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식적 구성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7초

현대패션에 응용된 근세($16C{\sim}18C$) 의복장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ail&Trimming from 16C to 18C in Contemporary Fashion)

  • 김은실;유미리;배수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1호
    • /
    • pp.125-14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tail&Trimming from 16C to 18C, so called 'the age of decoration' and how they had been applied to contemporary fashion through various collections. Then this study investigated decorative trends based on the frequency analysis. For the methods of study, using literature review, theoretical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kinds of modern clothing accessories and analyze how they were applied to contemporary fashion and its trends. The period of empirical research was from 2000 to 2006 S/S with its focus on "Mode et Mode", a representative fashion magazine. As a result, for detail, decorative composition, surface decoration, and trimming, detail-applied decorative designs showed the highest percent. To get a closer look, the highest applied decorative technique was found rough collar in the detail; fringing in the decorative composition; slash in the surface decoration; and jewelry in the trimming.

고인의 사회적 신분에 따른 장례 제단 꽃 장식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Flower Decoration at the Funeral Altar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of the Deceased)

  • 예언경;정준현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0호
    • /
    • pp.25-43
    • /
    • 2019
  • 고인의 사회적 신분에 따라 다양한 제단 꽃 장식을 연출하여 조문객과 남은 유가족의 심리적 충격과 아픔을 위로하고 고인의 삶을 아름답게 추억하도록 연출하는 것이 장례 제단 꽃 장식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공정거래위원회가 선정한 우리나라 우수 상조 업체 5개사와 일본을 대표하는 상조업체 5개사의 장례 제단 꽃 장식 유형을 조사하고, 일본과 한국의 장례 제단 꽃 장식 유형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장례 제단 꽃 장식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연령대별 설문조사를 통하여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결과 전 연령대 대부분이 고인의 직업에 따른 장례 제단 꽃 장식에 대하여 긍정적인 결과가 집계 되었고, 이는 소비자들이 상조회사 상품에 구성된 제단 꽃 장식에 대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설문조사결과 소비자들 대부분이 고인의 직업과 취미, 취향에 따른 제단 꽃 장식과 자연의 풍경을 입체적으로 연출한 제단 꽃 장식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조 담${\cdor}$굴뚝에 나타나는 전${\cdor}$와편 장식문양의 유형 -조형 특성을 중심으로 (Decorative Bricks and Roof Tiles used in Walls and Chimneys in the Chosun Dynasty -focusing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 이기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87-98
    • /
    • 2001
  • 조선조(1392∼1910)의 궁궐·사원·상류민가의 담과 굴뚝에는 장식 문양이 다채로운 조형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는 도자벽제작에 관한 환경디자인 연구의 일환으로서, 전(塼)과 와편(瓦片)으로 만들어진 조선조 담과 굴뚝의 전통적인 장식문양의 유형화를 시도하여 그 조형의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전국에 걸쳐 현지조사에 의해 수집된 685점의 문양 18종을 유형별, 대상별, 건축종별, 구성재료별, 장식기법별의 5가지로 유형화하여 상호 조형의 관련성을 검토했다. 그 결과 조선조의 담과 굴뚝에 나타나는 장식문양은 유형마다 명확한 조형의 차이와 공통성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았다 또, 이들 문양의 유형을 궁궐형·사원형·민가형으로 종합하여 보면 일부의 예외적인 것도 있지만, 각각의 유형은 독특한 조형적 규범을 갖고있음을 알게 되었다. 즉, 궁궐형의 담과 굴뚝은 궁궐전유(專有)의 붉은색과 회흑색의 전을 사용해서 정교한 길상(吉祥)과 벽사(벽邪)문양을 조형화하고, 사원형과 민가형에서는 구조보강을 겸하여 와편을 겹쳐 쌓은 문양을 수평으로 연속시켜 조형화 한 것이 담과 굴뚝의 기본적인 장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화훼장식이 돌잔치 고객의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lower decoration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re-visit of a baby's first birthday)

