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폭비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초

벼의 낱알 특성에 관여하는 양적형질유전자좌 분석 (Genetic Mapping of QTLs that Control Grain Characteristics in Rice (Oryza sativa L.))

  • 홈레지나와세라;피카아유사피트리;이현숙;윤병욱;김경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925-931
    • /
    • 2015
  • 미립 품질 향상을 위하여 미립 형태를 결정하는 특성을 위한 분자육종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미립과 관련된 양적형질 유전자좌를 탐색하고, 이들 환경요인과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디카 품종인 ‘청청’과 자포니카형인 ‘낙동’이 교배된 조합 F1의 약배양에 의해 양성된 120 계통(DH 집단)과 217개의 DNA 마커를 이용하여 전체 길이가 2,067cM이고, 마커간 평균거리가 9.5cM인 유전자 지도를 작성하였다. 미립형태 관련 유전자좌 분석에서 미립의 외형인 길이, 폭, 두께, 장폭비, 천립중과 관련하여 14개의 QTL이 탐색되었다. 현미의 미립길이 관련 3개의 QTL (qGL2, qGL5, qGL7), 미립 폭 관련 3개의 QTL (qGW2-1, qGW2-2, qGW2-3), 미립 두께 관련 1개의 QTL (qGT2), 장폭비 관련 6개의 QTL (qLWR2-1, qLWR2-2, qLWR2-3, qLWR2-4, qLWR7, qLWR12) 및 천립중 관련 1개의 QTL (qTGW8)이 선발되었다. 미립 장폭비 관련 4개의 QTL은 미립길이와 미립두께에서 동일한 염색체 상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명된 QTL 마커들은 쌀 품종개량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정수지내 사류지역이 수리학적 효율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Dead Zone on Hydraulic Efficiency in Clearwell)

  • 이승재;신은허;김성훈;박희경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7-185
    • /
    • 2007
  • Hydraulic efficiency($T_{10}/T$) in clearwell is often estimated by L/W ratio. However, this estimation is not accurate because other factors which give an effect on hydraulic efficiency such as shape of basin, diffuser wall and intra-basin is ignored. Therefore, in this research, hydraulic efficiency is predicted by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dead zone using CFD simulation in a pilot scale clearwell. The results show that the reason why higher L/W ratio increase the hydraulic efficiency is to decrease the dead zone of linear region which is located between baffles. Diffuser wall or intra-basin also affects on hydraulic efficiency with this process. Also, we conclude that hydraulic efficiency can not be reached to 0.8 or higher.

전산유체를 활용한 정수지 최적 도류벽 형태 및 경제적인 장폭비 산정 (Evaluation of Economic L/W Ratio and the Best Shape of Baffle in Clearwell by Using CFD)

  • 조영만;노재순;빈재훈;김태균;최영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32-438
    • /
    • 2011
  • 현재 국내 정수지 도류벽은 형태와 장폭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고 장폭비가 너무 작아 소독능을 만족하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큰 장폭비로 비경제적인 설계를 하는 등 많은 혼란을 겪고 있어 수리적으로 유리한 도류벽의 형태와 경제적인 장폭비를 결정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도류벽의 형태와 장폭비에 대해 전산유체역학 기법을 활용하여 수리적으로 가장 유리한 도류벽의 형태를 제시하고 가장 경제적인 장폭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정수지내 도류벽의 형태는 동일한 형태와 구조라 하더라도 수류의 방향전환 횟수가 적은 구조가 수리적으로 유리하다. 둘째, 최적 도류벽 형태는 좌우 우류식(model 2)이며 최악의 형태는 두 방향으로 분산되고 다시 모아지는 분산형(model 4) 형태이다. 좌우 우류식은 분산형보다 도류벽의 개수를 67% 정도 줄일 수 있다. 셋째, 좌우 우류식 도류벽인 경우 경제적인 장폭비는 30~50이며 50을 초과할 경우 공사비 대비 $T_{10}/T$ 값의 증가량이 미미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전산유체역학과 ADV기술을 이용한 장폭비의 DAF조내 수리흐름에 미치는 영향 연구 (Examining the Effect of L/W Ratio on the Hydro-dynamic Behavior in DAF System Using CFD & ADV Technique)

