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애인가족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8초

장애인가족의 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Stress on Family Adaptation of Disabled Family :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Family Strength)

  • 심미영;김재림;안성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67-276
    • /
    • 2014
  • 본 연구는 장애인가족을 대상으로 장애인가족이 경험하는 가족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가족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의 영향관계에서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장애인가족이 경험하는 가족스트레스는 가족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건강성을 투입한 매개효과의 검증결과, 가족스트레스가 가족건강성을 매개로 가족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완전 매개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를 토대로 가족스트레스 관리 및 가족건강성 증진을 통한 장애인 가족적응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장애인가족 만족도와 장애인 삶의 질 매개효과 연구 (The Moderating Effect of Quality of Life Disabled and Family Satisfaction among the Disabled Family)

  • 김정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549-556
    • /
    • 2019
  • 본 연구는 거주시설 개편작업이 진행 중인 시점에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들이 요구하는 다양한 미래의 거주시설 유형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주요 변인으로 장애인가족의 거주시설 만족도와 가족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장애인 삶의 질에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전국 장애인거주시설의 18세 이상 65세 미만 856명의 장애인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810부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가족의 시설만족도는 가족생활만족도와 장애인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장애인 가족의 시설만족도가 높을수록 장애인 삶의 질을 이끌어내기 용이하며 가족생활만족도도 증가하였다. 장애인가족의 시설만족도와 가족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장애인 삶의 질이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내어, 장애인 삶의 질이 높을 때 장애인 가족의 시설만족도와 가족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인 본인의 삶 그리고 가족의 원만한 가족융합과 더불어 새로운 패러다임의 장애인 거주시설 논의를 체계화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거주지원서비스 정책과 실천을 재구조화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의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in Family Problem Solving,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 문경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377-381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KOWEPS) 15차 연도(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에 따라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에 대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고, 이를 장애인 복지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한국복지패널 15차 년도 전체패널 27,447명에서 2021년 현재 장애인으로 등록된 1,281명중 80세(1942년생) 이상 422명을 제외한 859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성별, 연령, 교육수준에 따른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의 평균값이 대부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양상으로 나타났으나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의 3개변인 모두에서 결혼 상태에 따른 평균의 차이는 각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배우자의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결혼 상태에 비해 가족관계가 원만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들의 경우 가족 간의 순기능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발달장애인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Analysis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Family Support Service for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삼섭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55-164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 가족 284명을 대상으로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인식 수준을 알아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 가족의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인식 수준은 전반적으로 그리고 하위유형별로 모두 통계적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인 가족의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 인식 수준은 양육활동 지원, 신체적 물질적 안녕 지원, 가족 상호작용 지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장애인 가족의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양육활동 지원, 가족 상호작용 지원, 정서적 안녕 지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요도-만족도 사분면의 특성을 분석하여 현상 유지, 개선 노력, 중장기 전략 필요 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발달장애인 가족지원 서비스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활동보조서비스가 가족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가족탄력성 조절효과- (An Effect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the Disabled Persons upon the Burdens of Raising a Family - Focusing on Family Resilience Control Effect -)

  • 신준옥
    • 재활복지
    • /
    • 제18권4호
    • /
    • pp.95-117
    • /
    • 2014
  • 본 연구는 활동보조서비스(신체활동지원, 가사활동지원, 사회활동지원) 이용이 가족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활동보조서비스와 가족 부양부담감 간에 가족탄력성(가족신념체계, 가족응집력, 상호작용)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파악하여 장애인복지의 실천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근거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위하여 경기도를 동부, 서부, 남부, 북부 지역으로 나누어서 2013년 4월 1일~5월 15일까지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하는 1급, 2급 장애인가족 부양자 2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기초로 한 조절적 다중회귀분석(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활동보조서비스 중 신체활동지원을 이용하는 경우 장애인가족의 부양부담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활동보조서비스가 가족부양부담과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 중 가족신념체계와 가족응집력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장애인의 가족'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 of 'Family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김영애;장숙
    • 재활복지
    • /
    • 제22권3호
    • /
    • pp.115-144
    • /
    • 2018
  • 본 연구는 '장애인의 가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던 우리나라 선행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장애인 가족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등재학술지 중 장애 또는 가족이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4개 학술지 및 사회복지 관련 주제를 총체적으로 다루는 2개 학술지의 총 6개 국내학술지를 선정하였다. 연구자들은 이들 학술지의 창간호부터 2017년도 9월까지 게재된 모든 연구들 중 장애인의 가족을 대상으로 수행된 총 157편의 연구들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장애인가족 연구의 출현 빈도, 연구분야, 연구대상, 연구방법에 관한 기술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시되었던 가족기능의 영역들을 본 연구자들이 6개 영역으로 재분류하여 구성한 분석틀을 활용, 157개 연구에서 가족기능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어머니에게 집중된 장애인 가족 연구의 대상자 확대, 다양한 장애 유형을 고려한 가족연구 의 필요성, 장애를 가진 노인의 가족에 대한 관심 증대,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는 가족기능 영역별 연구방법별 연구 수행이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Burden of Care for Families with Mentally Disabled and Quality of Life)

