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8.18.05.472

A Study on the Combination of Household Interior Space Application Using Carved Ceramic Candlestick with the Motive of Yeonga  

Kim, Seung Man (단국대학교 도예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main point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mposition of interior space of the residence centered on carved ceramic candlestick with the motive of Yeonga. And with the Yeonga candlestick developed using that, the application of space convergence in the interior design is researched. As the industry develops, pleasant and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draws attention in choosing residence with the psychology to engage nature into the house working. It is anticipated that the Yeonga candlestick interior accessories will be used to smoothly connect floor, wall and ceiling. As the shape of Yeonga includes the aura of the luminaire, the design element of Yeonga is researched through it. These sources are applied to the carved candlestick to investigate their application as indoor lighting. It is also a major viewpoint to develop this as a ceramic product and actively utilize it as a necessary interior item in daily life.
Keywords
Yeonga; Carved Candlestick; Interior Decor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소희, 한영호,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화에 따른 주거공간 코디네이트 연출방법에 관한 연구 : 아파트 모델하우스 실내디자인스타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제5권, 제2호, pp.61-70, 2010.
2 서지은 "주거공간에서 조명에 의한 영역성 표현 및 감성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제24권, 제4호, pp.125-132, 2008.
3 한병흠, 오인욱 "공간환경의 감성평가 척도에 관한 연구(인테리어 공조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19권, 제4호, pp.3-10, 2010.
4 양새미, 자연 모티브를 활용한 현대 실내공간 디자인의 표현 경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83-356, 2013.
5 한국박물관연구회 한국의 박물관, 문예마당, p.304, 2005.
6 김갑철, 최인영, 홍윤기, 최선우, 송영주, 포푸리 이용 가능한 허브 식물 선발/허브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유망자생 허브식물 이용 기술 개발,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pp.529-538, 2008.
7 김미나, 일상에 감성을 더하는 나의 첫 소이캔들, 시대인, p.200, 2017.
8 이지영, 주거공간 인테리어 코디네이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88-89, 2003.
9 마쓰시타기와, 주거 인테리어 해부도감, 서평, p.200, 2013.
10 박수경, 문정민, "치유적 환경을 위한 공간디자인 연구경향에 관한 연구 : 건축 및 실내디자인학회의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제20권, 제4호, pp.21-28, 2011.
11 최경란, 투각기법을 이용한 도자장식 연구 : 신사임당 초충도(草蟲圖)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p.64, 2013.
12 라사라 패션월드편집부, 쾌적한 주방 인테리어 268선, 라사라패션월드, p.156, 2002.
13 송광섭, 조경수, "설계시공-실내조경-베란다조경," 한국조경수협회, 제134권, pp.49-53, 2013.
14 박영관, 煙家를 이미지化한 作品 製作에 關한 硏究 : 民家의 甕器煙家를 中心으로한 硏究, 단국대학교 대학원 도예학과, 석사학위논문, pp.57-58, 1995.
15 김규화, "현대옹기의 조형특성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제10권, pp.15-27, 2012.
16 김애연, 투각 기법을 응용한 도자기 디자인 개선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34, 2005.
17 강민기, 강현숙, 윤희상, 이선재, 이숙희, 장경희, 한국 미술 문화의 이해, 애경출판사, p.448, 2006.
18 X-knowledage, 홈스타일 인테리어, 삼호미디어, p.325, 2017.
19 이진민, "패러다임 전환기의 인테리어와 환경 디자인," 대한건축학회, 제48권, 제6호, pp.25-35, 2004.
20 김보경, 트렌드(Trend) 예측프로세스를 통한 테이블웨어(Tableware) 시장의 전망,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63-64, 2009.
21 이낙현, "실내공간의 맨탈이미지 (Mental Image)의 특성과 사례에 관한 연구," 제2권, 제2호, p.243,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