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안전 관리

Search Result 99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alyzing the Capability of University Emergency Management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 분석)

  • Park, Se-Ryeun;Yoon, Hong-Sik;Lee, Jae-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23-32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대학교의 재난안전관리 역량 증진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이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학교는 다량의 화학물질 보유, 출입통제 제한적, 인적 물적 인프라 집중 등의 이유로 재난 및 안전사고 발생 확률이 높으며 동시에 발생 시 피해규모도 클 것이라 예측 가능하다. 하지만 아직까지 대학교 재난안전관리에 대하여 대학실험실안전관리에만 치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지표를 개발하고 역량수준을 진단하여 전반적인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수준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지표 개발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국내외 재난안전관리 역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현황분석을 통한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업무목록을 바탕으로 국내외 재난안전관리 역량지표를 적용하여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지표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Continuity of Recordkeeping Operations (기록 업무 연속성 향상 방안)

  • Lee, Young Jun;Cho, Jong-yeun;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91-192
    • /
    • 2023
  • 본 연구는 재난안전법 제 69조의 재난원인조사의 자산화를 통한 재난관리 업무 연속성을 위한 방안으로 표준화 등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재난안전법」제69조와 동법 시행령 제75조의3 및 동법 시행규칙 제19조의5에는 재난원인조사에 대한 내용이 예비조사부터 본조사 등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다. 과학적 재난관리를 위해서는 과거의 재난관리에 대한 기록이 풍부하게 존재해야 이를 바탕으로 AI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재난관리 기록을 통하여 과거를 거울삼아 미래를 예측하고 현재의 재난관리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재난관리 사례를 자산화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현재의 법과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법과 제도의 개선에 중점을 두어 진행 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Plan of Design and Operation for Education Training of Disaster & Safety Field Workers with the Amendment of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개정에 따른 재난안전분야 종사자 교육훈련 설계 및 운영 발전 방안 연구)

  • Nam, Sangwhun;Park, HaeJ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4
    • /
    • pp.484-49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evelopment plan for systematic design and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The curriculum is intended for current disaster management professionals. Prior to analysis, disaster and safety professional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isaster practitioner, disaster manager, and disaster higher manager. And based on 24 disaster safety functions and 13 disaster management competence items, priorities of their task ability were derived. Considering practical effect of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the course curriculum is divided to target groups of disaster practitioner, disaster manager, and disaster higher manager.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design are based on the results of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planning to reflect the elements of advanced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 and to consider brand making of the curriculum and operation pattern.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통합적 재난안전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Kang, Heau-Jo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4 no.2
    • /
    • pp.260-265
    • /
    • 2010
  • In this paper, we study of th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find recognition comprehensions and the problem points which are basic in our system. We dedicate this research on improvement analysis and main discussion issues of the system that based on diagnostics in developed countries' system. By taking some essential points of advanced like systems, we construct our own system. Beside that it is proposed to solve problems and find improvement issues by comparing with advanced systems.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of a Business on its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Competence (기업의 재난 및 안전관리체계 특징이 재난 및 안전관리 활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재난 및 안전관리 능력과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Choi, Wan-Gyu;Kim, Sang-Gil;Rhim, Jong-K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6
    • /
    • pp.215-22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officers and managers handling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competence, and performance among disaster and safety work-level officers in medium-sized companies in South Korea.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urveyed 509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officers of various companies and analyzed the resultant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fety officers handling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fety officers handling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competence. Third,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competence of the safety officer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fety officers handling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of businesses and their performance, the competence of the safety officers had a mediating effect.