  • 이유리;최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29-241
    • /
    • 2017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부담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의 사회복귀시설과 정신건강증진센터에 등록된 정신장애인 가족 102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신장애인의 가족이 그들 자녀를 돌보면서 경험하는 보호부담은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 탄력성은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과 삶의 질 간 관계에 있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하위요인 모두에서 완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끝으로 사회적 지지는 보호부담과 삶의 질 관계에 있어 조절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를 근거로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정보제공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정신장애인 가족의 사회적 지지망 강화 노력과 이들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제도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igma and Self-esteem of the Mental Disabled's Family)

  • 민혜진;정원철
    • 재활복지
    • /
    • 제20권1호
    • /
    • pp.65-86
    • /
    • 2016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지각이 가족의 삶의 질을 방해한다는 전제에서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로 기능하는 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수집은 부산, 경남 지역의 사회복귀시설 10곳, 낮병원 4곳 총 190명의 가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감은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감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라는 조절변수를 통해 자아존중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가족의 낙인감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는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변인으로 투입되었을 때 자아존중감이 상승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지각이 자아존중감을 손상시키며, 사회적 지지가 주어질 경우 낙인을 지각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자아존중감이 유지되거나 상승될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정신장애인 가족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과 연구결과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발달장애인 자녀의 자립에 미치는 영향 : 가족역량강화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arental Efficiency on Self-relianc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Mediating effect of Capacity Enhancement)

  • 임희선;박종두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85-93
    • /
    • 2022
  •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발달장애인 자녀의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족역량강화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 부모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한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는 바론과 케니의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test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발달장애인 자녀의 자립수준과 가족역량강화에 정(+)적인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발달장애인 자녀의 자립수준 사이에서 가족역량강화의 정(+)적인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인 자녀의 자립지원을 위한 부모의 양육강화지원과 가족역량강화를 위한 제도와 실천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정신장애인 가족의 치료참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mily Involvement in Therapeutic Process of the Mentally Ill)

  • 서미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1권
    • /
    • pp.119-140
    • /
    • 2002
  • 본 연구는 전문가-가족 간의 협력적인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치료과정에 가족의 적극적인 참여가 정신장애인 회복과 재활에 매우 중요하다는 전제를 가지고 가족의 치료참여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신보건전문가 275명과 정신장애인 가족 125명을 대상으로 서비스 제공자의 관련요인들(가족의 병리성에 대한 인식, 접촉빈도, 조직기능, 전문직유형, 기관유형, 임상경력, 평균 환자 수)과 소비자(가족)의 관련요인들(전문직에 대한 인식, 정신장애인 예후에 대한 낙관적 인식, 가족기능, 정신장애인의 진단, 교육정도, 경제수준)이 가족의 치료참여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서비스제공자의 관련요인들은 가족의 치료참여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설명력은 33.0%이다. 또한 서비스제공자의 입장에서 접촉빈도, 기관유형, 전문직유형, 임상경력이 가족의 치료참여에 가장 영향력 있는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비스 소비자의 관련요인들도 가족의 치료참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설명력은 40.9%이다. 또한 가족의 경제수준, 전문직에 대한 인식, 정신장애인 예후에 대한 낙관적 인식, 교육수준이 치료참여의 가장 영향력 있는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족이 적극적으로 치료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치료체계에 가족의 접근성이 높아져야 하고 전문가들이 가족을 치료의 파트너로서 인식하고 그들에게 권한부여 하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