  • 박노석;권순범;이선주;배철호;김정현;안효원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21-428
    • /
    • 2005
  • Dissolved air flotation (OAF) is a solid-liquid separation system that uses fine bubbles rising from bottom to remove particles in wat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L/W (L; Length, W; Width) on the hydro-dynamic behavior in DAF system using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d ADV (Acoustic Doppler Velocimetry) technique. The factual full-scale DAF system, L/W ratio of 1:1, was selected and various L/W ratio (2:1, 3:1, 4:1 and 5:1) conditions were simulated with CFD. For modelling, 2-phase (gas-liquid) flow equations for the conservation of mass, momentum and turbulence quantities were solved using an Eulerian-Eulerian approach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very small particle is applied in the DAF system. Also, for verification of CFD simulation results, we measured the factual velocity at some points in the full-scale DAF system with ADV technique. Both the simulation and the measurement results were in good accordance with each other.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ncluded that L/W ratio and outlet geometry play important role for flow pattern and fine bubble distribution in the flotation zone. In the ratio of 1:1, the dead zone is less than those in other cases. On the other hands, in the ration of 3:1, the fine bubbles were more evenly distributed.

정수지 내부 단락류 발생 평가 : Part A. 정수장 내부 단락류 분석을 통한 장폭비와 형태가 T10/T 값에 미치는 영향 연구 (Internal Short-circuiting Estimation in Clearwell : Part A. Improving T10/T Using Intra Basin and Diffuser Wall by Applying ISEM to Field)

  • 신은허;이승재;김성훈;박희경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5-112
    • /
    • 2008
  • Disinfection is a basic and effective microorganism inactivation method and historically contributed a decrease in waterborne diseases. To guarantee the disinfection ability, improving T in CT value is important. Many indexes are used to estimate the hydraulic efficiency, however, these are black-box analysis. Therefore it is need to develope new estimation method. In this study, internal short-circuiting estimation method (ISEM) is developed using CFD and we inquire into the factor which causes increase of $T_{10}/T$ value as LW ratio increases. And the effect of shape on the relation of LW ratio and $T_{10}/T$ is analyzed. As LW ratio increases, internal short-circuiting index (ISI) of influent and effluent zone is rapidly reduced and recirculation and dead zone are reduced in channel zone. Therefore, as the $T_{10}/T$ value converges maximum value, ISI curve is changed from "V" shape to "U" shape and hydraulic efficiency is improved especially in downstream portion of clearwell. The less the shape ratio(width/length of clearwell) is the less the $T_{10}/T$ value is at a same LW ratio because the portion of turning zone increases as shape ration decreases, therefore more boundary separation is generated.

정수지의 형상과 유입 유량이 T10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 of Shape and Flow Rate on T10 in Clearwell)

  • 신은허;김성훈;박희경;안재찬;최재호;최영준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19-826
    • /
    • 2005
  • To guarantee the disinfection ability in clearwell, a value of CT is considered where C[mg/l] is disinfectant residual at the exit of clearwell and T[min] means $T_{10}$, the contact time when 10% of tracer is out of clearwell after introducing the tracer at the inlet. To meet a CT value required, increasing the C value is not recommended because high C value can increase potential of producing disinfection by product like THMs. Increasing the hydraulic efficiency surrogated by $T_{10}$ is thus an option widely recommended. Right now, it is widely adopted estimating $T_{10}$ considering LW ratio only due to the suggestions of previous researches. The authors think however there are other factors to consider including shape, flow rate, configuration of inlet and outlet, and the existence of intra basin. This study is initiated to closely look at the effects of two factor on hydraulic efficiency. The factors are shape and inlet flow velocity, i.e., inflow. For that,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odel is developed and pilot test is also carried out. The results show that at a L/W ratio, disinfection ability is overestimated with larger length in shape and higher inlet flow velocity. This suggests that in determining $T_{10}$, the shapes of clearwell and inlet flow velocity should also be considered as well as L/W ratio.

