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애인 수

검색결과 6,230건 처리시간 0.037초

상황인식 기반의 공황장애 증상 관리 시스템 (Panic Disorder Symptom Care System Based on Context Awareness)

  • 최동운;맹환;강윤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63-70
    • /
    • 2019
  • 상황 인식 환경에서 공황장애의 증상을 추출하고자 일상생활을 통해 자연스런 음직임에서 발생하는 신체 상황정보를 추출하여 공황장애의 구성요소를 찾아내고 온톨로지 이론을 적용하여 의미를 추론 과정을 거쳐 공황장애에 증상의 정도에 대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온톨로지 기반의 정보 처리를 위해 공황장애의 구성요소는 클래스로 정의하고 공황장애의 상태를 이해할 수 있도록 온톨로지 모델링을 통해 공황장애지수를 도출하였다. 공황장애 구성요소와 공황장애 지수의 도출은 공황장애에 대한 상황 인식 기반의 정보 서비스를 가능할 것이며, 상황인식 기반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상황정보는 주기적으로 동기화된다. 공황장애 지수의 결과를 관찰할 수 있으며 공황장애의 요인이 되는 생활습관을 개선하는데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TV 다큐멘터리가 생성한 정신장애 담론 : 구별짓기의 완성 (The Discourse associated with mental illness on TV documentaries : The Completion of Distinction)

  • 장혜경;우아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1호
    • /
    • pp.179-217
    • /
    • 2011
  • 본 연구는 TV시사다큐멘터리가 정신장애와 정신장애인에 대해 어떤 담론을 생산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있다. 담론은 현실을 규정하고 해석하여 현실을 재구성하는 힘을 가지므로, 다큐멘터리가 생성하는 정신장애담론은 언어표현의 방식과 내용을 통해 지배담론의 형상과 지배담론이 현실을 어떻게 재구성하는지를 포착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이를 위해 공중파 방송사들의 시사다큐멘터리 중 정신장애를 다루고 있는 프로그램 4개를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TV 다큐멘터리가 생성하고 있는 정신장애 담론은 '구별짓기의 완성' 이었다. 텍스트 수준에서 구별의 이유를, 담론적 실천에서는 구별의 주체와 방법을, 사회적 실천에서는 구별짓기의 일상화를 보여주고 있었다. 다큐멘터리의 정신장애 담론은 정신장애인에 대한 관습적이고 통념적 담론을 반복적으로 재생산하고 정신장애인을 담론생산의 장으로부터 배제하면서 그들의 주체적 위치를 상실시킨다. 정신장애에 대한 지배담론의 구조와 질서를 전복할 수 있는 대안담론은 정신장애인들이 담론생산의 주체 위치를 회복할 때 가능해 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구자와 실천가들도 지배담론의 효과에 민감하며 대안담론의 생산에 적극적으로 가담할 때 대안담론 구성의 가능성을 열 수 있을 것이다.

생산 자동화 시스템 운영에서의 장애 검출 방안 (Fault Detection Method on Operation of Production Automation System)

  • 홍지윤;조광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7-170
    • /
    • 2003
  • 공장 자동화 시스템이 증가됨에 따라 인건비 감소와 생산량 증가, 효율적인 작업 운영, 그리고 고도의 정밀 작업과 인재의 감소 등 여러 가지 이점이 있지만, 자동화 시스템의 문제로 생산 작업이 중단될 경우에 공장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또한 막대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장 자동화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사전에 시스템 장애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애 검출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 이에 따른 효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방법은 시스템 내 각종 서버의 문제를 검출할 수 있고, 관리자는 모니터링 한 내용을 바탕으로 장애를 조치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었으며, 이것이 생산량 증가로 이어지는 성과를 거둘 수 있다.