  • 김정희;임영희;김규원
    • 화훼연구
    • /
    • 제19권1호
    • /
    • pp.68-76
    • /
    • 2011
  • 화훼장식이 돌잔치 고객의 만족도와 장소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남녀나 기혼자와 미혼자는 거의 비슷하였으나 연령은 20대와 30대가 주류를 이루었고, 학력은 대졸자가 가장 많았다. 요인분석 결과 7개의 중요 변수 즉, 화훼장식을 위한 디자인의 스타일과 구성, 디자인의 조화와 색감, 접근성, 시설, 서비스와 가격, 만족도, 그리고 재방문 의도로 이론적 모형이 구성되었다. 모형화한 연구가설의 검증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SPSS 14.0K를 이용하여 탐색요인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모형의 모든 인과관계의 경로계수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해서는 구조 분석방법을, 타당성 평가를 위해서는 AMOS 7.0의 측정 모형을, 그리고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기술적 통계, 빈도분석, 크론바하 알파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과 요인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결과, 매개변수인 만족도에 가장 큰 항목을 차지하는 항목은 화훼장식의 스타일과 구성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화훼장식의 조화와 색감이었다. 그리고 서비스와 가격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접근성과 시설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돌잔치의 기획 및 연출을 위해서는 화훼장식이 가장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의미하는 한편, 이 중요 변수를 잘 활용하면 고객의 만족도가 증가하게 되고 만족도가 증가하게 되면 재방문 의도가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화훼장식 교육프로그램 분석과 화훼장식가와 지망생 직업만족도 비교 (An Analysis of Korean Floral Design Education Program and the Job Satisfaction of Florist and Applicants Florist)

  • 문현선;홍종원;한고운;장유진;박천호
    • 화훼연구
    • /
    • 제18권4호
    • /
    • pp.315-322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화훼장식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고 화훼장식가의 직업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현직 화훼장식사 60명과 지망생 60명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화훼장식가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대상자가 경험한 직종 등에 대한 만족도, 관련 교육에 대한 내용, 사회적 인식도, 사회적 대우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직업선택 시 고려하는 사항, 일에 대한 관련전공자와 비관련전공자의 만족도, 현재 직업에 대한 만족도, 교육기간에 대한 만족도, 화훼장식사 능력에 대한 중요도, 직업의 발전요건에 대한 중요도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현직 화훼장식가와 지망생이 직업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은 모두 원예적성 그리고 장래성으로 나타났고, 화훼장식사들의 전공별에서는 화훼장식관련 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지망생들의 전공별 분석결과에서도 현직 화훼장식가와 마찬가지고 만족도는 화훼장식관련 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현직 화훼장식가와 지망생의 경력과 교육기간에 따라 만족도에 차이를 보면 화훼장식 관련 교육 또는 수업경험과 강사의 교수법에 대한 만족도는 경력이 적을수록 더욱 낮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화훼장식 지망생의 교육기간에 따른 결과를 보면 일에 대한 만족도는 교육기간과 관계없이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직 화훼장식가와 지망생의 전공에 따라 능력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본 결과는 현직 화훼장식가의 전공별 분석결과는 화훼부문과 장식품제작부분에서 관련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해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품질유지부문, 화훼장식부문, 그리고 화훼유통 및 경영부분에서는 관련전공자와 기타 전공자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지망생들의 전공별 분석결과를 보면 화훼부문, 화훼장식부문, 장식품제작, 화훼유통 및 경영에서 관련전공자가 기타전공자에 비해 전반적으로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였다. 품질유지에 대한 중요도는 전체적으로 관련전공자가 기타전공자에 비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화훼장식가로 활동을 하는 데 있어서 화훼장식전공자가 비전공자들에 비해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교육내용 중에서 원예관련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가적인 화훼장식가를 양성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이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시대에 화훼장식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론과 실기가 통합된 체계적인 교육내용에 따른 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태국 중부지방 전통주택 공간구성요소의 장식적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Decoration in Central Thai Traditional House)

  • 최한희;오혜경;주서령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200-207
    • /
    • 2011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unique housing culture and decoration style in traditional Thai houses. Literature review and site visit were applied for the research method. A steep gable roof, a lifted floor structure on the pillars, a semi-enclosed central flatform(charn) and a outdoor staircase are important plastic elements of exterior decoration in Thai traditional houses. 'Panlom(windbreak on gable)' and 'fa loog fak(wall panel)' are the most unique elements which determine Thai traditional style. In Thai traditional style decoration, the beautifully carved wooden panels and decorations are also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e decorations can be analyzed in the aspect of following perspectives. ; The characteristics of Thai traditional house decorations have been developed and evolved as result of influences from regional climate and local material. And also the social-cultural factors such as religion, social and family relationship and life style controlled the forms and culture of traditional housing form and culture. As a result, this study summarises and defines the outstanding and unique meaning and definition of the decoration in Thai traditional houses focused on central region in Thailand.

