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위험

Search Result 79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Probabilistic Risk Evaluation Method for Human-induced Disaster by Risk Curve Analysis (확률.통계적 리스크분석을 활용한 인적재난 위험평가 기법 제안)

  • Park, So-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6
    • /
    • pp.57-68
    • /
    • 2009
  • Recently, damage scale of human-induced disaster is sharply increased but its occurrences and damages are so uncertain that it is hard to construct a resonable response & mitigation plan for infrastructures. Therefore, the needs for a advanced risk management technique based on a probabilistic and stochastic risk evaluation theory is increased. In this study, these evaluation methods were investigated and a advanced disaster risk evaluation method, which is based on the probabilistic or stochastic risk assessment theory and also is a quantitative evaluation technique, was suggested. With this method, the safety changes as the result of fire damage management for recent 40 years was analyzed. And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that of Japan. Through the consilience of the traditional risk assessment method and this method, a stochastical estimation technique for the uncertainty of future disaster's damage could support a cost-effective information for a resonable decision making on disaster mitigation.

Development of Natural Disaster Risk Assessment Technique (자연재난 위험도 평가 기법 개발)

  • Choi, Changwon;Bae, Changyeon;Kang, Ho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87-87
    • /
    • 2018
  • 지난 30년간 한반도의 연평균 기온은 $1.2^{\circ}C$ 상승하여, 전세계 100년간 평균 기온 상승 $0.74^{\circ}C$에 비해 그 상승폭이 크게 증가하였다. IPCC 5차 평가보고서(2013년)의 RCP 시나리오에 따르면, 4차 평가보고서(2007년)의 SRES 시나리오에서 보다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영향이 크게 증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2050년 연평균기온의 변화가 기존 $2.0^{\circ}C$에서 $3.2^{\circ}C$로, 강수량은 기존 11.5%에서 15.6%대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최근 10년간 발생한 자연재난을 살펴보면 호우, 태풍에 의한 피해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대설, 강풍에 의한 피해가 뒤를 이었으며,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재난 재해의 형태는 점차 대형화 다양화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효율적인 재난 대응 및 대책수립을 위해 재난 위험도 평가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국내의 다양한 부처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재난 위험도 평가체계 및 방법론이 각 연구별로 다원화되어 있고, 실무적용 또한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NISDR 등 국제기구에서 제시하는 위험도 평가방법론을 기반으로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위험도 평가 방법론을 정립하고, 홍수, 태풍, 대설, 가뭄 등에 대한 재난 위험도 평가 기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실제 피해 통계와 평가 결과에 대한 비교 및 적정성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최적의 위험도 평가 체계 및 방법론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위해성, 노출성, 취약성 및 저감능력 지표로 구성된 재난 위험도 평가 기법을 개발하였고, 재난 유형별 지역별 10단계, 5등급의 위험도 평가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 태풍, 대설, 가뭄 등 6개 자연재난 유형에 대한 위험도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으며, 향후, 국가 및 지역 재난안전관리계획에 자연재난 위험도 평가 결과 활용을 위해 후속 연구를 추진 중에 있다.

  • PDF

Luhmann's Sociology of Risk and Disaster Information Communicationm (루만의 위험사회학과 재난정보 소통)

  • Son, Ki-Chon;Park, Choo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17-220
    • /
    • 2015
  • 위험에 대한 인문사회학적인 고찰은 물리적이고 기술적으로 대응하는데 주력하는 재난관리 연구에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 재난관리가 국민들에게 제공되어지는 국가의 서비스라는 측면에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국에서의 위험에 대한 인문사회학적 논의는 산업사회의 다음 단계로써 현대사회가 바로 위험사회라는 사회변동론적인 접근을 하는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론"에 경도되어 풍부한 논의와 발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루만의 위험사회학은 소통에 기반을 둔 방대한 사회체계이론으로 위험에 관련한 소통을 위해와 위험으로 구별함으로써 현대사회에서의 위험에 대한 인식과 대처에 새로운 안목을 제시함과 동시에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루만의 위험사회학이 이론적으로 정교한 체계이론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행위자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위험과 관련된 체계들, 즉, 재난관리체계, 정치체계, 법체계, 경제체계, 환경 체계, 언론체계, 등의 다이나믹스를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by Risk Assessment (국가 재난 위험성 평가를 통한 재난관리시스템 구축 방향 연구)