  • PDF

장애인 미디어교육에 대한 인식사례 연구 장애인 미디어교육 교사 및 학습자와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A Recognition Case Study on Media Education for the Disabled People With Focuses on Focal Interview with Media Education Teachers and Learners)

  • 강진숙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6권
    • /
    • pp.148-176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미디어교육에 대한 인식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장애인들의 미디어 능력 촉진을 위한 과제와 지원방안들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 미디어교육과정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장애인 미디어교육 교사들과 학습자들과의 반개방형 집단심층인터뷰(FGI)를 실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인터뷰의 초점은 장애인 미디어교육의 목표, 장애요인, 교수법 그리고 활성화 방안 등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특히 반개방형 인터뷰를 실시하여 설문기조를 유지하되 연구참여자들이 보다 자유로운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연구에서 FGI를 통한 질적 연구를 하는 이유는 상호 토론이나 의견 개진을 통한 다양한 인식과 경험들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교사뿐 아니라 학습자 모두를 선정한 근거는 공통된 입장과 이견들을 비교함으로써 현실에 근접한 다각도의 인식 경험들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 PDF

장애청소년의 라이프 케어를 위한 장애수용과 회복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Disability Acceptance and Recovery Experience for the Life-Care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 박아름;강진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77-185
    • /
    • 2020
  • 본 연구는 장애청소년의 라이프 케어를 위한 장애수용과 회복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는 사람들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며, 현상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인식을 서술하여 기술하는 연구방법으로, 연구 결과 장애로 인한 혼란과 심리적 불안, 장애를 서서히 받아들임, 회복에 대한 동기 강화, 장애 극복과 사회 복귀 네 가지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장애청소년들은 가족의 지지와 치료사에게 정신적 교감을 통해 심리적 위안을 받았으며 본인 및 치료사 노력을 통해 효과를 실감하여 회복을 위해 더 노력하였다. 장애청소년들은 회복됨과 동시에 장애에 대한 인식변화를 경험하였으며, 퇴원 후 삶에 대한 희망이 생겨 좌절을 극복하고 앞으로의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청소년의 장애 수용과 회복 경험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으며, 수용과 회복의 구성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출된 구성요소는 장애청소년의 라이프 케어를 위한 장애 수용과 회복 중재 방향성 제시를 위해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Exhibition Application for Disabled Artists

  • Seung Gyeom Kim;Ha Ram Kang;Tae Hun Kim;Jun Hyeok Lee;Won Joo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8호
    • /
    • pp.77-84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장애인 예술인의 예술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온라인 전시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장애인 예술인을 위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다. 특히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STT, TTS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장애인 예술인의 전시 작품을 위해 회원가입 시 장애 등록증과 등록번호를 활용하여 장애인 인증이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인증된 장애 예술인만 작품을 전시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장애인 예술인에 대한 개인정보와 예술 작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는 MySQL로 구현한다. 서버 모듈은 RestAPI를 활용하여 JSON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현한다. 예술 작품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 용량이 크기 때문에 서버에 직접 저장하지 않고 Firebase Storage를 활용하여 데이터 용량 제한 없이 저장하도록 구현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장애 예술인의 전시 공간 부족과 일반 대중과의 소통 부족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BSHR/2 네트워크를 위한 APS 프로토콜 분석 (Analysis of the APS protocol for BSHR/2 networks)

  • 김성선;손희영;이상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08-115
    • /
    • 2001
  •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를 기본으로 한 SHR(self-healing ring) 네트워크는 장애가 발생할 경우 프로세스를 재구성할 수 있으며 APS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방향으로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고 두 개의 선로를 갖는 BSHR/2(two fiber bidirectional SHR)네트워크에서의 장애 복구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APS(automatic protecti switching) 프로토콜을 분석하고 ITU-T G.841이 제시하는 최대 장애 복구 시간인 50㎳내에 장애를 복구하기 위해 필요한 각 노드들의 프로세싱 시간 영역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중 장애에서 SD(signal degrade) 장애가 선행된 후 다시 SF(signal failure)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와 SF 장애가 선행된 후 다시 SF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분석하였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50㎳내의 장애를 복구할 수 있었다.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의 생활 보조를 위한 착용형 단말기 개발 (Wearable devices for the visually and aurally handicapped)