황색 꽃의 압화 후 변색과 화색소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Discoloration and Flower Pigment after Pressing in Yellow-Colored Flowers)

  • 변미순;조은정;김규원
    • 화훼연구
    • /
    • 제16권1호
    • /
    • pp.76-84
    • /
    • 2008
  • 황색 꽃의 압화 후의 변색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모색하기 위해 나리, 온시디움, 장미, 튤립, 금어초, 카네이션, 프리지아, 칼라, 거베라, 해바라기와 라넌큘러스 황색 절화 11종을 식물재료로 사용하였다. 이들 식물 재료의 꽃잎의 특성과 화색소를 분석하고 압화 후의 변색 정도와의 상호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꽃잎 두께, 꽃잎의 장폭비, 그리고 꽃잎의 수분함량은 압화의 변색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카로티노이드에 의해 황색이 발현되는 종은 나리, 온시디움, 장미와 튤립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에 의해 황색이 발현되는 종은 금어초, 카네이션, 프리지아와 칼라였으며, 카로티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가 공존하면서 황색이 발현되는 종은 거베라, 해바라기와 라넌큘러스였다. 카로티노이드가 단독이거나 플라보노이드와 공존하거나 상관없이 카로티노이드에 의해 황색이 발현되는 경우는 압화의 변색 정도가 심했다. 그러나 플라보노이드에 의해 황색이 발현되는 종은 거의 변색 되지 않았다. 암처리 한 압화는 거의 변색되지 않았으나 광처리 한 것은 변색의 정도가 심했다.

초장립종 벼를 이용한 입형 관련 QTL 분석 및 국내 벼 품종 입형 개선 연구 (QTL Analysis to Improve and Diversify the Grain Shape of Rice Cultivars in Korea, Using the Long Grain japonica Cultivar, Langi)

  • 김석만;박현수;이창민;백만기;조영찬;서정필;정오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303-313
    • /
    • 2020
  • 본 연구는 단조로운 국내 벼 품종의 입형을 다양화하기 위하여 초장립종 자포니카 품종을 활용해 그 특성을 국내 벼 품종에 도입함으로써 입형이 다양한 새 품종을 개발하려는 기초 육종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입형 다양화를 위하여 세장형 자포니카 벼 품종인 Langi와 입형이 극단적으로 원형에 가까운 자포니카형 조생자도를 교배하여 유전분석 및 QTL 탐색을 위한 mapping 집단을 육성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입형 관련 형질의 상관분석, QTL 분석, validation test 및 탐색된 QTL 효과를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생자도와 Langi 조합의 교배립을 생산하여 F2 집단을 육성하였고 출수 일수를 고려하여 최종 265 개체를 선발·수확하여 주요 형질에 대한 조사와 QTL 분석에 이용하였다. 2. 육성된 mapping집단의 입형 관련 형질들은 종자 길이에 대해 종자 장폭비(0.89)와 천립중(0.69)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냈고, 종자폭에 대해서는 종자 길이(-0.47)와 장폭비(-0.82)가 음의 상관을 나타냈으며 종자두께(0.43)는 정상관을 보였다. 3. QTL 분석 결과 종자 길이와 관련하여 벼 5번 염색체에서 PVE 값이 20.31%인 qGL5와 7번 염색체에서 PVE 값이 각각 36.07%와 26.11%인 qGW5와 qGW7을 탐색하였다. qGL5는 세장형인 Langi로부터 유래하였으며, 두 QTL(qGW5, qGW7)은 원형인 조생자도로부터 유래하였다. 4. Validation test결과 Langi는 자포니카형 벼(qsw5_N)에서는 매우 드문 qSW5형 대립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qGL5와 함께 작용하여 집단내에서 종자 길이신장에 관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5. 탐색 QTL의 효과는 qGL5 (+)와 qGW5:qGW7 조합에서 중원형, 장원형, 세장형 등 입형의 변이가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Langi가 자포니카 생태형이란 점과 QTL의 효과가 증명되어 MAS활용이 가능하다는 점 등 입형 다양화를 위한 육종사업에서의 효과 및 활용도가 다양할 것으로 생각된다.

