype System f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Management based on Disaster Site (재난현장 중심의 정보 수집 및 관리를 위한 프로토타입 시스템 설계)

  • Lee, Jung-Ki;Bae, Ihn-Han;Kim, Chang-Soo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1
    • /
    • pp.101-107
    • /
    • 2012
  • Real time information on disaster situation is very important in disaster prevention effort. Generally, disaster related organizations use mobile devices to collect various disaster informations of disaster site. However, current disaster collection systems do not provide effective functionality to connect with another disaster information system. Therefore, disaster-related organizations have to make smartphone application for collection and administration of disaster information and then connect it with another information system. If this system is commercialized, vulnerability of previous system can be complemented. Thus, this paper focused on designing a prototype system f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management in disaster site using smartphone applicatiom.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ystem for collecting and displaying disaster site information for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 focusing on earthquakes (재난상황관리를 위한 재난현장정보 수집 및 표출시스템 개발 연구 : 지진을 중심으로)

  • Koo, Jee Hee;Song, Juil;Cho, Jung 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40 no.1
    • /
    • pp.31-40
    • /
    • 2022
  • The importance of disaster management and response is emerging as various disasters such as COVID-19, torrential rains, and fires occur one after another. In addition, in order to respond efficiently throughout disaster response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quickly collect disaster site information and quickly check the site situation through photo and video information so that rapid disaster response can be achieved. In this study, essential information required for decision-making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essential activities of each disaster response stage, analyzing the crisis management standard manual and related laws for each disaster type, and daily comprehensive report. In addition, a list of information necessary to grasp the situation of the disaster site and grasp the status of real-time damage was derived to establish guidelines for collecting volatile disaster site information, and disaster situation information can be efficiently displayed through a spatial information-based display system. By presenting essential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to be collected first, the person in charge of collecting information can efficiently collect information, and the situation room in charge of disaster response decision-making is expected to enable more efficient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by receiving only the necessary information.

A Study of Disaster Preparation Training System for the Industry (재난안전 현장훈련시스템에 관한 연구)

  • Kim, Ku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79-18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 대비 현장훈련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훈련은 실제 재난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형식적인 훈련으로 재난유형 및 발생상황에 부적합한 훈련장소 및 시간에 실시하고 있다. 현재는 사전 공개된 훈련시나리오에 따른 연출된 보여 주기식 훈련으로 실제 재난상황이 발생할 때 의사결정 권한을 가진 지휘권자가 훈련에 불참하는 조직문화가 가장 먼저 해결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재난에 대한 대응능력을 강화하고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훈련이 범국가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안전한국훈련'을 에너지부분에서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미국, 일본의 재난대응훈련의 특징은 우리나라와 같이 평가지표 틀에 맞춘 시나리오를 개발하지 않고 있으며 시나리오 구성도 세분화하지 않고 단지 상황 설정과 대응 메시지, 돌발 메시지 등으로 위기대응 능력을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에너지산업 현장용 재난대비 훈련시스템 개발 및 구축은 국가안전 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국가 차원의 종합 재난대응 및 인프라 제공을 위한 다수의 정보화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재난 정보를 활용한 사전 예방, 신속한 상황 전파, 정보공동 활용 및 대응 미진에 대한 종합적 진단이필요하다.

  • PDF

A Study of Disaster Preparation Training System for the Energy Industry (에너지 산업현장에서의 재난안전 현장훈련시스템에 관한 연구)

  • Park, Nam-Hee;Yeo, Wook-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195-197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 대비 현장훈련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훈련은 실제 재난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형식적인 훈련으로 재난유형 및 발생상황에 부적합한 훈련장소 및 시간에 실시하고 있다. 현재는 사전 공개된 훈련시나리오에 따른 연출된 보여 주기식 훈련으로 실제 재난상황이 발생할 때 의사결정 권한을 가진 지휘권자가 훈련에 불참하는 조직문화가 가장 먼저 해결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재난에 대한 대응능력을 강화하고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훈련이 범국가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안전한국훈련'을 에너지부분에서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미국, 일본의 재난대응훈련의 특징은 우리나라와 같이 평가지표 틀에 맞춘 시나리오를 개발하지 않고 있으며 시나리오 구성도 세분화하지 않고 단지 상황 설정과 대응 메시지, 돌발 메시지 등으로 위기대응 능력을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에너지산업 현장용 재난대비 훈련시스템 개발 및 구축은 국가안전 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국가 차원의 종합 재난대응 및 인프라 제공을 위한 다수의 정보화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재난 정보를 활용한 사전 예방, 신속한 상황 전파, 정보 공동 활용 및 대응 미진에 대한 종합적 진단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