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식 디자인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3초

현대 가방 디자인에 나타난 술 장식의 표현유형과 미적 조형성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types and aesthetic formativeness of tassels and fringe in modern bag design)

  • 권기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4호
    • /
    • pp.429-44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bag design by analyzing the expression types and aesthetic formativeness of modern bag design using tassels and fringe given the newtro trend pursuing analog sensitivity in modern society. The methods and scop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ed literature and internet data were reviewed in order to examine the express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ags of the West and East. Next,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assel and fringe decoration in terms of the history of clothing were analyzed. Finally, the expression types and aesthetic formativeness of tassels and fringe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modern bag design shown in the fashion collections since 2010. The bags decorated with the tassels and fringe bring a variety of visual effects depending on the attachment position, direction and material composition, concentrating the gaze and radiating original style.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tassels and fringe in modern bag design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urface decoration, shape variability, and object combination. Next, the aesthetic formativeness of modern bag design using tassels and fringe as decorative elements appeared through the mixture of heterogeneous materials and playfulness through imagination, exaggeration through extension of length and volume, and retro characteristics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reative ideas of modern bag design which requires a global sense, which has been used in various cultures for a long time.

미디어 파사드 건축물의 야간조명 특성분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Facade Buildings)

  • 정주희;김정태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45-55
    • /
    • 2010
  • 최근 서울시에는 도시의 야간경관을 풍성하게 하고 랜드마크성을 부여하는 미디어 파사드 건축물의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무분별한 미디어 파사드의 적용은 오히려 도시이미지를 저해하는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미디어 파사드는 기존 건물외관의 장식이나 경관조명에 비하여 조명면적이 크기 때문에 심미적 고려와 도시환경의 건강성을 위해서 지나친 밝기의 규제가 필요하다. 따라서 미디어 파사드 건축물의 야간조명 특성을 분석하여 지역 기준에 맞게 적절히 설계되어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파사드 건축물의 표면휘도와 색온도 등의 조명물리량을 측정하여 옥외 야간조명환경을 분석하는 것이다. 현재 서울에 위치한 대표성을 가진 5개 미디어 파사드 건축물을 선정하여 해당건물이 위치한 반대편도로의 측정점에서 CS-100 기기와 ProMetric-1400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미디어 파사드 조명부분의 표면휘도를 분석한 결과, 5개 건물 중 3개 건물의 휘도차는 크지 않아 디자인이 잘 된 것으로 났으나 5개 건물 중 4개 건물에서 서울시 기준인 $25[cd/m^2]$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색온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5,500[K]이상의 한색이 측정되어 서울시 도로조명 색온도 기준인 4,000~5,000[K]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가를 모티브로 한 도자 투각 촛대와 이를 이용한 주거 실내공간 인테리어 활용 융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bination of Household Interior Space Application Using Carved Ceramic Candlestick with the Motive of Yeonga)

  • 김승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72-481
    • /
    • 2018
  • 이번 논문의 주요 관점은 연가를 모티브로한 도자 투각 촛대 장식 도자제품을 중심으로 주거 실내 공간의 구성을 고려하여 살펴보고 이를 이용하여 개발된 연가 촛대로 실내 인테리어의 공간융합 활용에 대하여 연구하려고 한다. 산업의 발달로 주거선택도 쾌적하고 안락한 주거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연을 집으로 끌어들이려는 심리가 작용한다. 그래서 이를 이용한 연가촛대 인테리어 소품은 바닥과 벽과 천장을 부드럽게 이어주는 역할을 기대한다. 연가형태는 조명기구의 아우라(aura)를 두루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연가의 디자인적요소를 연구하고 이러한 소스를 투각촛대에 적용하여 실내조명으로서의 활용도를 살펴본다. 또한 이를 도자제품으로 개발하여 생활속의 필요한 실내공간인테리어 소품으로 적극 활용하는 것도 주요 관점이다.

그래픽 외피를 통한 비가시화 표현 연구 -서울광장 특설무대 슈퍼그래픽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visiblizing Expression through Graphic Skins -Focusing on the case of super graphics on Seoul Plaza Stage)

  • 유윤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73-78
    • /
    • 2020
  • 현대 건축과 디자인은 확장적 사고로 타 장르와 융합하는 실험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건축의 비물질화와 비가시화 표현 수단으로서 그래픽 외피의 활용을 제안하는 데 의의를 둔다. '보이지 않는 건축'을 실현하는 방법은 크게 빛을 조작하는 소재를 이용하는 방법과 눈속임 기법을 바탕으로 하는 그래픽 접근으로 나눌 수 있다. 그중 서울광장 특설무대의 사례는 슈퍼그래픽을 활용해 건축물을 가볍고 투명하게 표현하고, 주변 환경에 방해되는 요소를 시야에서 사라지게 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장식의 수단을 넘어 효과적인 위장(僞裝) 기술로서 슈퍼그래픽 외피가 '보이지 않는 건축'의 시대의 유력한 표현 수단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문헌조사를 통한 복식사 연구에서의 양적 분석 (A Quantitative Approach to the studies in Historic Costume using the Documentary Evidence)

