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대응안전한국훈련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f the Situation Based Disaster Response Model from the Damage of Storm and Flood Field Manual (풍수해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분석을 통한 상황 기반 재난 대응 모델 연구)

  • Lee, Chang Yeol;Park, Gil Joo;Kim, Twehwan;Lee, Hyeon S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4
    • /
    • pp.617-625
    • /
    • 2019
  • Purpose: The fields manuals which is managed by the each disaster types are the integrated guideline. When the disaster occurred, all kinds of SOPs which are described in the manual does not need. Therefore, the person in charge is confused which SOP is executed.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disaster response process model based on the specific disaster situation case. Method: Firstly, we define the disaster situation cases which is mentioned in the field manual, and then, we develop the disaster response process model including indispensible SOPs for the specific disaster situation case. As a verification and feedback process, we apply the model to Safety Korea Exercise scenario. Result: We developed SOP model and disaster response process model reflecting the concept of the disaster situation case. Conclusion: Safety Kore Exercise scenario reflecting the developed model may continuously upgrade the field manual.

동일본 대지진 재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 지진 재난시 우리나라 VTS 대응방안

  • Park, Yeong-Su;Seo, H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270-272
    • /
    • 2014
  • 최근 국내 고층건물에서 비상훈련이 실시되었고, 이 훈련은 사전 예고한 상태로 화재발생 사이렌과 함께 정해진 시간에 대피를 완료한 사람은 약 20%에 머물렀다는 소식은 우리나라의 안전 불감증의 여전함을 절실히 보여주고 있다. 한편 해상에서는 지속적인 지진 발생 및 지진 발생 회수 증가, 지진 강도도 높아지고 있는 등 지진재해 발생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선박 피난에 대한 구체적 대응책 마련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해상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여야 하는 VTS(Vessel Traffic Service, 해상교통관제)의 의미의 재정립이 필요한 시기이다. 2011년 3월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 재해사례의 교훈을 중심으로 한 지진 재난시 우리나라 VTS 대응방안에 대한 제언을 통하여 재난 안전 확보의 가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through Case Analysis of Domestic Disaster Safety Virtual Training Contents (국내 재난 안전 가상훈련 콘텐츠 사례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Eun-Jee Song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5 no.2
    • /
    • pp.467-474
    • /
    • 2023
  • Disaster safety education that can respond when a disaster occurs is very important in Korea, where many human resources are generated due to safety insensitivity.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devices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possibility of using a training system incorporat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the field of safety education is attracting attention. The virtual training system is very effective for training and education because it has an excellent sense of immersion and allows you to experience various disaster situations without time and space limitations. In this study, cases of disaster safety virtual training contents in Korea are collected and investigated, an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disaster safety virtual training contents is identified and analyzed to identify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Educational Curriculum Improvement Direction for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재난관리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향)

  • Chang, J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05-206
    • /
    • 2022
  • 이번 연구에서는 재난관리 교육프로그램 개선을 위해 민방위재난안전교육연구원의 교육과정에 중점을 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AHP분석을 실시하여 교육과정 개혁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난현장지휘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가장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으며, 재난관리 교육훈련 과정에서 대응현장에 적용되는 표준조치절차(SOP)에 대한 이해와 획득이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재난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현장지향적 재난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부문 강화가 필요하다. 특히 재난현장에 참여하는 다양한 정부기관과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들의 현장 이해도 제고를 위한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 PDF

Chemical Accidents Preparedness and Safety in the Situation of COVID-19 Pandemic (COVID-19 확산 상황에서의 화학사고 대비 및 안전)

  • Wang, So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71-372
    • /
    • 2022
  • 국내에서 다양한 규모와 종류의 화학사고가 지속 발생 중이며 이 중 초동대응 실패로 피해가 확산되는 경우도 발생하면서 이에 따른 화학사고 대응능력 향상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그러나 이는 코로나 이전의 상황이며 2020년 이후에는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 여러 분야의 변화로 새로운 개념과 방법으로서 화학사고 대비와 안전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이 생기게 되었다. 화학사고와 같은 특수 상황에 대비하여, 국가적으로 코로나 19 상황 하에서의 재난의료대응 인력에 대한 해당 재난 유형에 대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및 정책이 제공되어야 하며, 재난의료대응기관에서는 현장구조자 및 응급의료진 등 재난의료대응 전문 인력의 양성을 위한 코로나 19와 같은 신종 감염병을 대비한 상황 하에서의 지침 마련, 시스템 보완, 사전 교육이 시행되어야 한다.

