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사례

Search Result 56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Disaster & Safety Education Based on Voluntary Leisure Activities (자발적 레저활동 기반 재난안전교육 방안 연구)

  • Kim, Jae-Hyeon;Kim, Yo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59-36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접근성과 기회를 확대하고 시간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재난안전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레저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였고, 이를 가지고 여러 기관과 단체는 사회문제 또는 특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레저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여러 프로그램과 행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 중 '플로깅'은 달리기를 하는 사람들에게 달리기 활동에 쓰레기를 줍는 활동을 녹여 자연스럽게 쓰레기를 줍도록 만들었다. 위와 같은 사례를 응용해 레저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안전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모델을 통해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접근성과 기회가 확대될 것이며, 사람들은 레저활동을 즐기며 자연스레 재난안전교육을 받게 될 것이다. 또한 재난 안전에 대한 인식이 늘고, 활동의 전이 및 확산을 통해 타인까지도 재난안전교육의 현장으로 이끌어 올 것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The Systematic Approaches to resolve Information Conflict Issues occurr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field (재난안전 분야의 정보갈등 관리체계 구축 방안)

  • Choi, Woo-Jung;Kim, Min-Jung;Lee, M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93-294
    • /
    • 2017
  • 본 연구는 재난안전 분야에서 발생되는 정보갈등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재난갈등 정보 DB 구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외 연구기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을 분석하여 갈등 DB연구의 새로운 접근방법을 고려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제안하였다. 최근 정보갈등 관리를 위해 정보손실 예방, 갈등양상의 세분화, 다양한 관점의 자료획득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임에 따라 재난안전 분야의 갈등특성을 고려하여 재난유형별로 재난관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갈등의 행위주체, 주체별 갈등관리의 문제점 및 해결전략에 대한 정보관리 및 DB 구축을 제안한다. 재난갈등 사례의 장기적 자료 축적을 통해 향후 재난관리 과정에서 재난유형별로 발생 가능한 갈등유형을 예측하고, 유형별 갈등관리 전략에 관한 정보 분석을 통해 갈등에 대처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 PDF

Evaluation of Hazus-MH Applicability to Disaster Loss Estimation (재난 손실 평가를 위한 Hazus-MH의 국내 적용성 평가)

  • Lee, Jun Hyeong;Chae, Myung Byung;Jung, Sung Eun;Choi, Chang Hy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34-134
    • /
    • 2018
  • 전 세계적으로 자연재난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인명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방재 선진국의 경우 자연재난의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 재난 손실 평가 시스템을 활용한 방재 대책을 모색하고 있다. 재난 손실 평가 시스템은 컴퓨터 및 지리정보시스템(GIS) 등을 기반으로 기존의 손실 평가 과정을 전산 시스템화 한 것으로, 재난발생 전과 후에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손실을 평가함으로써 방재대책을 실현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재난 손실 평가 시스템인 Hazus-MH(Hazards U.S. Multi-Hazard)를 이용하여 국내 홍수피해 사례를 모의하고, 손실 평가를 수행한 결과와 실제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비교 및 분석 하였다. 또한, 국내 재난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Hazus-MH에 사용함으로써 국내 적용 방안 및 한계점을 소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표적인 방재선진국인 미국의 재난 손실 평가 시스템을 국내에 적용해보고, 국내 재난 손실 평가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Wildfire Disaster Response based on Cases of International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s (해외 재난 안전관리 시스템 사례기반 산불재난대응 연구)

  • Lee, Jihyun;Park, Minsoo;Jung, Dae-kyo;Park, Seung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0 no.3
    • /
    • pp.345-352
    • /
    • 2020
  • Forest fires generate many types of risk as well as a wide and varied range of damage. Various studies and systems have emerged in response to wildfire disasters. International wildfir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s apply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utilizing big data, GIS-based systems, and decision-making systems. This study analyzes South Korea's and other countries' forest fir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s, and suggests alternatives for wildfire disaster safety management in Korea. First, a means of integrating information, including field information, obtained by domestic agencies is proposed. Second, a method of applying big data to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is proposed. Third, a decision-making system is applied to an existing GIS-based system. When applying the above countermeasures to Korea's existing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can be visualized and thus more easily identified, leading to more effective decision-making and reduced fire damage.

A case study of the disaster in Yeongdong province of Gangwon-do and Disaster Culture Survey through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조선왕조실록 문헌을 통한 강원도 영동지방의 자연재해 발생 및 재난문화 사례 조사)

