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위해분석

Search Result 87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Risk Analysis of Social Disaster (사회재난의 재난위해분석에 관한 연구)

  • Lee, Kwan-Hyoung;Yi, Waon-Ho;Yang, Won-J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9 no.2
    • /
    • pp.15-21
    • /
    • 2016
  • According to the disaster statistics issued by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traffic accidents, fire, collapses and others are classified into twenty-three (23) categories. In the past, disasters were mainly caused by the influence of nature, such as typhoon or drought. On the other hand, as society has become city-centered, social disasters' types, frequencies and scales are becoming more diversified and ever-increasing. However, there are no specific criteria and assessment methods that can measure degrees of social disasters-related risks obj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targeted traffic accidents, fire and collapses from major social disasters, utilized data that are related to occurrence rate, scale of casualties and scale of property loss in past eight years, and calculated the disaster risk index using the distance (Euclidean distance) between two points on the 3D spatial coordinates, in order to make the objective assessment by social disaster type possible. These results will enable the objective evaluation of risk index of major social disaster to be used as the foundational data when building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 Application Study of Disaster Information System Based on Cloud Computing Service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기반 재난안전정보시스템 활용에 관한 연구)

  • Jeong, Inkyu;Park, Jin Yi;Kim, Min Ho;Lim, Jungtak;Kim,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366-367
    • /
    • 2016
  • 과거 활용되던 재난관련 정보는 재난 발생을 신속하게 전파하거나, 피해규모, 복구자원 현황을 파악하는 등 재난피해 복구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IT 기반이 확충되고 컴퓨팅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그 양상이 변화하고 있다.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술은 재난의 예방과 대비를 위한 기술에 활용되고 있으며, 재난현장의 실시간 정보획득을 위해 IoT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이처럼 재난정보의 수집, 관리, 분석 제공에 관한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서 재난의 양상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 및 이용을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재난관련 정보 활용 양상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재난관리시스템에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적용 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재난은 이제 사회 전반의 모든 정보를 다뤄야 하기 때문에, 과거 빅데이터의 3대 요소인 크기(Volume), 속도(Velocity), 다양성(Varsity)을 넘어 정확성(Veracity)과 가치(Value)를 뽑아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나아가 재난정보시스템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 PDF

A Study on the Utilization by Analysis the Actual Situation of the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Focus on Fire Department -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의 실태분석을 통한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소방분야를 중심으로 -)

  • Chae, Jin;Woo, Seong-Cheo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0 no.3 s.63
    • /
    • pp.71-84
    • /
    • 2006
  • This research is designed for Disaster Mangement Information System(DMIS) which is essential to management of disaster. Management of disaster is not only social problem but also official policy. To perform the research, we examined the necessities,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DMIS,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of DMIS in operation, and reviewed relevant document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using DMIS, we analyzed degrees of cognition, channels of cognition, ratio of application, the reason why people do not use DMIS, and the fields suitable for applications of DMIS. And, to evaluate DMIS, we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In that analysis, we set utility, accessibility, quickness, compatibility, and public ownership of information as independent variabls, and we set overall estimation as dependent variabl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DMIS in operation, to evaluate the DMIS from the viewpoint of fire officers, to reveal the problems of DMIS, and to present better ways for using DMIS from its own problems. For analysis of data, we used frequenc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ro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advised that better application of DIMS requires Standardization and compatibility of DIMS, public ownership of information, use of IT(Information Technology) like mobile information system, management and analysis of disaster information, maintainment of personnel specialized in information part, and necessities for education and training.

The Systematic Approaches to resolve Information Conflict Issues occurr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field (재난안전 분야의 정보갈등 관리체계 구축 방안)

  • Choi, Woo-Jung;Kim, Min-Jung;Lee, M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93-294
    • /
    • 2017
  • 본 연구는 재난안전 분야에서 발생되는 정보갈등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재난갈등 정보 DB 구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외 연구기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을 분석하여 갈등 DB연구의 새로운 접근방법을 고려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제안하였다. 최근 정보갈등 관리를 위해 정보손실 예방, 갈등양상의 세분화, 다양한 관점의 자료획득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임에 따라 재난안전 분야의 갈등특성을 고려하여 재난유형별로 재난관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갈등의 행위주체, 주체별 갈등관리의 문제점 및 해결전략에 대한 정보관리 및 DB 구축을 제안한다. 재난갈등 사례의 장기적 자료 축적을 통해 향후 재난관리 과정에서 재난유형별로 발생 가능한 갈등유형을 예측하고, 유형별 갈등관리 전략에 관한 정보 분석을 통해 갈등에 대처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 PDF

Structuring Domestic Law for Emergency Alert (국내 재난방송관련 법령 체계 정립 방안)

  • Byun, Yoon Kwan;Lee, Yong-Tae;Choi, Seong 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288-289
    • /
    • 2018
  • 현재 우리나라는 방송 사업자의 재난방송 의무가 다양한 법령에 분산되어 있어, 중복 및 충돌 가능성이 항상 존재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행 재난방송의 법적 정의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향식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방송 사업자를 통한 재난 정보 전달관련 법령 체계의 재정립을 제안한다. 재난방송의 목적, 방송 내용, 방송 시기 등을 조사하여 방송통신발전 기본법의 재난방송 정의에서 야기될 수 있는 모호성, 중복성, 충돌가능성 등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현 재난방송의 범위를 수동적 재난방송과 능동적 재난방송으로 분류하는 체계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체계는 앞으로 재난방송관련 정책 수립 및 재난방송 제도개선을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Regulations for Emergency Alert (국내외 재난방송관련 규정 분석)