  • PDF

Survey and analysis of disaster safety awareness by gender (성별 차이에 따른 재난 안전 인식에 대한 조사 및 분석)

  • Lee, Min Ji;Chung, Gun 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83-483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대형 재난의 발생으로 인해 사회문화적 관습이나 신체조건 등의 차이로 남성보다 여성의 피해가 크다는 사실들이 다양한 사례와 연구를 통해 보고되었고, 개발도상국은 여성의 피해가 큰 반면에 선진국은 여성들의 재난 안전 및 교육 관리에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전반적인 대응 능력을 보일 수 있다는 연구들도 존재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빈번하게 자연 재난이 발생하고 있지만, 실제로 재난 안전 인식에 대한 성별 분석을 하기 위한 자료가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 국민 남녀 489명을 대상으로 재난위험인식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거주지 주변 발생 가능한 재난을 인지하고 있는지, 대피소의 위치를 인지하고 있는지, 안전 관리 교육 경험이 있는지 등의 문항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들의 재난 안전의 위험도에 대한 인식 수준이 어떠한지 분석하고, 영향 요인을 탐색 하는 데에 있다. 조사결과 안전취약계층은 스스로 대피 하는 데에 있어 큰 어려움이 있으며, 이중 여성은 남성에 비해 안전교육과 훈련의 접근성이 적음에 따라 위험도가 더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난 및 안전관리 교육 및 훈련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는 남성과 여성의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재난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가지고 재난 안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구축되는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되어지고, 미래에 자연재해 발생 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인명 피해 감소가 될 전망으로 기대가 된다.

  • PDF

A study on the Mutual Cooperation in Emergency Operation Plan (재난대응계획에서의 상호협력체계 연구)

  • Kim, Jong Min;Lee, Young Ja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5 no.2
    • /
    • pp.27-34
    • /
    • 2012
  • As industries have developed rapidly as well as our society becomes urbanized and globalized, the damage by disaster spreads fast and its extent gets also wide consequently. Therefore, the quicker and systematic disaster response system is required to reduce the damage by disaster. In this context, several studies regarding the mutual cooperation system were conducted.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put more stress on the mutual cooperation system for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than on the local level at an incident scene. For the study on establishing the mutual cooperation system at the field, we took part in man-made disaster response exercises which have been carried out every month, attempted the establishing mutual cooperation system at the local level and researched requirements to build the mutual cooperation system. Also, we designed training scenarios that are necessary at the disaster response training through this study, and developed various forms for the mutual cooperation plan.

Established Smart Disaster Safety Management Response System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혁명 기반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대응체계 구축)

  • Kang, Heau-Jo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3
    • /
    • pp.561-567
    • /
    • 2018
  • In this paper, we apply this method to the entire process of smart disaster safety management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minimize human,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 damage from accidents and disasters, prevention evaluation and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analysis and real-time detection of field situation. Prevention of $5^{th}$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by analysis, contrast by education and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disaster safety management decision support system intelligent robot for recovery, disaster, discovery, reconnaissance relief, and scale analysis of damages were proposed.

Effect of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on Disaster Risk Assessment (재난 위험도 평가 과정에 재난안전교육이 미치는 영향 평가)

  • Chung, Gunhui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0 no.3
    • /
    • pp.366-372
    • /
    • 2014
  • As the disaster becomes bigger and more complicated and causes massive damage in the society, it becomes important to educate and exercise the people for the disaster response and safety.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on the disaster risk assessment was evaluated. Disaster risk was calculated by the likelihood and consequences. The expert survey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education on the likelihood and consequences. The inquiries were divided by the education target which makes different results of the survey. As a result, the disaster risk was reduced upto almost 48% when all people including the government workers and students were educated regularly. The result needs to be verified by the field data analysis. However, it provides the reason why the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is important.

A Study of Emergency Preparedness Status of Korea's Local Governments and Emergency Preparedness Policies of United States' Government (우리나라 지역의 재난대비 실태와 미국의 재난대비 정책 고찰 연구)

  • We, Kum Sook;Jeong, An Young;Sim, Jee Hy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5 no.1
    • /
    • pp.37-42
    • /
    • 2012
  • Local governments need to be prepared for emergency response in order to minimize damages caused by disasters, such as typhoon and chemical incidents. In this study, we have researched and analyzed current emergency preparedness status of Korea's local governments by studying laws and policies, and interviewing emergency managers. We have introduced policies to enhance emergency preparedness capabilities of United States' local governments. These policies could be useful for Korean government in developing policies to build up emergency response capabilities of Korea's local gover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