The Role and Direction of BCMS and Disaster Management for the Paradigm Shift in the Meta-Disaster Era (메타재난시대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BCMS와 재난관리학의 역할과 방향)

  • Lee, Jae-Eun;Jeong, Kyung-Ok;Cheo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65-266
    • /
    • 2022
  • 인류의 역사는 재난과 함께한다. 특히 최근 10년간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다양한 자연적·사회적 재난은 그 정도와 속도가 점점 심해지고 빨라지고 있고, 이에 관한 구체적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최근 발생한 COVID-19 감염병 팬데믹을 겪으면서 우리는 메타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새로운 인식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국가적 차원에서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를 갖추고 이를 운용할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재난시대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BCMS 분야와 재난관리학의 역할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재난안전 관련 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재난정보관리를 위한 재난안전데이터 표준화 기술 개발

  • Kim, Byeong-Sik;Lee, Dong-Seop
    • Water for future
    • /
    • v.52 no.1
    • /
    • pp.40-51
    • /
    • 2019
  • 본 연구를 통해 재난안전데이터의 공동활용을 위해 다양한 관점에서의 데이터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4차 산업혁명에서의 데이터의 위치와 빅데이터에서의 데이터 융합, 공공데이터 이용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에서도 볼 수 있듯이 재난안전정보 뿐만 아니라 데이터는 수요자 중심의 활용과 이용으로 새로운 데이터의 가치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재난안전정보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공동활용을 위해 재난안전정보 관점에서 비정형 자료의 데이터 수집,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및 데이터의 표준(안), 재난안전정보의 교환 표준(안) 및 공동활용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재난안전정보의 공동활용 체계를 구축하여 정보공유 및 재난안전정보의 추적, 활용이 가능하게 하여 신속하게 대국민 재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 경험기반의 재난관리 및 지능형 재난관리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evelopment of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Analysis Program for Local Government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관리 자체 역량분석 프로그램 개발)

  • Yoo, Byungtae;Oh, Keumh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3
    • /
    • pp.266-275
    • /
    • 2013
  • New paradigm to the advancement of disaster management is required for building resilient and safe society. In these circumstances, the importance of local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has been emphasized through experiencing a series of accidents including 2012 september Gumi fluorosilicic acid diffusion accident. The increase of people's disaster awareness has emerged the public demands on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of local area. In this study, the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analysis program is developed for self-assessment of local government. The program is designed for disaster managers to database the categorized index of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and recognize the capacity level. For the public announcement of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the analysis results are shown for citizens in the understandable format. It is expected that the enhancement of emergency management capacity of local society can be achieved by the efforts of local government analyzing and improving the vulnerability as well as the participation of local society.

Development of Terminology Construction Tool for Disaster Safety Information Sharing (재난안전정보 공유를 위한 용어사전 구축도구 개발)

  • Kim, Tae-Young;Yang, Joogsik;Oh, Hyo J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546-549
    • /
    • 2018
  • 다양한 재난안전 유관기관으로부터 생산 및 관리되는 재난안전정보는 공유를 통해 재난관리업무를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재난안전정보 공유를 위해서는 우선 재난안전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표준화 및 체계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다양한 분야에서 축척된 용어들을 모두 종합 검토하고 형상 관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축도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정보 용어사전 구축도구를 통해 재난안전 분야의 용어를 입력하고 정제 및 검토하는 과정을 통하여 용어 표준화를 수행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 개발된 구축도구는 웹 기반 다중접속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었고, 하나의 표제어에 다양한 정의문이 할당되는 일대다 관계로 용어사전을 관리하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혼재되어 있는 정의문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는 개발된 구축도구를 활용하여 재난안전정보 용어사전을 구축 중에 있으며, 차후 구축된 용어사전을 재난안전 분야 실무자 및 일반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용도구 구축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계획이다.

  • PDF

Notes on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for Resilient Response to Disaster (지역사회 재난 탄력적 대응 위한 통합 재난안전 관리체계 개선방향에 관한 소고)

  • Shin, Sangmin;Park, Heeky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8 no.2
    • /
    • pp.11-20
    • /
    • 2015
  •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is recently concerned due to incompletion and inadequacy in establishment of the system. In this regards, this study aims to examine improvement of the domestic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concept, which are recently considered i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To do this, the authors examined the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with representative principles to enhance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in community based on diversity and redundancy, connectivity, slow variable, systematic approach, learning and feedback, and active particip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improvements and recommendations proposed by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principles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strategies, policies, and R&D for enhancing domestic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in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