  • Byun, Yoon Kwan;Ryu, Sinuk;Choi, Seong 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290-291
    • /
    • 2018
  • 최근 우리나라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재난경보 전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시스템 연동 및 자동화에 있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미국의 관련 규정을 조사 분석한다. 미국은 능동적 재난방송을 법으로 규정하지 않고, 수동적 재난방송만 연방정부 규칙으로 정한다. 이러한 규칙은 시스템 간의 연동을 위한 표준, 수신기 재난경보 수신을 위한 요구사항 등 기술적인 규정을 포함하고 있다. 반면 국내 규정은 주로 관련 인적 행정 조직의 운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향후 다양한 매체를 통해 고도화된 재난방송을 위해, 우리나라도 이러한 기술적인 요구사항을 법령에서 규정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미국 사례 분석은 ATSC 3.0 재난방송의 기술적 규칙 작성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nalysis and Recommenda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System for Citizens (시민 대상 재난안전교육 체계 분석 및 제언)

  • Kwon, Yo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13-21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한국사회 내 2014년 이후 2022년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생애주기별 재난안전교육 체계를 분석하여 재난 발생 시 자신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재난안전교육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제언을 통해 시민 대상별 최적화된 재난안전교육 체계화를 모색하고자한다. 2014년 4월16일에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고는 2015년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규칙의 일부 개정 및 이에 근거한 '국민안전의 날'이 국민안전의 중요성을 되새기자는 의미로 제정된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재난안전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변화의 필요성을 깨닫게 해준 가슴 아픈 사건이었다. 이에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현장대응단에서 2014년 말부터 시민대상 초기대응을 위한 재난안전 교육체계를 기획하고 10만의 안전리더 양성을 추진했다. 동시에 다양한 형태의 시민대상의 재난안전교육이 시, 도별로 진행되었다. 특히 서울 시민의 1%인 10만 시민안전파수꾼 양성을 위해 진행되었던 시민안전파수꾼 정책 사업을 위한 재난안전 교육체계는 시민을 대상으로 황금시간 목표달성을 통한 초기대응으로 재난규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안전에 관한 소양교육의 기본을 구성해 교육했고, 이는 시민 대상 재난안전교육의 방향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정책사업 초기 대학생 이상의 성인을 교육 대상으로 선정하여 교육이 진행되었고, 그 후 2018년 이후 고등학교 이상으로 교육의 대상범위를 확대하여 진행했지만 안전리더로서 역할은 한국사회 전체 구성원들의 인식이 필요한 부분으로 어린 시절부터의 반복 교육을 통한 안전문화가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자연스럽게 습득되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이에 다양한 생애주기별 재난안전교육 체계를 분석하여 국민스스로 재난 발생 시 자신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재난안전교육 인프라 구축을 위해 시민대상 재난 안전교육을 '황금시간 목표달성'을 준거틀로 기존의 중앙, 서울시, 부산시, 경기도 및 산하 교육청에서 실시해온 재난안전교육 체계 관련 문헌의 비교분석을 통해 시민 대상별 생애주기별 최적화된 초기대응을 위한 재난안전교육 체계를 모색하여 재난안전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Survey of American Public Alert and Warning System (미국의 재난정보전달시스템 현황)

  • Lim, Jung-Tak;Jeon, Inchan;Kwak, Chunsub;Chang, Sekchin;Song, Jong Hyun;Choi, Seong Jong;Lee,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155-156
    • /
    • 2011
  • 본 고에서는 미국의 재난정보전달시스템에 대해 조사한 후 우리나라의 재난정보전달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다. 우선, 미국의 관련 제도, 표준 및 시스템에 대해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으로 두 가지의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첫 번째 시사점은 여러 부처에 있는 다양한 재난정보전달시스템을 통합하기 위해 각 기관의 업무 분장을 명확하게 하는 법령의 제정의 중요성이다. 두 번째 시사점은 다양한 재난정보전달시스템을 상호연계하기 위해 정보교환에 필요한 사항을 국가표준이 필요성이다. 본 고의 미국의 재난정보전달시스템 사례 조사는 앞으로 우리나라의 재난정보전달시스템 구축을 위해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Requirement for Verification of Domestic 5G Based Emergency Alert Text Message Service by Analyzing Overseas Emergency Alert Service Test Environment (해외 재난경보서비스 검증 환경 분석을 통한 국내 5G 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검증 요구사항 정의)

  • Yang, Jinyoung;Kim, Heekwang;Kwon, D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1.06a
    • /
    • pp.116-119
    • /
    • 2021
  • 국내 이동통신은 4 세대(4G)에서 5 세대(5G)로 전환되는 과정에 있으며 행정안전부는 기존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5G 망으로 고도화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재난문자 길이의 확장, 송출 지역 세분화, 외국어 문자 지원 등을 긴급재난문자 서비스에 포함하기 위해 국내외 표준화와 검증 시스템 구축이 준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5G 망으로 고도화된 긴급재난문자를 서비스하기 위해 요구되는 검증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검증할 리빙랩이 구축될 예정이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Disaster Safety Lexicon Patterns in Social Media (소셜미디어를 통해 본 재난안전 분야 어휘 사용 양상 분석)

  • Kim, Tae-Young;Lee, Jung-Eun;Oh, Hyo-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0
    • /
    • pp.85-93
    • /
    • 2017
  • Standardization of disaster safety lexicon is important as the most basic process for successful accident prevention and response. A lack of understanding of disaster safety lexicon leads lack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which can be a problem in communicating with appropriate responses in case of a disaster. Currently disaster and safety control agencies produce and manage heterogeneous information and they also develop and use word dictionaries individually. To solve this problem, identifying differences of disaster safety lexicon patterns by the user are essential for standardization. In this paper, we conducted lexicon patterns analysis based on social media and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attern types. At the result, we proposed the standardization and construction methods of disaster safety word diction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