  • 임춘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6-86
    • /
    • 1996
  • 복식사 연구의 한 방법으로서, 문헌을 통하여 다량의 정보 수집이 가능할 경우, 사회과학의 분야에서 사용되어 온 내용분석법을 도입하여 정보의 수량화를 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1856년부터 1870년에 이르기까지 미국 여성의 평상복(daydress)중 재킷과 치마의 유행 경향을 당시의 대포적인 패션 잡지인 Godey's Ladies Book과 Perterson's Magazine의 패션 삽화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1856∼1870년은 미국의 남북전쟁 발발 5년 전부터 남북전쟁 직후 5년까지 의 15년간의 기간을 이르며, 해당 15년은 전쟁 전, 전쟁 중, 그리고 전쟁 후의 5년간씩의 3 시기로 나뉘어졌다. 연구의 목적은 여성 평상복의 디자인이 위의 기간 동안 남북전쟁의 한 영향으로서 군복 '라일의 경향을 띄게 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군복 스타일의 경향은 몸에 꼭 맞는 실루엣(fitted silhouette), 에플렛(epaulet), 스텐딩 칼라(standing collar), 더블 여밈 (double-breastedness) 다수의 단추의 사용 및 장식(buttons)으로 정의되었다. 여성스러운 스타일의 경향은 풍성한 실루엣 (full silhouette), 플라운스가 된 치마(flounced skirt), 그리고 러플/fp이 스/리본 (ruffles/lace/ribbons)의 사용 여부로 정의되었다. 연구의 초점은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문헌 정보의 수집 방법을 수립하는 데 있었으며, 수집된 자로는 각 변수의 빈도 분포포에 의해 조사되었다. Fitted silhouette, epaulet, 그리고 standing collar는 제 3시기에 가장 많이 나타났고 제 1시기에 가장 적게 나타났다. 여성스러운 스타일에 있어서 full sihouette과 trounced skirt는 제 1시기에 가 장 많이 보였고 전쟁 당시와 전후에 점차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Buttons나 double breastedness 등은 제 2시기에 가장 많이 보이고 제 3시기에는 오히려 가장 낮은 빈도수를 보였다. 반면에 ruffles/lace/ribbons는 fitted silhouette 등의 군복 스타일의 변수와 더불어 제 3시기에 가장 많이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인 유행의 경향에 있어서, 군복 스타일의 변수와 여성스러운 경향의 변수를 각각 종합하여 분석해 보면, 제 2시기를 중심으로 전자의 유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후자의 유행은 감소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당시 미국 패션은 유럽 왕실의 유행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은 것을 감안할 때 본 연구의 결괴는 서양 복식의 역사의 선상에서 조심스럽게 해석되어야 할 것 이다.

  • PDF

멤피스(Memphis)디자인이 현대 패션에 미친 조형적 특징에 관한 연구 -20세기말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normativeness on the Influence of the Memphis on the Comtemporary Fashion Design - Focused o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

  • 임영자;한윤숙
    • 복식
    • /
    • 제51권1호
    • /
    • pp.5-2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suggest the fashion of communication for 21th century fashion. Especially, Memphis fashion have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ng through o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Memphis idea is to make design into a sophisticated, conscious instrument of communication. As the Memphis fashion points out : design is an extraordinary tool for communicating because its intrinsic characteristic is the fact that it is used and distributed anyway, even without communicating anything. The Memphis fashion is trying to connect design and industry to the broader culture within which fashion moves. Second, Using different materials provides not only new structural Possibilities. but - above all - new semantic and metaphoric possibilities, order modes of communication, another language, and even a change of direction, broadening of perspective, appropriation and digestion of new values and the concomitant rejection of traditional structures that renewal always Involves. The memphis fashion works on the fabric of contemporaneity (lurex yarn, latex, chrome metal and steel) and contemporaneity means computers, electronics, a new awareness of the body. mass exercise and tourism. Third, color in Memphis has never been an ideological vehicle. As with decoration it is born tilth the design, forming an integral part of the structure. It alters the objects molecules. It works as a mass, as an intrinsic feature of a certain form and volume. The Memphis fashion was realized the introduction of ultramodern science into such experimental and creative implementation as optical motive, brilliancy of colour of electronic medium in audition to metallic fabric and high technical synthetic fiber. A color tilth pop culture connotations that weaver between technological allusions and Mcdonald's.