  • Lee, Sahong;Kim, Soo-Dong;Song, Eun-Joung;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49-350
    • /
    • 2017
  • 재난발생은 복합재난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재난관리 측면에서는 재난유형별 분산관리를 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자연재난이나 사회재난의 구분 없이 중점관리대상 재난유형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 대상 국가에 국제표준 ISO/IEC 31010 재난 위험성 평가 방법론을 적용 분석하고 중점관리대상 재난 리스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국가에 영향을 미치는 재난 중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의 정량적 위험성 평가는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재난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국가 재난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Design of Segments Based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System (Segment 기반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설계)

  • Lee, Jae-Young;Lee, Seung-Hyung;Ahn, Byung-Dug;Oh, Jung-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202-203
    • /
    • 2019
  • 최근 재난 발생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재난이 발생 시 사람들에게 재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기존에는 재난이 발생 시 지역단위로 다양한 매체를 통해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 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단위(시군구 or 읍면)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위험 발생지역과 동일 지역에 있더라도 위험 영향범위 내에 있지 않는 사람에게도 동일한 재난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혼란을 야기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재난 발생 지점을 기반으로 Segment 를 생성하고 관리 하여 위험지역의 사람들에게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Segment 기반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계 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재난 발생 시 재난 종류에 따라 위험 지역을 세분화 하고 발생 지점을 중심으로 Segment 를 생성한다. Segment 에 포함된 인구를 추출하고 위험 지역 별로 재난 정보를 제공한다.

  • PDF

Impact of Disaster Awareness on Government Trust (재난에 대한 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 Lee, Young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3 no.4
    • /
    • pp.47-63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disaster risk perception levels of Koreans on government trust. To this end, differences in disaster risk perception levels based on social disaster types and the effects of social disaster risk perception levels on government trust were analyzed. In the preliminary survey, three types of social disasters with high risk levels (bird flu, fine dust, and nuclear power plants) were selecte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09 Korean men and women aged 20 years and older. First, the analysis results demonstrated that social disaster perception levels differed based on social disaster types.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in terms of social disasters, proactivity, personal knowledge, familiarity, severity, fear, and risk associated with chances of recovery did not affect government trust. Third, the perception of delayed social disaster risk had a positive effect on government trust. Fourth, scientific knowledge about social disasters, control capabilities, lethality, and risk perception at the onset time had a negative effect on government trust.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Strategy for Information Merging and Utilization for Comprehensive Risk Analysis on Regional Societal Disasters (지역 사회재난 위험분석을 위한 정보 융합 및 활용 방안)

  • Shin, Hee-Young;Cha, Areum;Kim, Kyoungjun;Jeong, Jae-H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48-149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지역별로 발생 양상이 다른 사회재난의 종합적 위험분석을 위한 정보활용 방안 및 전략을 제안한다. 사회재난은 재난유형이 매우 다양하며, 각기 다른 발생 및 전파양상을 가지고 있어 전문성을 기반으로 관계하고 있는 개별부처에서 각각 관리되고 있다. 재난이 발생 후 대응, 수습 및 복구에 이르는 활동은 대표적인 현장대응 부처인 행정안전부, 경찰청, 소방청 등에서 주로 담당하고 있으나, 예방 및 대비 활동은 각 부처에서 개별법령에 의한 제도 및 정책에 의해 위험요소를 저감하기 위한 활동으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화학사고의 경우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장외영향평가, 화재는 방화지구, 화재경계지구, 산불은 산불취약지수 등 각각의 물리적 매커니즘을 적정히 고려하는 이론적 근거의 의해 사전에 그 위험을 평가하고 있으나 재난관리 예방을 담당하는 부처에 까지 연속성을 가지고 그 결과들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부처에서 개별법령에 의해 평가되는 공신력 있는 자료들의 융합적 해석에 근거한 종합위험 평가 개념을 정립하고 실제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PDF