  • Bae, Yun Ah;Yim, Su Jeong;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69-369
    • /
    • 2019
  • 최근 전 세계적 기상이변으로 홍수 가뭄 폭설 혹서 혹한 등의 재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 기상이변으로 인한 재해는 과거에도 존재하였으며 한민족의 역사와 함께하였다. 온고이지신가 이위사의(溫故而知新可以爲師矣)는 논어의 위정편(爲政編)에 나오는 공자의 말씀이다. '옛 것을 익혀 새것을 알면 남의 스승이 될 수 있다'라는 뜻으로 재난을 연구하는 연구자의 입장에서 보면 반드시 새겨둘 구절이다. 역사 속에서 자연재해는 군주(君主)의 부덕(不德)이나 실정(失政)의 소치(所致)로 여겨지고 나아가서는 왕조나 국운의 쇠퇴와도 관련이 이어지기까지 했다. 이미 과거 자연기록에 있었던 일들이며 이러한 사실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조선시대의 자연재해 기록을 살펴볼 수 있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경술년 현종 11년(1670년 5월 2일) "가없는 우리백성들이 무슨 죄가 있단 말인가. 아, 허물은 나에게 있는데, 어째서 재앙은 백성에게 내린단 말인가." 1671년 말 경신대기근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100만 명에 이른다고 기록도 있다. 기양의례'란 가뭄, 홍수, 전염병 같은 자연재해만이 아니라 개인의 질병과 불행 등 일상적인 삶의 조건을 위협하는 상황이 닥쳤을 때 이를 소멸하고자 거행하는 대표적인 재난문화의 종류이며 비정기적 의례를 의미한다. 조선시대에 기양의례는 재난대응의 상징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현재의 우리나라로 보면 재난안전대책 본부와 비견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기양의례"를 통해 임금을 포함한 조정이 적극적 해결의지를 천명하고 각 고을의 관리와 지방군을 동원하여 수습 복구에 최선을 다했다. 부세를 견감하고 구제곡을 지급하는 등의 진휼정책이 뒤따랐다. 백성들도 오가작통제와 향약을 통해 환난상휼을 실천하였다. 이처럼 조선시대에는 비록 기술적인 부분은 미약했지만 재난대응의 체계만큼은 상당히 앞서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의 강원도 영동지방 자연재난사례를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조사하고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재난문화를 조사하고자 한다.

  • PDF

위성 재난통신 시스템 활용 방안 연구

  • Yu, Jun-Gyu;Gang, Gun-Seok;O, Deok-Gil;Jang, Dae-Ik;An, Jae-Ye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10
    • /
    • pp.49-56
    • /
    • 2014
  • 본고에서는 세월호 침몰사고 이후 재난재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에 따라 태풍, 지진, 산불 등의 재난재해 시 S/Ku/Ka 대역 정지궤도 위성을 이용한 비상재난통신망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향후 필요로 하는 위성기반 비상 재난통신 망 활용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Telecommunication and Disaster Management (방송통신과 재난)

  • Choe, Seong-Jong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7 no.3
    • /
    • pp.7-14
    • /
    • 2012
  • 본 고에서는 "방송통신과 재난"의 연관성을 세가지 관점에서 분석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이 프레임워크는 "대국민 재난방송통신", "재난안전통신" 및 "방송통신 재난관리"의 세 가지 핵심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영역의 주요기능과 이슈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국내 관련 법을 분류하였고 미국의 사례 분석도 간략히 기술하였다. 본 고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는 향후 우리나라의 관련 법, 정부 조직 및 정부 정책의 기본 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velopment of M2M-based Underground Space (subway) for Disaster Response EL Display Integrated Board (M2M기반 지하공간 재난대응 EL 디스플레이 통합 보드 개발)

  • Park, Eun-Churn;Park, Wan-Soon;Park, Mi-Yun;Na, Yong-Hyun;Lee, J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80-281
    • /
    • 2017
  •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지하철역사의 재난 전조를 조기에 발견하고 승객들에게 피난을 유도하는 지하철 재난전조 감지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 재난 발생시 상황대피 유도방법과 정확한 재난 위치 알림 및 대피경로 안내는 재난 상황에 빠른 대피와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수 있는 매우 적극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피를 가장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재난대응 EL Display 통합 보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현장 실험을 통해 실제 활용성에 대한 검토를 실험하였다. 특히, EL패널을 재난 대피유도용으로 활용한 사례가 없어 현장적용테스트를 거쳐 그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 PDF

Operation Case Analyses of Snow Removal Equipments using Information system Technologies (정보 시스템 기술을 적용한 제설장비 운영 사례 분석)

  • Kim, Hee-Jae;Kim, Geunyo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4 no.2
    • /
    • pp.154-164
    • /
    • 2018
  • Purpose: Recent climate change makes weather-related disasters such as summer storms, heavy rains, winter snowfall disasters, and extreme cold temperature increase in trend. Heavy snowfall disasters requires speedy response due to various effects to traffic flows, buildings, and infrastructure. Heavy snowfall disaster response of South Korea is insufficient, even though heavy snowfall disasters affect urban safety. There have been lack of policy studies for heavy snowfall disasters. Method: This research analyzes case studies and explores implications using Information system technologies to snow removal vehicles and equipments for speedy snow removal during the heavy snowfall disasters. Results: Information system technology attachment to snow removal equipments can identify locations of snow removal vehicles and equipments for emergency period to support snow removal of adjacent jurisdictions. Conclusion: Case studies of this research can be further used for efficient application of snow removal tools of local governments.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Procedures during Theme Groups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s (단체 테마 현장체험학습의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 Bang, Sungmin;Kim, Changh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1 no.1
    • /
    • pp.63-72
    • /
    • 2015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ate of accidents and related issues related to Theme Groups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s of student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security measures to prevent future incidents. Case studies of the sunken Sewol ferry and the collapse of the gymnasium at Mauna resort in Gyeongju are conducted by analyzing the existing literature an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media sources and related agencies. With a basis on the findings of the analyses, it is suggested that legal foundation and disaster and risk management systems (systematic revision of the laws, raised safety awareness among citizens, production and education of security managers, formation of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s, establishment of headquarters in case of emergency and installation of first aid facilities, improved national response system, enforcement of disaster drills, introduction of assessment system, etc.) must be established to contribute to creating a safer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