  • PDF

구스타프 클림트 회화를 응용한 크로셰 니트디자인 (Crochet Knit Design through Application of Gustav Klimt Paintings)

  • 김정란;이연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1598-1610
    • /
    • 2007
  • The knit design of this study was developed from reconstruction of Gustav Klimt images including gorgeous colors, symbolic lines, patterns and decorations, and the purpose was laid at making of unique, creative costume image with modem sense and adding artistic value on crochet knit wears. As for the contents and method of this study, We analysed formative aspects of Gustav such as line, color and shape Klimt in his art, and reviewed the cases where his works had been employed in modern costume.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painting is important motif for contemporary costume design, an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thinking and expression, can be a major momentum for development of original design. Especially the organic lines and decorative patterns of Gustav Klimt paintings were suitable for rich decorative motif of costume design. Second, the unique colors of Gustav Klimt paintings can, if introduced to costume, allow new color combination. Third, crochet technic, by the texture of material, can present rich expression even with the basic knitting only. The embroidery metallic thread which is the main material for this study, was good for expression of gorgeous and classy image, in spite of the difficulties from its typical luster and embossed feeling. And the mohair, used as decorative motif, allowed more three dimensional expression with its rich voluminous and tangling property. Fourth, in applying Gustav Klimt paintings to costume design, other technics such as knitting, beading, applique, and patchwork helped creation of more unique clothes, presenting possibilities of rich artistic expression.

한·중 패션디자인에 표현된 전통적 요소의 응용에 관한 연구: 이상봉과 비비안 탐을 중심으로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Elements in Korean and Chinese Fashion Design in: Lie Sang Bong and Vivienne Tam)

  • 김은영;김은정;이미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8호
    • /
    • pp.1-1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pplication of raditional elements in Lie Sang bong and Vivienne Tam's Fashion Design. The methods of research, the references to the precedents of prior research, fashion related journals, articles, and websites of designers were examined to analyze how each designer reinterpreted the respective homeland's traditions. The designs of Lie Sang bong and Vivienne Tam studied were from the 2002-03 F/W to the 2012 S/S collec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both designers use traditional marks when reinterpreting the traditional clothes of Korea and China. In the case of Lie Sang bong, traditional Korean marks were linked to the western structure. For Vivienne Tam, designs which revived realistic marks identically were displayed. Second, in terms of the modern re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clothes shapes, there were a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silhouettes of their respective country's traditional clothes were mainly brought into their arts. Lie Sang bong was influenced by the 'line' of traditional Korean design. In addition, the atmosphere of the traditional clothes helped to reanalyze the traditional clothes' figure. In Vivienne Tam's designs, unique Chinese images were produced by, keeping the original form of the Chinese dress. Third, in the use of the traditional ornament techniques, Lie Sang bong partially introduced and applied traditional ornament techniques while Vivienne Tam largely decorated the traditional. Chinese ornaments while directly utilizing the structuring designs.

현대패션에 나타난 컷 아웃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ut-Out Designs in Contemporary Fashion)

  • 김선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1호
    • /
    • pp.36-48
    • /
    • 2012
  •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develop creative high-value designs, proving that the cut-out technique, a decorative element of fashion design, can be used to express various visual effects. The author performed a literature review of such publications as Gap Press, Fashion News, and Mode & Mode from 2001S/S to 2010S/S, referring to Internet data to empirically analyze the cut-out technique in contemporary fashion. The study found that the cut-out design is effective overall, but is best suited for one-piece designs and for partial rather than whole items of clothing. The basic motif of the cut-out is a geometrical pattern based on a line, a tear, or is shapeless. The cut-out design is mostly shown as an overall pattern or as a symmetrical shape. Analysis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fashion utilizing the cut-out technique are as follow: First, the cut-out technique exposes the curves of a woman's body in a direct or indirect way, thereby emphasizing her sexuality and maximizing the value of female beauty. Second, through the cut-out technique, we can highlight the various types of space formed by the technique and repeated patterns; we may also elaborate on single-patterned laser-cut designs, which will show that the particular surface effect of the material can strongly impact the attractiveness of the design through emphasis and decoration. Third, damaging or destroying clothes on purpose, showing surprising concepts through optical illusions, and expressing humor by ignoring existing clothing styles show our willingness to escape from traditional or obvious design ideas, as well as demonstrating individuality and playfulness.

20세기 초기 서양 흔들의자의 양식적 특징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estern Rocker style In Early 20th Century)

  • 임승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21-32
    • /
    • 2011
  • 본 연구는 20세기 초기의 서양 흔들의자를 분석하여 조형적, 실용적 관점에서 양식적 특징을 학문적으로 규명하고, 오늘날 우리나라 흔들의자의 설계 및 제작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20세기 전반의 서양 흔들의자(1925~1945년 제작)는 형태가 기능을 따라야 한다는 단순한 기능주의의 이념을 적극적으로 표현하였다. 원목을 활용한 흔들의자는 표면장식을 배제하였고, 강철관 프레임의 흔들의자는 검정색 가죽의 업홀스터리를 즐겨 사용하면서 노출된 구조미를 대담하게 표현하였다. 또 강철관을 통하여 가구의 경량화가 이루어졌고 곡선미 있는 새로운 양식이 출현하였다. 근대 흔들의자의 구조는 양식과 기능적 이유에서 모두 중요하게 되었다. 디자이너들은 강철관과 목재 프레임의 노출된 구조를 통합성 및 합리성과 결부 시켜 디자인의 평등주의 스타일을 만들어냈다. 특히 이 시기에는 밝고 대담한 색상의 업홀스터리와 목재 프레임으로 구성된 흔들의자가 근대적 특징의 단순한 형태로 다양하게 표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