  • 김래현;하성도;박진영;조현철;박세형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585-590
    • /
    • 2007
  • 최근 IT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시키는 웨어러블 컴퓨팅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일반인뿐만 아니라 장애인들의 일상생활의 보조 도구에 활용되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 및 청각장애인을 위해 개발된 착용형 단말기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시각 장애인용 단말기인 SmartWand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부착하거나 손에 휴대할 수 있는 장치로, 시작장애인을 위한 보행 보조 및 색상과 명암 정보 인식 보조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SmarWand는 시각장애인이 보행 시 이용하는 기존의 지팡이로는 감지할 수 없는 전방의 장애물을 초음파 센서를 통해 탐지하여 촉각이나 음성으로 경고해주고, 물체의 색깔이나 주변의 밝기 정도를 측정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알려준다. 청각 장애인용 단말기인 SmarWatch는 손목에 착용하는 장치로서 아기 울음소리, 노크나 초인종 소리, 물 끓는 소리, 화재 경보 등 가정에서 발생하는 일상적인 소리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다. SmartWatch는 입력 모듈의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를 문선통신을 통해 컴퓨터로 전송한 후에 소리의 종류를 인식하고 적절한 제어신호를 다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받아 감지된 소리의 종류를 해당하는 진동과 시각정보로 표시해준다. 이런 착용형 단말기들을 통해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의 일상 생활의 안정성과 편의성이 증대 되기를 기대한다.

  • PDF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네비게이션 시스템 (A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Navigat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Based on Smart Mobile Devices)

  • 김창기;서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4-30
    • /
    • 2015
  • 도시의 복잡성이 증가할수록 장애인의 외출은 많은 제약을 받는다. 특히 시각장애인들은 사물뿐만 아니라 사물 주위의 환경을 인지할 수 없어 야외 활동을 하는데 있어 수많은 환경적 어려움을 겪는다. 하지만 현재 국내의 야외 환경은 시각장애인을 포함한 장애인들의 활동을 보조하는 정책적, 수단적 시설이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야외 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길안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시험을 위해 K대학교 J캠퍼스에 적용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시각장애인들의 야외활동의 범위를 넓히고, 다양한 사회 활동이 가능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혈액 유전자 발현을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 인지장애 예측 (Prediction of Cognitive Impairment Using Blood Gene Express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 이승은;주우;강경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61-62
    • /
    • 2022
  •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현존하는 치료법이 없어 경도인지장애 단계에서의 예방이 중요하다. 지금까지의 알츠하이머 연구는 대부분이 뇌영상 마커와 뇌척수액 마커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경도 인지 장애 단계에서의 탐색은 더욱 적었다. 이러한 점에서 혈액 유전자 발현을 이용한 경도 인지장애 단계 예측은 인지 능력에 따른 관련 유전자 식별과 접근 가능한 진단 및 치료 바이오 마커 탐색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유전자 발현 데이터의 경우 환자 수에 비해 높은 차원을 가지기 때문에 과적합을 막고 질병 관련 유전자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에서의 의미 있는 차원만을 뽑아내는 차원 축소가 선행되야 한다. 본 연구는 유전자 발현데이터에서의 인지장애 분류를 위해 차원 축소기법과 신경망을 적용하여 인지 장애 정도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Lasso 이용 차원축소와 신경망을 이용하여 97%의 정확도로 정상과 조기 경도 인지장애, 후기 경도 인지장애 환자를 분류 할 수 있었으며, 더 적은 차원에서도 분류가 가능했다. 이는 혈액 유전자 발현을 이용해 경도 인지장애 단계를 예측한 첫 번째 연구이며, 인지능력 저하에 따른 혈액 유전자 발현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향후 조기 진단, 치료 표적 탐색에 기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