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scourse associated with mental illness on TV documentaries : The Completion of Distinction

TV 다큐멘터리가 생성한 정신장애 담론 : 구별짓기의 완성

  • Received : 2010.12.01
  • Accepted : 2011.01.06
  • Published : 2011.03.30

Abstract

This paper discusses the type of discourse associated with mental illness and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in the context of TV documentary. Discourse is an linguistic product which prescribes and interprets the reality and reconstructs the reality systematically. Therefore, TV documentary contents illuminate the dominant discourse associate with mental illness through the diverse types of representation. We picked four TV documentaries from each public channels and analyzed these documentaries using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Faircough suggests the analysis frame consisting of three level. The analysis reveals that TV documentaries produce the discourse "the Completion of Distinction" associated with mental illness and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TV documentaries suggest the reason why we distinct them from us in textual level. In discourse practice level, they suggest the method and the principal agent of distinction. For social practice, TV documentaries reinforce the dual attitude of viewer. Alternative discourse associated with mental illness and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will be constructed when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recovers the status of principal agents and produces strong voices about themselves.

본 연구는 TV시사다큐멘터리가 정신장애와 정신장애인에 대해 어떤 담론을 생산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있다. 담론은 현실을 규정하고 해석하여 현실을 재구성하는 힘을 가지므로, 다큐멘터리가 생성하는 정신장애담론은 언어표현의 방식과 내용을 통해 지배담론의 형상과 지배담론이 현실을 어떻게 재구성하는지를 포착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이를 위해 공중파 방송사들의 시사다큐멘터리 중 정신장애를 다루고 있는 프로그램 4개를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TV 다큐멘터리가 생성하고 있는 정신장애 담론은 '구별짓기의 완성' 이었다. 텍스트 수준에서 구별의 이유를, 담론적 실천에서는 구별의 주체와 방법을, 사회적 실천에서는 구별짓기의 일상화를 보여주고 있었다. 다큐멘터리의 정신장애 담론은 정신장애인에 대한 관습적이고 통념적 담론을 반복적으로 재생산하고 정신장애인을 담론생산의 장으로부터 배제하면서 그들의 주체적 위치를 상실시킨다. 정신장애에 대한 지배담론의 구조와 질서를 전복할 수 있는 대안담론은 정신장애인들이 담론생산의 주체 위치를 회복할 때 가능해 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구자와 실천가들도 지배담론의 효과에 민감하며 대안담론의 생산에 적극적으로 가담할 때 대안담론 구성의 가능성을 열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