최근 오뜨꾸뛰르 복식에 표현된 개더(Gather)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sticity of the Gather Represented in Haut Couture)

  • 강숙녀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3호
    • /
    • pp.25-33
    • /
    • 1998
  • 오뜨꾸뛰르 복식은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창인 할 뿐 아니라 복식의 고유한 요소 즉, 수공예 적이며 전통고수의 성격을 강하게 갖으면서 20세기에 들어와서는 대중적 요소가 결합되어 세계모드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요소는 개더의 고유한 구조 자체가 갖고 있는 기술 구사 적 측면으로서만이 아니라 기본적인 기술적 요소가 현대의 여러 사조 및 소재나 복식디자인 적 요소와 유합 하여 복식의 기능적 측면과 장식적인 측면이 융합되어 착용 자나 디자이너에게 있어 미적 표출과 감성적인 측면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20세기는 새로운 예술운동의 범람과 전위적 운동의 전개로 전통적 장르가 붕괴되거나 혼합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믹싱 현상은 트랜드의 부재, 패션의 부재라 할 수 있는 해체주의 적 경향을 띄게 되어 최근 오뜨꾸뛰르에 나타난 개더의 유형으로 아이템이나, 소재, 디자인에서 혼합적 양상이 개더의 디테일 적 요소와 유합, 상충, 병치되어 등 인위적인 구성인 복합구성의 자유로운 형태로서 다종다양하게 나타났다.

  • PDF

한국 현대주택에 나타난 전통성 표현의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 1990년 이후 건축각각 설계한 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ditionality in Modern Korean Houses of the 1990's Designed by Architects)

  • 류호정;박영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2-12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lassify into types of traditionality reflected in modern Korean houses in 1990's designed by architec Modern houses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Analysis is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space-pl structural elements ornamental elements.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defined as 'Indicative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it', 'Decorative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ity', 'Eclectic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ity', 'Contemporary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it', 'Abstract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ity'. The results showed that 'Contemporary or Abstract expression of traditionality(type IV and V) were major types of modern Korean houses expressed traditionality. This reveals that in order to apply traditionality to the modern houses, simplifed and sbstracted for were preferred comparing with the direct imitation of traditional forms.

  • PDF

고려~조선시대 귀이개 형태와 장식기법 (A study on the shape and decorative techniques of earpick during the Goryeo-Joseon Period)

  • 김지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2호
    • /
    • pp.6-21
    • /
    • 2022
  • 본고는 귀이개라는 특정 공예품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통해 당대의 물질문화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 귀이개에 관한 용어 정리를 하고, 조선후기 단편적인 문헌을 통해 귀이개의 사용 문화를 살펴보았다. 귀이개는 첫 번째로 개인의 수신을 위한 위생도구였고, 두 번째로 남성들의 선추에 다는 구성품으로 상징적인 역할을 하였다. 3장에서는 시대별로 귀이개의 형태를 분류하고, 각 형태별 특징적인 장식기법을 살펴보았다. 고려시대 귀이개는 사용목적이 위생도구였으며, 형태에 따라 단독형, 복합형으로 구분된다. 단독형에는 각봉형, 손잡이형, 판형이 있으며, 복합형에는 족집게일체형, 리벳분리형이 있다. 손잡이형 귀이개에서 고려시대의 장식기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선각, 금도금, 바탕에 누정기법으로 찍은 첩호(疊弧)문, 납입사로 화려하게 장식되었다. 조선시대 귀이개는 사용목적에 따라 위생도구와 장신구로 크게 분류된다. 위생도구는 단독형, 복합형으로 나뉘고, 장신구로 사용되는 귀이개 종류로는 뒤꽂이, 노리개, 선추 등이 있다. 귀이개 장신구는 성별에 따라 여성은 뒤꽂이, 노리개로, 남성은 선추로 사용되었다. 조선시대 귀이개의 장식기법은 주로 귀이개 뒤꽂이에서 볼 수 있었다. 칠보기법으로 다양한 색을 내거나 보석감장으로 장식하였다. 그동안 공예품 중 일상도구에 관한 연구가 미진하였다. 일상도구를 통해 시대의 흐름을 읽고 물질문화에 접근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설탕공예 작품 따라잡기 ③ 곤충의 움직임을 살린 작품 - The Motion of Nature

  • 대한제과협회
    • 베이커리
    • /
    • 5호통권454호
    • /
    • pp.141-145
    • /
    • 2006
  • 살아있는 동물을 나타낼 때는 여러 가지 요소를 따져봐야 한다, 동물의 생김새나 색깔은 물론 움직임도 함께 나타내야 하기 때문. 이번 작품의 중심 소재 '사마귀'는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조립함으로써 운동감을 살리고 적절한 컬러의 에어브러시로 모습을 사실적으로 표현했다. 서로 다른 형태의 기둥을 안정감 있게 구성하고 중심 소재에 여러 가지 장식물을 어울리게 연추라는 방법을 익혀보자.

  • PDF