밭 경지정리(耕地整理) 적합지역(適合地域) 선정기준(選定基準) 시안(試案) (Tentative Suitability Criteria for the Consolidation of Cultivated Upland in Korea)

  • 정연태;손일수;윤을수;손연규;노영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1-85
    • /
    • 1996
  • 1. 밭 토양의 개별특성(個別特性)인 지형조건(地形條件)과 경사도(傾斜度), 유효토심(有效土深) 및 밭 토양의 집단특성(集團特性)인 규모(規模)(면적), 분포토양의 복합도(複合度)(soil complexity), 작도단위(作圖單位)(군(群))의 분산도(分散度)(mapping unit separation), 사업 예정지역의 장폭비(長幅比)(W/L ratio) 등을 연역적(演繹的)으로 계수화(係數化)하여, 적성등급(適性等級)의 일종으로 볼 수 있는 밭 토양 경지정리(耕地整理) 대상지역(對象地域) 선정기준(選定基準)을 제안하였다. 2. 본 기준을 표본지역(標本地域)인 화강암지대(花崗岩地帶) 전작지역(田作地域)과 퇴적암지대(堆積岩地帶) 답작지역(畓作地域)의 밭 토양에 적용하여 본 결과, 지역특성을 객관적으로 차등화(差等化)하므로서 상호비교가 용이하였다. 3. 밭 토양 경지정리(耕地整理) "매우 적합지(適合地)"는 하성평원지(河成平垣地) 전작지(田作地)이거나 밭 토양이 집단적으로 분포된 저구릉지(低丘陵地)로서 분포토양이 단순하고 작도단위당(作圖單位當) 면적도 넓은 지역이었다. 한편, "부적지(不適地)"는 좁고 긴 곡간(谷間)으로서 곡저부(谷底部)(valley bottom)가 논으로 되어있어 작도단위(作圖單位)가 분산(分散)된 지역이었다.

  • PDF

한국 쌀의 입형구분과 상품 품위등급 설정 (Classification of Grain Type and Marketing Grades for Korean Rice Varieties)

  • 김광호;안종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57-366
    • /
    • 1997
  • 우리 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벼품종들의 입형을 조사하여 입형에 따른 품종군을 구분하고 도정율과 발의 상품가치를 높히고자 1995년 경기도 여주군 가남면 건국대학교 농과대학 실습농장에서 47개의 주요 품종을 재배, 수확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품중의 현미 장폭비는 1.57∼2.25범위로서 통일형 품종을 제외하면 장폭비가 모두 2.0이하의 단원형에 속하였다. 2. 단립(장폭비 2.0이하)에 속하는 품종들의 평균 장폭비는 1.77, 변이계수는 4.79%로서 입형의 균일도에 차이가 심하였다. 3. 현미의 장폭비에 의하여 1군은 1.75이하, 2군은 1.76∼l.80, 3군은 1.81∼l.90, 4군은 1.91∼2.00, 5군은 2.01 이상으로 5등급하면 현재 분류방법보다 더 균일한 입형을 가진 품종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4. 1군과 2군에 속하는 품종들은 도정시 체눈의 크기가 1.7mm(001체)를 사용하는 것이 도정율과 쌀알의 균일도를 높일 수 있으며 3군과 4군에 속하는 품종들은 체눈의 크기가 2.0mm를 사용하는 것이 좋았다. 5. 쌀의 이화학적 및 취반특성은 품종 고유의 특성으로 위에서 분류한 등급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으며 일반적으로 1군에 속하는 품종들이 밥맛이 좋다고 평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