Learning from the UK Disaster Management and Risk Assessment Systems (영국의 재난관리체계 및 재난위험성 평가제도의 도입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Kim, Hak-Kyong;Kang, Wook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50
    • /
    • pp.11-32
    • /
    • 2017
  • The Civil Contingencies Act 2004 in the United Kingdom provides a comprehensive definition of "Emergency", calling upon the Uk's emergency management to deal with any disaster risk regardless of cause or source. Old contingency plans for civil defense and peacetime emergencies have been integrated into current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In the UK, emergencies are managed by emergency services and other responders at the local level without direct involvement of central government. On top of this, a classified assessment of the risks of civil emergencies is also conducted on a regular basis, not only at the local level but also at the national level.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Uk's emergenc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recent changes, and its risk assessment systems. Finally, the research draw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disaster management mechanism as follows: 1) Korea should adopt an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nd combine civil defense with peacetime emergency planning, 2) it should create inter-operability between emergency responding organizations such as police, fire and ambulance, and finally 3) it must develop risk evaluating tools, such as a Community Risk Register and National Risk Register, both at the local and the national level. Last but not least, the UK emergency management system cannot be directly lifted from the UK and applied to risks and hazards faced by South Korea. Therefore, cross-cultural synthesis of many national approaches to emergency management is further required particularly for customizing policy to the particular needs of Korea.

  • PDF

The Plan of Sensing of Disaster Signs Analyzing Big Data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전조감지 방안)

  • Choi, Seon-Hwa;Choi, Seu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01-801
    • /
    • 2012
  • 최근 과학 IT 패러다임은 기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중심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치 사회 경제 등 제반 이슈와 연계된 분석 예측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모바일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 등장으로 데이터가 경제적 자산이 되는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하였다. 급속히 변화하고 복잡해진 사회구조와 재난환경으로 인해 인력에만 의존한 재난관리의 사각지대가 대형재난으로 이어질 우려가 크므로 다양한 재난전조(前兆)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터넷에 존재하는 재난관련 언론보도, 민원, 제보, 소셜 미디어 등의 비정형 데이터와 재난관련 정형 데이터(DB)를 융합 분석하여 재난전조를 사전에 감지하고 위험요소를 신속히 제거하는 빅데이터 기반 재난전조감지 체계를 제안한다. 최근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도시내수침수 피해 위험 예방을 위해 제안한 재난전조감지 체계를 적용하여 피해발생 위험요소 및 전조, 긴급 이슈 등을 감지하는데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는 전조를 감지하고 사전 침수 피해를 예측하여 피해 최소화 및 복구비용 절감, 저감능력 강화의 효과뿐만 아니라 위험요인 사전 차단 및 확산방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lementation System and Strategic Implications for Disaster Risk Reduction by the United Nations (유엔의 재난위험 감소 추진체계 및 전략의 시사점)

  • Kim, MyungHe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
    • /
    • pp.211-219
    • /
    • 2020
  • This paper examines in depth the UN's disaster risk reduction system and framework that affect a country's disaster safety strategy and focuse on identifying the global trends in disaster risk reduction that have emerged in the Hyogo and the Sendai Framework, a disaster risk reduction strategy proposed by the UN since 2000. For this aim it attempts a theoretical review based on collecting a variet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s, draws meaningful implications and suggests alternatives to a national disaster risk reduction polic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UN disaster risk reduction mechanism is UNISDR, the Secretariat is UNDRR, and the SRSG represents it, and the Sendai Framework, developed from the Hyogo Code of Conduct, a global strategy which has been for disaster safety for the past decade, will lead global disaster safety for the next decade. The policy implications drawn from the analysis of both strategies are the emphasis on consistent international coordination, strengthening resilience and an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approach. In conclusion, this paper proposes the need for a disaster risk reduction strategy to establish a resilience reinforcement system to proactively identify and cope with risk factors and to minimize impacts, to promote the coordination of international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at the government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